필리핀 재무부(Bureau of the Treasury)에 따르면 필리핀 국가부채가 4월 말 기준 13조 8,600억 페소(원화 약 324조 468억 원)보다 0.4% 증가한 13조 9,100억 페소(원화 약 327조 1,632조 원)으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는 지난 5월의 13조 8,600억 페소(원화 약 20조 2,272억 원)보다 0.4% 증가한 수치지이며 연간 기준으로 12조 7,600억 페소(원화 약 300조 1,152억 원)에서 9% 증가한 수치다. 국가의 미상환 부채가 14조 페소 수준으로 마감되어 MIF(Maharlika Investment Fund)가 주요 인프라 프로젝트에 자금을 조달하고 결국 정부 부채를 줄여야 한다는 압박이 가중되고 있다. 지난 4월에만 필리핀 정부는 외채 순발행과 미국 달러 대비 현지 통화 평가절하로 인해 542억 4000만 페소(원화 약 1조 2,757억 원)의 신규 채무를 추가했다. 이로써 마르코스 행정부의 부채는 10개월 만에 1조 1,100억 페소(원화 약 26조 1,072억 원)에 달했다. 현재 부채 더미는 현재 2023년 말까지 예상 부채 14조 6300억 페소(원화 약 344조 976억 원)의 약 9
지난 5월 20일 필리핀오락게임공사(PAGCOR)는 역외 게임 면허 소지자와 공인 서비스 제공업체에게 법률을 준수할 것을 공시했다. 필리핀오락게임공사의 CEO인 알레한드로 텡코(Alejandro Tengco)는 “모든 면허 소지자와 서비스 제공업체들은 인가 범위 내에서 운영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모든 범죄 행위와 연루될 경우 면허 및 인가의 정지 또는 박탈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경고하면서 이번 경고문의 예시로 CGC 테크놀로지(CGC Technologies)의 정지 명령을 함께 발표했다. CGC 테크놀로지는 2021년 9월 2일에 필리핀오락게임공사로부터 인증을 받았으나 업무 중 범죄 행위가 있다는 제보를 받아 필리핀 경찰의 조사를 받게 됐다. 이제 필리핀 경찰의 사이버 범죄 부서를 비롯해 필리핀 대통령 직속의 범죄윙원회, 정보부 및 조직범죄방지기관 등의 강도 높은 조사를 받은 결과 필리핀오락게임공사(PAGCOR)는 2023년 5월 4일에 진행 중인 조사 결과에 대해서 언급했다. 조사결과 팜팡가 마발라카트에 위치한 선 밸리 비즈니스 허브의 CGC 테크놀로지의 영업장은 인신매매를 비롯해 신용카드 사기, 불법 구금 등이 이루어지고 있었고 현장에 있는 6개의
부산외대 아세안연구원(원장 김동엽)과 특수외국어사업단(단장 배양수)이 공동으로 4월 25일부터 5월 30일까지 6주에 걸쳐 매주 화요일에 부산외대 트리니트 홀(D323)에서 ‘필리핀 특강 시리즈’를 개최한다. 필리핀 특강 시리즈에는 총 6회로 국내외 필리핀 전문가들을 초청하여 다양한 주제로 필리핀에 관해 소개한다. 강사진으로는 부산외대의 배양수 교수, 김동엽 교수, 주한필리핀대사관의 로뮬로 빅터 엠 이즈라엘 주니어(Romulo Victor M. Israle, Jr.) 총영사, 전 주필리핀 한국대사 한동만 대사, 유튜브 콘텐츠크리에이터 실비아 킴, 부산외대 필리핀 특임교수 김상민 사장, 그리고 경성대학교 제프리 칼리마그(Jeoffrey Calimag) 교수가 초대되었다. 특강 내용은 차후 동영상 콘텐츠로 제작하여 아세안연구원 유튜브 채널에 공개된다. 본 특강 시리즈의 출발은 필리핀 정부가 주한필리핀대사관을 통해 한국 내 ‘필리핀학 증진사업’을 위해 발전기금을 마련을 해서다. 지난해 9월 부산외대에 제공한 발전기금 총 400만 페소(또는 약 9400만원)의 예산으로 특강시리즈가 준비된 것이다. ‘필리핀학 증진사업’에는 본 필리핀 특강 시리즈를 포함하여 필리핀어
“글로벌 시장에서도 1등 사과 명성 지키겠다.” 청송군(군수 윤경희)은 4월 28일 필리핀 마닐라에서 현지 대형유통업체인 디존팜(대표 캐서린 디 포사스) 및 청송사과유통센터와 3자간 수출·입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청송군은 앞서 인도네시아 쿼터 승인을 받아 사과 300톤 및 사과주스 무제한 수출이라는 큰 업적을 달성한 바 있다. 이번 업무 협약을 통해 새 수출국을 확보하게 되었다. 업무협약서에는 판매확대를 위한 노력과 고품질 사과생산을 위한 다양한 시책추진, 고품질 사과확보 및 원활한 수출 협조 등의 내용이 담겨 있다. 디존팜은 1960년대에 설립된 필리핀 현지 과일 전문 유통업체다. 현재까지 로빈슨 그룹을 비롯해 필리핀 내 100개 이상의 슈퍼마켓에서 과일 유통을 취급하고 있다. 군은 이미 지난 3월부터 청송사과 6톤 정도를 선적했으며 향후 물량을 확대하여 지속적인 수출을 할 계획이다. 이미 선적된 수출사과는 마켓플레이스 및 로빈슨 슈퍼마켓 등 필리핀 현지 대형 유통판매점을 통해 현재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어 해외 시장 선점을 위한 청송군과 유통센터의 발 빠른 행보가 주목받고 있다. 윤경희 청송군수는 “업무협약 체결로 한국 1등 사과인 청송사과의 우수성을 해
지난 4월 17일 미간다통신은 한국철도공사(Korail)가 170억 원 규모의 필리핀 도시철도 운영유지보수(O&M) 자문 계약을 수주했다고 보도했다. 이번 사업은 개통을 앞둔 필리핀 마닐라 메트로 7호선(이하 MRT-7)의 케손(Quezon)시티와 블라칸(Bulacan) 지역을 연결하는 23㎞ 구간, 14개역 운영유지보수 전반에 대해 자문하는 사업으로 계약 기간은 45개월이다. 코레일은 지난 3월 사업권자인 산 미구엘(San Miguel)로부터‘필리핀 MRT-7 운영유지보수 자문사업’수주통지서를 받고 이번 4월부터 사업에 착수했다. 시스템 검증‧시험(SI), 종합 시운전(T&C), 신뢰성 검증 및 관리(RAM), 정보기술 등을 포함한 운영유지보수 분야에 17명의 전문가를 투입해 자문을 진행한다. 코레일은 지난 2016년부터 MRT-7 사업의 설계를 포함한 기술자문 등을 장기적으로 진행해왔으며, 개통을 앞둔 MRT-7의 운영유지보수에 대한 자문사업도 수행하게 됐다. 이와 함께 코레일은 MRT-7 신규 기관사‧관제사에 대한 인력 양성 사업도 함께 수주해 오는 5월부터 약 1년간 교육을 시행할 예정이다. 모두 12명의 철도 전문가로 구성된 교수진이
마르코스 측근으로 알려진 필리핀 중부 네그로스 오리엔탈(Negros Oreintal)주의 로엘 데가모(Roel Degamo, 56) 주지사가 괴한들로부터 총격을 받고 사망했다. 4일 AFP통신과 현지 언론 등은 데가모 주지사가 이날 자신의 지역구인 팜플로나(Pamplona)시에서 빈곤층을 상대로 구호 활동에 나섰다가 군복복장을 입은 괴한들이 쏜 총탄에 오전 11시 41분 목숨을 잃었다고 보도했다. 그의 주변에 있던 5명도 사망했으며 다른 4명도 총상을 입고 병원에 실려 간 것으로 알려졌다. 괴한들은 공격용 소총으로 무장하고 군용위장 조끼를 입은 최소 6명의 남성으로 3대의 SUV에서 내려 뒤에서 총격을 가했다. 피살된 주지사의 부인인 재니스 데가모(Janice Degamo) 팜플로나 시장은 페이스북을 통해 “지역민을 위해 봉사 중이었다. 이같이 죽어서는 안 됐다”고 남편의 사망 사실을 알렸다. 데가모 주지사는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주니어(Ferdinand Romualdez Marcos Jr) 필리핀 대통령의 정치적 동지다. 지난해 5월 실시된 대선에서도 마르코스 지원 유세에 나섰다. 마르코스 대통령은 데가모 주지사의 사망 소식을 듣고 “반드시 범죄자를 붙잡아서
2022년 한 해 동안 동남아에선 무슨 일이? 전북대 동남아연구소가 올해도 (사)한국동남아학회와 함께 지난 2월 1일과 2일 이틀간 동남아시아의 2022년을 돌아보고 2023년을 전망하는 동남아지역동향설명회(이하 설명회)를 열었다. 설명회는 온라인 화상회의로 개최되었다. 주중에도 학자는 물론 전직 외교관과 시민사회, 일반 시민 등까지 60여 명이 실시간 회의에 참여하여 동남아 각국에서 지난 한 해 동안 화제가 되었던 다양한 이슈에 관한 궁금증을 풀고 2023년 전망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첫날인 2월 1일에는 베트남과 태국, 캄보디아, 미얀마, 싱가포르 국가 동향이, 이튿날에는 필리핀과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아세안 동향에 관한 발표와 토론, 질의응답이 이루어졌다. 제5회 동남아지역동향설명회는 유튜브로 다시보기를 통해 일반인들에게 공개되었다. 여섯 번째 발표는 부경대의 정법모 교수가 맡았다. 부산외대 아세안문화원장 김동엽 교수가 토론에 참여했다. https://youtu.be/-z35XB62okg [필리핀 2022: 전통적 가문정치의 귀환과 코로나19 이후의 경제회복 과제] 발표: 정법모 부경대 교수 토론: 김동엽 부산외대 아세안문화원장 발표를 맡은 부
지난 2022년 11월 필리핀의 국가 부채가 소폭 증가해 13조 6,400억 페소(원화 약 310조 7,192억 원)에 도달했다. 필리핀 재무부는 국가부채가 지난 10월보다 0.02%(31억 5,000만 페소) 증가해 사상 최고 수준을 경신하게 됐다고 발표했다. 2021년 부채 또한 1조 9,200억 페소(원화 약 43조 7,184억 원)으로 2020년 대비 16.33% 증가했다. 미결제 채무는 대부분은 현지에서 발생했고 국내 부채는 0.78% 증가한 9조 4300억 페소를 기록한 반면 외국 자금은 1.62% 감소한 4조 2200억 페소였다. 2022년 10월 경우 환율이 약 15% 급등했다. 당시 전 세계가 달러화 초강세로 휘청이는 가운데, 필리핀 역시 달러 대비 페소 환율이 18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필리핀의 대외 부채도 자연스럽게 증가했다. 2022년 10월 블룸버그는 아시아 외환위기에 취약한 곳으로 무역 상황이 좋지 않은 국가들을 꼽았다. 한국의 원화, 필리핀 페소, 태국 바트 등 경상수지 적자 상태에 있는 국가의 통화가 가장 취약할 것이라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