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과 캄보디아가 28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서 안와르 이브라힘 말레이시아 총리의 주재로 ‘휴전 회담’을 진행한다. 품탐 웨차야차이 태국 총리 권한대행과 훈 마넷 캄보디아 총리가 만난다. 안와르 총리는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순회의장 자격으로 이번 회담을 주재한다. 두 나라는 지난 24일부터 벌어진 무력 충돌로 두 나라 민간인과 군인 등 30여 이 숨지고 16만 명 이상이 대피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26일(현지시간) 자신의 SNS ‘트루스소셜(Truth Social)’을 통해 “태국-캄보디아 정상과 각각 통화했다. 양측이 휴전 협상을 위한 회담에 동의했다”고 밝혔다. 무력 충돌 사흘 만이다. 트럼프가 관세협상을 휴전 ‘압박 외교’ 카드로 제대로 활용했다는 평이다. 미국은 지난 4월 태국과 캄보디아에 각각 36%, 49%의 상호관세를 통보했다. 이후 캄보디아 관세율은 이달 초 36%로 낮아졌지만, 여전히 다른 동남아 국가보다 두 배 가까이 높은 수준이다. 이달 들어 트럼프는 베트남 20%(46->20), 15일 인도네시아 19%(32->19), 22일 필리핀 19%(20->19), 23일 일본 15%(24->25
“필리핀이 동맹이라니...겨우 1% 깎아 19%네.” 7월 22일(현지시간) 미국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주니어 필리핀 대통령이 정상 회담을 가졌다. 두 정상은 필리핀에 대한 상호 관세를 20%에서 19%로 낮추는 무역 합의를 체결했다.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주니어 필리핀 대통령이 직접 미국까지 방문했지만 얻은 결과는 결국 관세 1% 하락에 그쳤다. 트럼프 대통령의 지난 4월 상호관세 발표 이후 미국과 새로운 협정을 맺은 아시아 국가는 베트남에 이어 인도네시아, 필리핀, 일본까지 4곳으로 늘었다. 7일 베트남 20%(46->20), 15일 인도네시아 19%(32->19), 22일 필리핀 19%(20->19), 23일 일본 15%(24->25->15)였다. 일본의 경우 자동차에 대한 관세 25%를 절반인 12.5%로 하향 조정하기로 했다. 가장 먼저 무역협정을 체결한 영국까지 더하면 총 5개 국가다.
“트럼프 서한을 받은 게 영광이다. 진심으로 감사하다” 미얀마 군사 정권 수장이 자국에 세율 40% ‘관세 폭탄’을 통보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향해 되레 “진심으로 감사하다”고 말해 눈길을 끌었다. 12일(현지시각) 미국 시엔엔(CNN)과 블룸버그 통신, 연합뉴스 등에 따르면, 전날 민 아웅 흘라잉 미얀마군 최고사령관은 트럼프의 관세 서한에 대한 답장을 미얀마어-영어로 공개했다. 그는 “트럼프가 군사정권의 정당성을 인정해줬다. 진정한 애국 정신으로 조국을 번영으로 이끈 트럼프의 강력한 리더십과 세계 무대서 평화를 증진하기 위한 지속적 노력”을 칭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7일 한국과 일본 등 14개국에 다음달 1일부터 시행하는 상호관세율을 적은 서한을 공개했고 대상에 미얀마도 포함됐다. 미얀마에 통보된 관세율(40%)는 태국-캄보디아(이상 36%), 방글라데시(35%), 인도네시아(32%), 말레이시아(25%) 등 주변 동남아시아 국가들보다 높았다. 그런데 그는 트럼프를 칭송하고 나섰다. 그 이유는 미국이 자신들을 미얀마의 공식 정부로 인정했다고 해석해서다. 그는 2021년 2월 아웅산 수치 전 국가고문이 이끌던 민간 정부를 군사 쿠데타로 전복하
코로나19의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속에서 세계경제가 시름하고 있는 가운데, 미국과 중국의 2차 무역전쟁이 가시화 되는 조짐이 보인다. 앞으로 한국 증시 역시 이러한 흐름속에서 쉽지 않은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 1차 미중 무역 전쟁에서 이미 한국 경제는 많은 타격을 입었다. 한국은 경제적 의존은 중국의 비중이 크고, 정치적으로는 미국의 의존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은 수출의 약 37%를 차지하고 있는 두 나라 속에서 크고작은 전략적 경제외교를 펼쳐왔다. 일단 한국의 경제 성장률을 살펴보면, IMF는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1.2%로 전망했다. OECD 회원국 중에서는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다만 앞으로 한국 경제 성장률이 순조롭게 이어갈지는 미지수로 보인다. 그 이유는 지속적인 무역 교역량 감소에 있다. 17일 산업통상자원부와 관세청에 따르면 5월 1일부터 10일까지 교역량이 164억 7000만 달러(한화 약 20조 3,075억원)으로 지난해 대비 41% 가량 급감했다. 4월 한달간 교역량은 전년 동월대비 약 20% 감소하였는데 5월은 열흘만에 이 수치를 가뿐히 뛰어넘으며 낙폭이 확대되었다. 앞으로 코로나19 상황에 따라서 움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