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4일 중국・아프리카 협력포럼(FOCAC)이 중국 베이징에서 개막했다. 중국과 아프리카 50여 개국은 9월 6일까지 사흘 동안 투자와 경제협력 등을 논의한다. 중국은 이번 포럼에서 서방과의 전략경쟁을 염두에 두고 아프리카 국가들을 괴롭히는 ‘부채의 덫’ 문제 해결에 나서겠다고 시사했다. 시진핑 주석은 지난 9월 2일부터 이날까지 총 15개국 지도자와 연쇄 양자회담을 가졌다. 2000년부터 시작된 중국・아프리카 협력포럼은 3년에 한 번씩 중국과 아프리카 국가들에서 번갈아 열렸으며 2024년에 8회 포럼이 개최된다.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이번 포럼을 위해 아프리카 53개국 외교장관・경제장관급 인사와 아프리카연합(AU) 등 지역 국제기구 대표를 포함해 300여명이 방문했다. 중국은 이번 포럼이 중국과 아프리카 관계의 새로운 이정표가 될 것이라며 각별한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 등으로 지역에서 서방 패권이 흔들리고 중국・인도 등의 영향력이 커지며 다극적 세계질서가 도래할 것이라는 진단이 나오는 상황에서 열린 첫 포럼이기 때문이다.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은 전날인 9월 3일 무사 파키 마하맛 아프리카연합(AU) 집행위
지난 8월 28일 일본과 아프리카 국가의 지도자들이 경제 협력을 논의하는 2022 도쿄 아프리카 개발 국제 회의(TICAD8)가 종료됐다. 공동 문서인 ‘튀니스 선언’이 채택되면서 중국이 일대일로를 통해 발생시킨 ‘부채 덫’의 문제를 염두에 두고 건전한 개발 금융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아프리카에서 열린 2016년 케냐 컨퍼런스에 이어 두 번째로 개최된 이번 컨퍼런스는 튀니지의 수도 튀니스에서 8월 27일에 개최됐다. 일본 후미오 키시다(Fumio Kishida) 총리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여행을 연기하고 온라인으로 참석했다. ‘튀니스 선언’은 구조적 변화 달성이 아프리카의 지속 가능한 경제 성장과 발전을 위해 필수적이라고 강조하고 불공정하고 불투명한 자금 조달 메커니즘에 의존 할 필요가없는 환경이 필요하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도쿄 아프리카 국제 개발 회의(TICAD)는 1993년 일본의 주도로 시작했고 2013년부터는 5년에 한 번씩 열리는 형식에서 3년마다 일본과 아프리카를 번갈아 가며 진행되는 일본 행사로 바뀌었다. 중국의 개발 원조는 중국이 과도한 대출을 상환하는 대가로 인프라를 사용할 권리를 얻는 ‘부채 함정’이라는 문제를 가지고 있어 아프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