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는 지난 12일(현지시간) 블로그를 통해 추론 능력을 대폭 강화한 최신 모델 o1(오원) 프리뷰 버전과 미니 버전을 공개했다. 오픈 AI는 o1이 ‘딸기’라는 프로젝트를 통해 AI로는 처음으로 ‘대답하기 전에 생각하는’ 능력을 강화했다고 밝혔다. ‘사고 사슬’을 사용하여 생산적으로 사고하는 방법을 훈련하는 대규모 강화학습 알고리즘(LLM)을 적용한 결과다. o1은 복잡한 작업을 추론하고 과학, 수학, 코딩에서 이전 모델보다 더 어려운 문제를 풀었다. o1의 추론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사람들이 치루는 여러 시험을 풀어봤다. 2024년 미국 수학 올림피아드(AIME) 시험에서는 83%를 받았다. AIME에 응시한 학생 3만 명 기준으로 500위 정도의 실력으로 상당히 높은 수학적 능력을 지닌 것이다. 이전 모델인 GPT-4o는 12%에 그쳤다. 물리학, 화학, 생물학 분야의 전문성을 측정하는 GPQA 다이아몬드 테스트에서도 박사학위 전문가 수준을 능가했다. 단 이 결과는 o1이 박사 학위 전문가가 풀 수 있는 일부 문제 수준을 더 잘 풀었다는 의미이며 모든 면에서 박사 학위보다 더 유능하지는 않다고 밝혔다. AI의 성향을 추적하는 사이트인 AI트래킹은 노
“무엇이 챗GPT, 인공지능(AI) 중심의 거부할 수 없는 미래를 앞당기는가.” 전 세계를 강타하고 있는 챗GPT를 만든 오픈AI CEO 샘 올트먼의 방한에 맞춰 그의 성장기와 스타트업 창업, 챗GPT 개발 이야기 등을 담은 책 ‘샘 올트먼의 생각들’(여의도책방)이 9일 출간된다. 챗GPT 신드롬은 태풍이다. AI가 세상을 바꿀 것이라는 우아하고 불길한 예언의 수행자로 등장했기 때문이다. 그것은 기세로만 증명되었다. 챗GPT은 최단 기간 월간 활성 사용자 수(MAU) 1억 명 도달이라는 신기록을 달성했다. 오픈AI는 마이크로소프트가 290억 달러(약 36조 2790억 원)의 기업 밸류로 100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하면서 세계에서 가장 가치가 높은 비상장기업 중 하나로 등극했다. 그렇다면 샘 올트먼은 무슨 생각으로 챗GPT를 만들었을까? 그는 인공지능뿐 아니라 핵융합, 기본소득 등 ‘파괴적 혁신’을 꿈꾸는 야망가로도 명망이 높다. 샘 올트먼은 암호화폐 프로젝트 월드코인을 추진하고 있기도 하다. ‘샘 올트먼의 생각들’은 블록미디어 기자 4인이 공저했다. 블록미디어 최동녘 기자는 ‘챗GPT 101’ 책과 클래스101 강연 등을 챗GPT 사용법을 알려주는 전문가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