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수산(Tan Su Shan), 그레이스 왕(Grace Wang), 멍완저우(Meng Wanzhou), 보니 와이 찬(Bonnie Y. Chan), 말리나 응아이(Malina Ngai), 로슈니 나다르 말호트라(Roshni Nadar Malhotra), 오노 마키코(Makiko Ono), 돗토리 미쓰코(Mitsuko Tottori).... 포춘(Fortune)이 9일 '2025 아시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여성(Most Powerful Women in Asia 2025)' 명단을 공개했다. 100명의 여성 리더에는 중국 20명, 인도 8명, 태국 8명, 일본 7명, 한국 5명, 필리핀 5명, 베트남 4명이었다. 명단은 아시아 주요 금융, 소비, 기술 중심지 등에서 비즈니스의 판도를 바꾸고 있는 100명의 여성 리더를 조명한다. 이들의 혁신적인 전략과 리더십은 시장 성장을 이끌고, 새로운 플랫폼을 확장하며, 아시아 비즈니스 지형을 새롭게 형성하고 있다. 올해로 3회째를 맞은 '포춘 아시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여성(Fortune Most Powerful Women Asia)' 명단에는 14개 지역 출신의 여성 리더들이 포함됐다. 시장 별로는 중국 본토 20명,
6월 18일 포춘(Fortune)은 처음으로 2024년 동남아시아 500대 기업 순위를 공개했다. 포춘이 동남아시아에 초점을 맞춘 것은 공급망의 변화와 지역 경제의 급속한 발전으로 세계 경제에서 중요성을 띠고 있기 때문이다. IMF에 따르면 동남아 10개국 연합인 아세안의 GDP는 2020년에 8조 달러(1경1000조원)를 넘었고 올해 11조 달러(1경5200조원)를 넘을 것으로 예상한다. 인구 6억8천만 명의 젊은 아세안은 유럽이나 미국보다 훨씬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미중 갈등으로 빅테크를 비롯한 글로벌 기업들이 동남아시아에 공장을 옮기면서 외국인 직접투자가 급증하고 있는 것은 큰 요인이다. 포춘의 동남아시아 500대 기업 목록은 2023회계연도 매출 기준이며, 인도네시아, 태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베트남, 필리핀, 캄보디아 등 동남아시아 7개국 기업을 대상으로 순위를 매겼다. 인도네시아가 110개 기업으로 가장 많았다. 태국은 107개로 뒤를 이었다. 말레이시아는 89개 기업으로 84개인 싱가포르를 앞질렀다. 베트남은 70개, 필리핀은 38개, 캄보디아는 2개 기업이다. 매출면에서는 싱가포르 소재 상품 거래업체 트라피구라(Trafigura)가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