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Amazon)이 펜실베이니아주에 두 곳의 대규모 데이터 센터 단지를 건설하기 위해 총 200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했다. AP통신이 6월 9일 보도한 바에 따르면, 이 중 한 곳의 데이터 센터는 원자력 발전소와 연계해 건설되며, 발전소 전력망과 직접 연결되는 방식이어서 연방 규제 기관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번 프로젝트는 아마존의 클라우드 컴퓨팅 부문인 아마존 네트워크 서비스 회사(Amazon Web Services, AWS)가 주도하며, 부사장 케빈 밀러는 또 다른 데이터 센터가 필라델피아 북부에 새롭게 세워질 것이라고 밝혔다. 아마존은 올해 초부터 미시시피, 인디애나, 오하이오, 노스캐롤라이나 등지의 데이터 센터 확장에도 각각 100억 달러 수준의 대규모 투자를 공언했다. 이와 같은 공격적인 인프라 확대는 클라우드 컴퓨팅과 인공지능(AI)의 급속한 수요 증가에 대응하고, 마이크로소프트와 구글 등 경쟁 업체와의 격차를 좁히기 위한 전략으로 해석된다. 데이터 센터는 서버, 저장장치, 네트워크 장비 및 냉각 시스템 운영을 위한 막대한 전력을 필요로 하며, 최근의 AI 연산 급증은 에너지 수요를 더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아마존은 지속 가능하면서도 대규
LG유플러스(LG U+)가 액체냉각 기술을 동원해 친환경・고효율 인공지능 데이터센터(AIDC) 구축에 나선다. 지난 5월 29일 LG유플러스는 초대형 인터넷데이터센터(IDC)인 평촌2센터에 차세대 액체냉각 기반 데모룸을 개소하고, AIDC의 냉각 효율성과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 실증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LG유플러스는 이번 데모룸에서 실제 고밀도 AI 연산 환경에서 냉각 성능과 안정성을 선제적으로 검증한다. 이를 통해 그래픽처장치(GPU) 성능 진화와 대규모 인프라 확장에 따른 기술적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고객에게 운영 효율성과 신뢰성을 제공할 계획이다. 기술 실증에는 데이터센터 액체냉각 분야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버티브, 쿨아이티 시스템즈, LG전자, 글로벌스탠다드테크놀로지 등 국내외 주요 파트너사가 참여한다. 파트너사들은 실제 운영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용화 검증과 기술 고도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LG유플러스는 이번 기술 실증을 통해 확보한 역량과 노하우를 기반으로 수도권 최대 규모 데이터센터인 평촌2센터뿐 아니라 건립 예정인 파주 AIDC에 액체냉각 기술을 적용할 방침이다. LG유플러스 정숙경 AIDC사업담당은 “AI와 고성능 컴퓨팅 수요의 급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