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는 동남아 및 글로벌 진출의 교두보다.” 한국의 유망 스타트업 14개사를 글로벌 대기업과 투자자들에게 소개하고 오픈 이노베이션을 모색하는 글로벌 로드쇼 ‘커넥트 2025’(CONNECT 2025)가 싱가포르에서 개최됐다. ‘커넥트 2025’는 국내 스타트업의 해외 진출을 지속적으로 지원해 온 티비지파트너스(대표 이지선)가 글로벌 기업의 아시아-태평양 지사가 밀집한 싱가포르에서 주요 기업과 투자사, 연구기관 및 정부 관계자들을 초청해 한국의 스타트업을 소개하는 글로벌 로드쇼다. 티비지파트너스가 지난 2022년 시작해 4년째 이어오고 있는 행사다. 올해 로드쇼에는 ▲차세대 수술용 칼날을 생산하는 ‘크레센’과 ▲정신과 치료의 효율을 높일 솔루션을 개발해온 ‘리소리우스’ ▲매출채권 등을 활용해 중소기업의 자금 조달을 지원하는 ‘276홀딩스’ ▲빌리루빈 기반의 혁신 신약을 개발하는 ‘빌릭스’ 등 바이오 및 헬스케어와 지속가능 분야 딥테크 스타트업 14곳이 참가했다. 특히 크레센은 29일부터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스타트업 박람회 ‘스위치(SWITCH) 2025’의 글로벌 스타트업 경진대회 ‘슬링샷(Slingshot)’ 톱60에 뽑혀 본선에 진
"미얀마와 라오스의 공무원 17명에게 K-스타트업 노하우를 전수했어요."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이하 중진공)은 아세안 스타트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책연수 웹비나(Webinar, 웹+세미나)를 9월 25일 진행했다. 대상은 미얀마와 라오스의 공무원 17명이다. 웹비나는 한국 스타트업 지원정책을 소개하고 이를 통해 정책 담당자들의 정책수립 역량강화를 위한 기회를 제공하고자 기획되었다. 중진공에서 청년창업사관학교, 정책자금, 스마트공장 연수 등 지원 사업을 설명한 뒤 참가자들과 질의응답을 진행하고, 스타트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의견을 교환했다. 이번 정책연수는 지난해 중소벤처기업부와 아세안중소기업조정위원회(ACCMSME) 간 진행한 정책대화 11개 협력과제 중 하나다. 당초에는 오프라인 초청연수 형태로 진행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코로나19 확산으로 비대면 웹비나 방식으로 전환해 진행됐다. 박선곤 글로벌사업처장은 “유니콘 기업을 키워내고 있는 한국 스타트업 지원정책과 노하우를 아세안에 소개하는 뜻깊은 기회였다”면서, “중진공은 지난해 한·아세안 스타트업 엑스포를 성공적으로 개최하는 등 아세안과 협력을 지속해오고 있다. 이번 웨비나가 상호간 교류가 확대되는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은 이달 16일부터 18일까지 사흘간 중진공 K-스타트업 센터 싱가포르의 해외진출 지원 프로그램 중 하나인 언택트 기업 설명회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싱가포르는 글로벌 비즈니스의 편리성을 갖추고 정부 차원의 스타트업 유치 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치고 있는 지역으로, 스타트업 생태계 순위에서 동남아국가 중 유일하게 상위권에 위치하고 있는 지역이다. 이를 반영하듯, 9월 7일(월)까지 진행한 참여기업 모집에는 바이오, 헬스케어, 4차산업(AI, IoT, VR, 블록체인) 등 혁신기술 분야의 기업 총 29개사가 몰려, 5.8:1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하기도 했다. 특히, 이번 기업설명회에는 싱가포르계 대형 벤처캐피탈인 비커스 벤처 파트너스(Vickers Ventures Partners)가 함께해 유망기업의 해외진출을 돕고, 동남아의 스타트업 생태계를 접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한다. 비커스 벤처 파트너스의 전문 심사역 등으로 구성된 평가위원회를 통해 최종 선정된 5개사는 오늘부터 1:1 온라인 기업 설명회를 진행하고, 싱가포르 및 동남아시아 진출을 위한 다양한 지원을 받게 된다. 중진공은 참여기업들의 성공적인 싱가포르 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