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4월 21일 중국은 중국의 이익을 해치는 방식으로 미국과 협력하는 국가에 보복하겠다고 경고했다.
이는 트럼프 정부가 관세 협상을 통해 미국의 파트너국가들이 중국과의 거래를 제한하도록 압력을 가할 계획이라는 보도와 함께 나왔다.
일본은 지난 주부터 미국 정부와 협상을 시작했으며 한국은 이번 주에 협상을 앞두고 있다.
CNBC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는 이 날 “어떤 당사국도 중국의 이익을 희생하면서 합의에 도달하는 것에 단호하게 반대한다. 만약 이런 일이 발생한다면 중국은 단호하게 상응하는 대응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상무부는 국제 무역이 ‘정글의 법칙’에 따라 돌아갈 경우 모든 국가에 위험이 따른다고 경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2일 발표한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하는 한편, 중국에 대한 관세는 145%로 올리고 시행했다.
중국도 미국의 관세 부과에 대한 보복으로 미국산 제품에 125%의 관세를 부과했다.
전자제품과 방위산업용으로 쓰이는 희토류 등 핵심 광물의 대미 수출을 제한하고 미국 기업을 블랙리스트에 올려 중국 기업과의 협력을 제한했다.
증권가에서는 미국과 중국이 가까운 시일 내에 합의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4월 17일에 앞으로 3~4주내로 합의에 도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중국은 2016년에도 미국과 한국이 사드 시스템을 배치하기로 합의한데 대한 보복으로 한국행 패키지 여행 상품 판매 중단과 한국 기업 운영 방해에 나서는 등 보복 조치를 취했다.
한편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 주 베트남, 말레이시아, 캄보디아를 방문했다.
미국으로부터 높은 상호관세를 부과받은 이들 나라 방문을 통해 시진핑관세와 일방적인 괴롭힘에 반대한다는 내용의 공식 발표문을 채택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첫 임기 중 중국에 관세를 부과한 이후, 중국은 동남아시아와의 무역을 확대해 왔다.
동남아시아는 현재 중국의 지역 내 최대 무역 상대국이다.
미국은 단일 국가 기준으로 여전히 중국의 최대 무역 상대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