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저가형 자동차가 멕시코 시장에서 선전하고 있다. 2022년 중국 자동차는 멕시코의 1위 공급 국가가 되면서 미국을 2위로 밀어냈다. 멕시코는 2022년 1~11월동안 세계 각지에서 총 65만 1,710대의 자동차를 수입했고 이중 23.6%인 15만 3,707대가 중국에서 제조된 자동차다. 중국에서 제작된 자동차 브랜드는 총 8개 브랜드이며 이 중 5개가 중국 자체 브랜드다. 지난 2021년에는 인도가 멕시코의 1위 자동차 공급국이었지만, 미국이 다시 치고 올라왔으나 2022년이 끝나는 시기가 되자 중국이 선두에 서게 됐다. 2022년 1~11월 인도가 61,917대로 5위를 차지했고, 미국은 멕시코 시장의 2위 자동차 공급국으로 92,591대, 브라질이 88,592대로 3위, 일본이 65,714대로 4위를 기록했다. 중국의 베이징자동차, 치루아자동차(CHERY), 밍줴(MG), 지리자동차, 그리고 비야디(BYD)가 판매량을 늘려가고 있다. 멕시코 시장에서 2022년 자동차 판매 선두주자로 꼽히는 GM의 전략 중 하나가 미국 생산 차종 외에 중국 생산 차종이 멕시코 시장에서 약진하고 있다. 미국 자동차 브랜드 GM은 중국 상하이자동차그룹과 합작법인을 설
중국의 방역조치 완화에 2022년 12월 저장성 총 20개 경제무역단이 해외 시장 개척을 위해 출국해 180억 위안(원화 약 3조 2,961억 원) 이상의 수출 주문을 달성했다. 저장성 상무부 천즈청(陳志成) 부청장은 2023년 저장성 경제정책 브리핑에서 “올해 성의 대외개방정책은 대외무역 안정과 외자 안정을 계속 강조해 기업들이 더 많은 것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서 “올해는 기업들이 보다 편리하게 ‘해외 진출’할 수 있도록 해외(국경)시장 유치단 1000개 이상, 연계기업 10,800개 이상 조직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해외투자를 위한 ‘글로벌 유치의 해’ 행사를 전개해 성 전역의 ‘해외 진출’ 유치를 독려하고, 경비‧승인 절차 등에서 적극 지원하며, 출입국 편의 서비스를 계속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적 중 전시회 주문이 저장성 대외 무역 기업의 신규 고객 신규 주문의 약 80%를 차지하고 있다. 저장성은 전시회의 주요 시장 채널 확장 역할을 수행하고 기업이 해외 오프라인 국제 전시회에 참가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며 100개 이상의 전시회를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둔다. 동시에 수출 신용 보증에 대한 지원을 늘리고 완전한 재료
파나소닉홀딩스(HD)가 중국 시장 투자 계획을 밝히고 2021년부터 2024년까지 3년간 500억 엔(원화 약 4,859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투자금은 10개 이상의 가전 및 공조설비 공장을 신설하거나 증설해 중국 시장의 수요에 맞는 제품의 개발을 통해 2021년보다 20% 늘어난 1조 엔(원화 약 9조 7,159억 원)의 매출을 2024년까지 달성한다는 목표다. 미중무역분쟁과 코로나19 사태로 공급망이 혼탁해지자 일본 업체들 사이에서 부품 조달을 중심으로 탈중국 움직임이 확대됐지만 파나소닉은 중국을 장기적으로 성장 가능성이 있는 시장으로 보고 오히려 공세를 펴고 있다. 파나소닉의 이번 투자는 2000년 이후 중국 가전 제품 사업에 대한 최대 규모로 18년 만에 처음으로 중국에 새로 건설하는 가전공장이 2024년 저장성에 가동된다. 전자레인지와 밥솥 등 조리가전의 납품 규모를 연간 20억 위안(원화 약 1조 7,000억원)에 이르는 체제를 구축해 광둥(廣東)성의 미용가전 공장에 새 공장을 짓는 것 외에 이 성에 있는 에어컨 공장도 증설할 계획이다. 니혼게이자(日本經濟)신문은 일본 주요 제조기업 100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10곳 중 5곳이 중국 구매
홍콩 정부가 중국 본토와의 통관 업무를 추진하기 위해 15개 정책국이 공동으로 담당하고 정무국 천궈지 정무국장이 이끄는 통관업무 조정팀을 구성할 예정이다. 홍콩정부는 국가위생건강위원회, 홍콩‧마카오 판공실, 광둥성 선전시 정부 등 기관들과 협의를 거쳐 2023년 1월 중순까지 단계적으로 시행한다는 목표로 통관계획을 중앙정부에 제출해 승인받을 계획이다. 지난 12월 22~23일 양일간 행정부 존리 행정장관이 베이징을 방문해 국가 지도자들에게 홍콩과 내륙의 통관에 대한 의견을 전달했다. 중국 내륙은 전염병 예방 및 통제의 최적화 및 조정 조치가 질서 있게 추진됨에 따라 관련 당사자들이 신속하게 소통하고 조정하여 홍콩과 본토 간의 인적 교류가 점차 정상으로 돌아오도록 촉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홍콩 정재계에서는 행정장관 존리가 취임 후 시민들에게 좋은 소식, 특히 본토와의 검사 면제 통관 재개 등을 기대하고 있다. 홍콩 정부가 최근 국경 항구에서 대기할 추가 인력을 배치하고 통관 후 급증하는 인파에 대비하는 준비를 하는 등 통관에 대한 전면적인 준비를 하고 있다. 지하철도 직원들에게 광선강 고속철도 서구룡역이 빠른 시일 내에 개통될 수 있다는 내부 통지를 보낸 상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으로 대러 경제 제재가 심해지는 가운데 중국이 러시아산 원유 수입과 러시아가 중국산 생필품을 수입하면서 중국 위안화CNY) 사용 비중이 증가추세로 나타났다. 지난 12월 26일(현지시간) 러시아 산업통신은행의 조사 결과 러시아 중소기업의 외화 결제에서 위안화 결제 비중이 31%로 유로화의 비중 28%를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추세에 러시아의 금융기관들이 위안화 결제와 관련된 서비스를 출시하기도 했다. 기업들의 위안화 사용이 증가하면서 러시아 기업들이 중국 시장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는 결과로 이어지고 있다. 러시아 산업 통신 은행의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5월부터 10월까지 러시아 중소기업의 약 15%가 외화를 사용하며 외화 결제자 중 34%는 달러(USD), 31%는 위안화(CNY), 28%는 유로화(EUR)를 선택했다. 아직 달러 사용비중을 넘지 못했지만, 유로화의 비중을 위안화가 앞지른 것은 주목할 만한 사실이다. 위안화가 각광받는 것은 아시아 국가와의 교역이 늘어났고, 위안화의 사용 위험이 낮기 때문이라고 기업들은 답했다. 러시아 중앙은행의 12월 금융안정 평가를 보면 서방의 제재 배경 아래 2022년 2~4분기
방글라데시에 남아시아 최초 수중 터널 부분 완공을 통해 중국의 일대일로(一帶一路) 구상이 건재함을 알렸다. 중국교통건설유한공사(中国交通建设股份有限公司)가 수주해 완공한 방글라뎃디 카나프리 강바닥 수중터널 프로젝트 남선 터미널이 완공되면서 중국은 국제 인프라 프로젝트를 계속 진행해 나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중국교통건설주식회사(China Communications Construction Company Limited, CCCC)가 시공한 카나프리 강바닥 터널의 길이는 9.3㎞이다. 카나프리 강바닥 터널 프로젝트가 현지 교통 개선, 아시아 도로망 개선, 방글라데시와 주변국 간의 상호 연결 촉진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현지에선 기대하고 있다. 중국 외교부 자오리젠(趙立说) 대변인은 “중국 측이 카나프리 강바닥 터널 남선 터널의 완공을 축하했다.”고 말하며 “카나프리 강바닥 터널 프로젝트는 방글라데‧중국‧인도‧미얀마 경제회랑의 중요한 일환”이라며 “이 프로젝트의 남선 터널 완공은 중국과 주변국 간 '일대일로' 건설의 또 다른 중요한 성과”라고 말했다.
‘제로코로나’ 정책을 시행 중인 중국에서 코로나19 감염자가 폭증하는 가운데 화이자의 코로나19 복용 치료제 ‘팍스로비드(Paxlovid)’의 소매판매가 허용됐다. 중국의 헬스케어 플랫폼 ‘111.inc’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팍스로비드가 박스당 2,960위안(원화 약 56만 원)에 판매되고 있다. 로이터 통신은 중국에서 코로나19 감염의 급증에 따른 팍스로비드의 첫 소매 판매라고 보도했다. ‘111.inc’는 팍스로비드의 판매가 시작되고 30분만에 완판됐다고 밝혔다. 이는 중국에서 코로나19와 독감 약 수요가 급증하는 지표로 볼 수 있다. 지난 2월 팍스로비드의 사용을 승인한 중국 방역당국은 의사 처방이 있어야 팍스로비드를 처방받을 수 있어 복용과 유통을 엄격히 통제하고 있다. 몇몇 지방의 병원에서 팍스로비드를 고위험군 환자 치료에 사용하고 있다. 코로나19 양성 결과를 제출할 경우 해당 앱을 통해 팍스로비드를 구입할 수 있다. 그러나 팍스로비드가 몇 박스나 팔렸는지와 언제 판매가 재개되는지, 다른 소매업자도 팔고 있는지 등은 불확실한 상황이다. 중국에서 팍스로비드의 소매 판매 개시는 코로나19 백신 수요 감소 전망으로 투자자들의 우려에 직면한 화이자에게
2022년 중국 기업들의 기업공개(IPO) 금액이 사상 최대치를 경신할 예정이다. IPO 금액은 6,100억 위안(원화 약 111조 8,374억 원)으로 전 세계의 절반이 중국 기업의 IPO 금액이다. 중국 기업들이 중국 내 증권시장으로 복귀했고, 반도체 기업 등 중국 당국이 전략적으로 핵심 산업군을 육성하면서 생긴 결과다. 피마웨이 회계법인 자료에 따르면, 2022년 글로벌 IPO 자금조달액은 1800억 달러(원화 약 231조 1,200억 원)로 2021년 4,680억 달러(원화 약 600조 9,120억 원)에 비해 크게 줄었다. 인플레이션과 금리 인상으로 금융시장이 요동치면서 미국의 IPO가 급속히 줄어든 영향으로 보인다. 미국의 IPO 금액은 2021년 대비 90% 이상 감소했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의 IPO 자금조달은 2021년보다 5% 증가하면서 2년 연속 사상 최대치를 기록할 전망이다. 거래소별 융자액 순위는 상하이증권거래소가 세계 1위, 선전증권거래소가 2위, 뉴욕증권거래소와 나스닥은 5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중국의 2022년 IPO 기업수는 410개로 2021년보다 줄었지만 대형 IPO는 증가했다. 미국 증시에서 상장폐지된 최대 국유통신사업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