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소상공인혁신네트워크(GSBIN)이 대구한의대학교(이하 ‘대구한의대’) 산학협력을 통해 지역식품산업의 혁신에 나선다. 4월 28일 경상북도 경산시의 소상공인들이 대구한의대와 지역 식품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혁신을 위한 산학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대구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관 화의실에서 개최된 업무협약식에는 ‘경북소상공인혁신네트워크’(GSBIN)에 소속된 ▲광명농산㈜(회장 최덕현, 대표 강인숙) ▲와이케이푸드㈜(대표 전유경) ▲㈜한반도(회장 최덕현) ▲㈜더한줌(대표 현경숙) ▲㈜디자인그룹칸(대표 이시연) ▲㈜바이오텍(대표 박덕수) 등 6개 소상공인 기업과 대구한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문종화 교수와 식품영양학과 학과장 양경미 교수가 참석했다. ㈜바이오텍이 주관한 이번 업무협약은 식품의 생산부터 제조, 디자인, 유통에 이르는 전 과정을 통합 및 혁신하고 학술・연구 지원을 통해 상생 발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요 내용은 ▲식품 개발 ▲영양성분 분석 ▲품질・위생 관리 향상을 위한 공동 연구 및 기술 자문 ▲학생 현장실습과 인턴십 기회 ▲공동 학술행사 개최 및 정보 교류 ▲산학연계 프로그램 운영 등이다. 경북소상공인혁신네트워크(GSBIN)는 대추, 도라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전쟁으로 항공 여행 수요가 위축되면서 항공 산업은 이미 침체에 들어갔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지난 4월 24일 사우스웨스트항공의 밥 조던(Bob Jordan) 최고경영자(CEO)는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항공 여가 여행 수요가 팬데믹 이후 가장 크게 급감했다고 지적하고, 미국 항공산업은 이미 경기 위축이 완면하다고 밝혔다. 밥 조던 CEO는 사우스웨스트항공은 2분기 매출이 6%포인트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이미 사우스웨스트 항공사(Southwest Airline)는 2025년 1분기에 매출이 3%포인트 감소했다. 조던 CEO는 “나는 여러분이 현 상황을 침체라고 부르든지 말든지 상관하지 않지만 항공 산업에서는 침체다”라고 강조했다. 사우스웨스트항공사는 이번 실적발표에서 미리 실전 가이던스 발표를 하지 않았다. 소비자들 사이에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정확한 전망을 하기 어렵다는 것이 이유였다. 최근 상장 기업들 중 실적 가이던스 전망을 하지 않는 곳이 갈수록 늘어가는 추세다. 사우스웨스트항공은 경쟁사에 비해 국내 레저 항공 수요에 민감하기 때문에 경기에 더 영향을 받는다는 평가다. 조던 CEO는 “소비자들이 불확실하게 느끼면 그들은 소비를 뒤
독일 선사인 하파그로이드(Hapag-Lloyd)가 5월 12일부터 아시아발 북미행 화물에 성수기 할증료(PSS)를 부과한다고 밝혔다. 적용금액은 TEU당 1,000달러, FEU당 2,000달러 다. 북미 지역은 미국과 캐나다를 뜻하며, 출발지인 아시아 국가는 대한민국, 대만, 홍콩, 중국, 마카오,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 태국, 미얀마,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브루나이 인도네시아 필리핀이다. 성수기할증료(PSS)는 해상 운임에서 발생하는 할증료의 하나로,성수기 물량 증가로 컨테이너 수급 불균형 및 항만의 혼잡 심화에 따른 비용 상승에 대한 할증료다. 성수기에는 물동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선사에서는 컨테이너 수급 불균형 해소 및 항만의 혼잡을 해소하기 위해 장비나 인력을 추가로 투입하는 경우가 많다. PSS는 선사나 지역마다 적용되는 비용이나 기간이 달리지며, 때에 따라 PSS와 함께 PCS (Port Congestion Surcharge)를 함께 청구받는 경우도 있다.
JB금융지주의 2025년 1분기 당기순이익이 1년 전보다 6% 감소한 1,628억 원을 기록했다. JB금융그룹의 핵심 계열사인 광주은행과 전북은행은 일회성 요인으로 순이익이 감소한 영향이 컸다. 다만 JB우리캐피탈을 비롯한 나머지 계열사는 모두 순익 성장에 성공했다. JB금융그룹 김기홍 회장은 2025년 기업・가계대출 부문에서 ‘자산 리밸런싱’ 작업을 공격적으로 실시해 돈 되는 상품을 위주로 취급해 수익성을 강화해나가겠다는 계획이다. 지난 4월 24일 JB금융에 따르면 2025년 1분기 지배주주지분 순익(지배주주지분)은 1,628억 원을 기록해 지난 2024년 1분기 1,732억 대비 6.0% 감소했다. 핵심 계열사인 광주은행과 전북은행의 순익이 나란히 빠지면서 지주 총 순익이 줄었다. 광주은행의 2025년 1분기 순익은 670억 원으로, 1년 전 대비 8.7% 감소했고 전북은행의 순익은 563억 원에서 515억 원으로 8.6% 줄었다. 광주은행과 전북은행의 순익 감소는 일회성 요인이 크다. 금융감독원의 권고에 따라 양행이 LGD(부도 시 손실률) 산출 방식을 보수적으로 바꾸면서 대손충당금 전입액이 일시적으로 크게 늘어났다. 전북은행의 충당금은 지난 2024
독일의 DHL 익스프레스(이하 DHL)는 세관 규제 변경으로 통관 절차가 길어짐에 따라 4월 21일부터 미국 내 개인에 대한 800달러 이상의 글로벌 기업-소비자 배송을 중단할 것이라고 밝혔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회사 웹사이트의 공지는 날짜가 정해지지 않았지만, 메타데이터에 따르면 해당 공지는 지난 4월 19일에 작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DHL은 이번 중단의 원인으로 800달러 이상의 모든 배송에 대해 공식적인 입국 처리를 요구하는 새로운 미국 세관 규정을 꼽았다. 4월 5일 변경 전까지 최소 금액은 2,500달러였다. DHL은 기업 간 배송은 중단되지 않지만 지연될 수 있으며, 800달러 이하의 배송은 개인과 기업 모두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도 밝히면서 이번 조치가 일시적이라고 설명했다. 800달러 이하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면제해주는 소액 면세 제도도 지난 4월 2일 상호관세를 폐지하면서 같이 폐지됐다. DHL은 지난 주 로이터 통신의 질문에 대해 ‘해당 세관 규칙 및 규정’에 따라 홍콩에서 미국으로의 배송을 계속 처리할 것이며 5월 2일에 계획된 변경 사항을 이해하고 적응할 수 있도록 고객과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지난주 홍콩 포스트가 미국이 중
지난 4월 15일 ‘IBK기업은행’은 중소상공인희망재단과 함께 소상공인 역량 강화를 위한 ‘희망나눔 플러스’ 프로그램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2025년 올해 2년차를 맞는 ‘희망나눔 플러스’는 창의・혁신의 아이디어를 보유한 소상공인을 발굴해 AI・SNS 마케팅 홍보 등의 교육과 후속 성장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서류평가와 발표평가를 거쳐 우수한 역량을 갖춘 10개사에게 역량강화 심화교육과 피칭 경진대회 참여기회를 제공하고 총 3개사를 선정해 사업화 지원금, 투자처 연결 등을 추가 지원한다. 지난 2024년 피칭 경진대회에서 대상을 수상한 ‘샤인프레시’는 받은 사업화 지원금으로 제품군 다양화에 성공했고, 주요 제품을 백화점과 대형마트 등에 입점하는 등 판로 개척에 성공했다. 희망나눔 플러스 프로그램은 오는 4월 30일까지 중소소상공인희망재단 홈페이지를 통해 프로그램 신청이 가능하다. 교육비 및 프로그램 비용 전액은 ‘IBK행복나눔재단’을 통해 무료로 지원된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앞으로도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 지원을 통해 함께 상생하는 사회공헌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Youngil Engineering Co., Ltd. (Chairman Choi Tae-won), a manufacturing company based in Daegu, has completed its evaluation under the Integrated Technology Protection Support Program. Through on-site consultation with security experts, the company received a professional assessment identifying vulnerabilities and areas for improvement in its internal security framework. The program is part of the “Technology Protection Fence” initiative led by Korea’s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MSS). It integrates two previously separate programs—“On-site Expert Consultation for Technology Protection” and
대구 제조기업 영일엔지니어링㈜(회장 최태원)가 ‘통합 기술보호지원반’ 평가를 완료했다. 전문가의 현장 자문을 통해 영일엔지니어링 보안 취약점 및 개선점 등에 대해 자문 평가를 받게 됐다.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 기술보호울타리(이하 ‘울타리’)가 주관하는‘통합 기술보호지원반’ 사업은 ‘기술보호 전문가 현장자문’과 ‘기술보호지원반’이 통합된 사업이다. 영일엔지니어링은 통합 이전 사업인 ‘기술보호 전문가 현장자문’을 지난 2023년에 받은 바 있다. 통합 후 사업인 ‘통합 기술보호지원반’ 사업을 다시 받은 것은 회사가 다시 한번 보안 상태를 점검하고 사내 보안을 강화하겠다는 취지다. 영일엔지니어링 최태원 회장은 “보안 위험은 외부로부터의 위험 뿐 아니라 내부에도 존재한다. 기술 유출로 인해 회사가 피해를 입기도 한다.”면서 “그런 사례들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사업을 수행하게 됐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