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미얀마 국가 고문 아웅산 수치(Aung San Suu Kyi) 여사가 교도소에서 풀려나 가택연금 상태로 바뀌었다. 현지 미디어 이리와디는 26일(현지시간)자로 “미얀마 군사정권이 국제 사회의 압력을 완화하기 위해 아웅산 수치 여사를 교도소에서 가택연금으로 전환할 계획”이라고 산다르 민(Sandar Min) 국가민주연맹(NLD)의 전 중앙위원의 말을 전해 보도한 바 있다. 다음날인 28일에는 AFP통신이 NLD 소식통을 인용해 “수치 여사가 지난 24일 교도소에서 풀려나 가택연금으로 전환됐다”고 보도했다. AFP통신은 수치 여사가 교도소에서 나온 뒤 미얀마 하원의장을 만났고, 방문 중인 덩시쥐안 중국 아시아 담당 특사를 만날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군부 통치에 반대하고 있는 국민통합정부(NUG) 대변인은 “상황이 개선됐다는 소식은 환영하지만 양심수라는 그녀의 현재 상태는 변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 쿠데타 첫날 가택연금, 지난해 6월부터 교도소...전 군부정권 15년간 가택연금 군부는 문민정부가 전체의 83.2%에 달하는 의석을 석권하며 승리한 2020년 11월 총선이 부정선거였다면서 2021년 2월 1일 쿠데타를 일으켰다. 첫날부터 78세의 수치 여사
“부처좌불상 완공과 흰코끼리 1주년을 맞아 2만짯 신권 지폐를 발행합니다.” 현지 미디어 애드쇼파르, 미얀마iTV(myanmaritv) 등에 따르면 미얀마중앙은행(CBM)은 2023년 7월 31일부터 20,000짯 신권 지폐를 발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신권 지폐의 발행은 네피도의 마라 비자라(Mara Vijara) 부처좌불상 완공 기념과 라타 난다카(Rahta Nandaka) 흰 코끼리 탄생 1주년 생일을 기념하기 위해서다. 20,000짯 새 지폐 크기는 길이 15cm, 폭 7cm이며 연한 초록색으로 되어 있다. 지폐 앞면은 흰 코끼리 그림이 있고, 화폐가치 표기는 좌측 상단에는 미얀마어, 상단은 [CENTRAL BANK OF MYANMAR]가 표기되어 있다. 지폐 뒷면은 아이야와디 다리와 사가잉 다리 그림이 있다. 다양한 각도에서 보면 금색에서 초록색으로 바뀌는 컬러 시프트(Color Shift)를 가로로 표기되어 있다. 네피도 마라 비자라는 총 2367.5톤에 달하는 좌불상으로 돌로 조각된 세계에서 가장 높은 19미터(좌대 포함 24미터) 좌불상이다. 네피도 유니온 테리토리의 ‘데키나 티리르 타운십’에 7월 16일 완공했다. ‘ '왕족을 상징’인 흰코끼리
“미얀마의 K-POP 열기는 여전하네요.” 7월 22~23일 이틀간 미얀마 양곤 롯데호텔 크리스탈 볼룸에서 ‘2023 K-Pop 월드 페스티벌’이 개최되었다. 현지 미디어 애드쇼파르는 25일자를 통해 “주미얀마 한국대사관이 주최한 이 행사에는 한류 문화를 사랑하고 관심을 가지는 많은 미얀마 젊은이들이 행사장을 찾아와 뜨거운 열기를 내뿜었다. 이틀간 방문객만 좌석 800석의 두 배인 1600명이었다”고 전했다. 첫째날 행사로 K-POP 커버댄스 경연대회에서는 어썸보이즈(AwesomeBoyz)가 우승을 차지하였다. 2등은 비밀 조각이었다. 둘째날 행사로 K-POP 커버보컬 경연대회에서는 보라 에포(Bora Eh Phaw)가 ‘그대라는 시’(태연)을 불러 우승을 차지하였다. 이들은 미얀마 예선전에서 심사한 영상을 KBS로 보낸다. 다시 심사를 하여 다른 국가 우승자들과 경쟁해 심사 통과가 되면 2023년 10월 27일에 개최하는 창원 ‘2023 K-Pop World Festival’에 출전할 수 있는 자격을 가지게 된다. 강금구 주미얀마 한국대사는 “코로나19 이후 한국 문화를 소개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어 기쁘다. 한국 문화가 이렇게 성장하게 된 것은 미얀
“아세안은 내정 불간섭 원칙, 미얀마 의견 반영 없었다.” 미얀마 군사정권이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외교장관들의 공동성명에 강한 반발하며 맹비난했다. 지난 13일(현지시간) 아세안 외교장관들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제56차 아세안 외교장관회의를 열어 미얀마 내 폭력 중단과 대화 개시 등 5개 항 합의 이행을 요구하고 폭력행위를 강력히 규탄하는 공동 성명을 발표한 바 있다. 미얀마 매체 이라와디 18일자에 따르면 미얀마 외교부는 성명을 통해 “아세안 외교장관 공동성명은 ‘평화로운 수단’을 통해 민주주의를 회복하려는 군정의 노력을 언급하지 않았다”며 맹비난했다. 아세안의 내정 불간섭 원칙을 거론하며 공동성명 초안 작업에 회원국으로서 성실하게 참여했음에도 최종 성명에서는 미얀마의 의견이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군정 수장인 민 아웅 흘라잉 총사령관은 "올 1월부터 7월 11일까지 총 489건의 폭발로 782명의 군인이 사망했다"며 "국가 전반에 걸쳐 안정과 법치를 회복하기 위해 해야 할 일이 많이 남아있다”며 국가비상사태 연장을 시사했다.
“신변 안전-인적-물질적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야간 통행금지 시간 지켜주세요.” 미얀마 한인회가 18일 공지를 통해 “야간 통행 금지 시간 이동을 자제해달라”고 당부했다. NUG(임시정부인 민족통합정부)와 혁명세력이 네피도를 공격하겠다는 공식 발표와 함께 양곤에서도 테러 목적의 폭발 사건이 증가하고 있다. 미얀마 군사 위원회는 보안 강화와 함께 야간 통행금지(0시 ~ 4시) 단속 및 처벌 수위를 높이라는 지시를 내렸다. 미얀마 한인회는 “이미 우리 국민 4명이 야간 통행 금지 위반으로 군경에 체포 당한 후 조만간 강제 추방이 예상되는 상황에서도 늦은 시간까지 음주후 통행금지 시간 위반한 사례가 또 발생했다”고 알렸다. 이어 “2021년 이후 미얀마는 비상 계엄 상태 이며 계엄령 위반시 매우 심각한 피해를 입을 수 있다. 이어 “교민 여러분께서는 신변 안전, 인적, 물질적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야간 통행 금지 시간 이동을 자제하여 주시길 당부한다”고 부탁했다. 아울러 최근 클럽, 바 등에서 대마초, 엑시터시 등 불법 마약류가 유통되고 있다며 “마약 사범의 경우 한국과 미얀마 양국 모두 높은 수준의 벌칙이 적용되오니 절대 이용을 삼가 하시기 바랍니다”고 덧붙였다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은 여전히 미얀마 문제로 분열되어 있다.” 아세안 외교장관들이 다시 한번 미얀마 폭력 사태를 규탄했다. 자카르타 포스트(The Jakarta Post) 등 현지 미디어에 따르면 아세안 외교장관들은 13일(현지시간) 제56차 아세안 외교 장관회의에 대한 공동 성명을 냈다. 2021년 4월 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서 합의한 미얀마 내 폭력 중단 등 5개 항 이행을 촉구했다. 외교장관들은 "우리는 미얀마의 발전에 대해 논의했고, 5개 항 합의가 미얀마의 정치적 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주요 기준이라는 우리의 일치된 입장을 재확인했다. 우리는 지속적인 폭력행위를 강력히 규탄하고 관련 당사자들이 즉각 구체적인 행동을 취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또한 미얀마 분쟁의 모든 당사자에게 "인도적 지원과 포용적인 국가 대화를 위한 환경을 조성하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이 같은 공동성명은 미얀마 문제 대응문제로 하루 늦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미얀마 스탠더드 타임 데일리(The Standard Time Daily)는 14일 페이스북을 통해 “아세안 외교장관들이 7월 12일 공동성명을 발표할 예정이었으나 7월 13일 오후까지 공동성명을 발표하지
“코로나19와 정치적 위기 등 어려운 상황이지만 봄날은 다시 온다.” 미얀마 한인봉제협회는 2023년 5월 3일 양곤 흘라잉따야 타운십에 있는 펀라잉 골프클럽에서 상반기 골프대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골프대회는 김성환 회장을 비롯한 19대 미얀마 한인봉제협회 회장단 출범 후 처음으로 열린 대회다. 이노 그룹(INNO Group)에서 플래티넘 협찬사로 3150만 짯(1만 5000달러 X 2100짯), 실버 협찬사로 A bank가 300만 짯을 하여 참석자 모두 무료로 참석했다. 특히 협회사 및 한인사회 주요 인사들을 초청하여 140여명이 양곤 최고의 골프장에서 골프를 치는 시간을 가졌다. 대회 이후에는 야외에 마련된 저녁식사를 즐기며 다양한 시상과 친목을 도모하는 시간을 가졌다. 김성환 미얀마 한인봉제협회 회장은 “처음으로 펀라잉 골프클럽에서 행사를 진행하면서 날씨로 우려가 있었다. 그렇지만 다행히 좋은 날씨에 다같이 즐겁게 골프 경기를 진행할 수 있어 기쁘다. 플래티넘 협찬을 한 이노그룹에 감사한다”고 말했다. 이병수 미얀마 한인회 회장은 “좋은 날 좋은 사람들과 골프 경기를 하면서 좋은 시간을 보낼 수 있어 좋았다. 미얀마 한인봉제협회 회원사 모두 승승장구하
미얀마에서 군부 쿠데타 이후 110여명이 숨지는 최악의 민간인 학살이 자행되었다. 미얀마 군부는 지난 11일(현지시간) 민간인이 참석한 행사에 공습했다. 이로 인해 공습으로 어린이, 임산부를 포함해 최소 110명이 숨졌다. 2021년 2월 쿠데타 이후 최악의 민간인 희생이었다. ■ 전투기가 군중을 향해 직접 폭탄...어린이들 유골 50구 이상 발견 이라와디 등 외신에 따르면 군부는 미얀마 사가잉주 깐발루구에서 열린 임시정부의 사무소 개소식 행사장을 표적 공습했다. 목격담에 따르면, 오전 8시쯤 전투기가 군중을 향해 직접 폭탄을 투하했다. 30분쯤 후에는 헬리콥터가 나타나 사격을 가했다. 이라와디에 따르면 한 목격자는 “도랑에서 사람들이 잘려나간 모습과 아이들의 잘려나간 팔다리와 흩어진 신체 부위를 보았다. 행정실이 있던 건물도 전소됐다”고 말했다. 시신 수습에 참여한 현지 자원봉사자들은 14세 미만 어린이들의 유골 50구 이상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 공격으로 사망한 아이들 대부분은 초등학생들이었다고 전했다. 당초 사망자가 53명, 부상자는 20명으로 집계됐다. 이후 뉴욕타임스(NYT)는 현장 구조대원을 인용해 적어도 100명 이상 사망한 것으로 확인됐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