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일 신한은행은 서울옥션블루와 신한은행이 디지털 자산 공동 사업 추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서울옥션블루는 미술 경매 시장의 대표 기업인 ‘서울옥션’의 관계사다. 이번 업무협약은 양사가 미술품 등 고가의 실물 자산을 디지털 지분으로 판매하는 등 디지털 자산에 대한 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더 나아가서 디지털 지분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금융상품 개발에도 협력할 방침이다. 또한, 향후 플랫폼 개발이 진행되면서 디지털 지분을 보유하고 증명할 수 있는 블록체인 월렛도 개발할 계획이다. 신한은행은 신한 쏠(SOL)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서울옥션블루가 매주 제공하는 이우환, 천경자 등 유명 화가 미술품과 G드래곤의 피스마이너스원과 같은 한정판 스니커즈 등을 디지털 지분으로 구매가 가능하다. 서비스에 대한 반응이 좋아진다면 부동산, 보석 등과 같은 상품과 새로운 서비스로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서울옥션블루 이정봉 대표는 “미술품 자산 역시 중요한 디지털 자산이 될 것”이라며 “서울옥션블루가 가진 미술 거래 시장에서의 노하우, 신뢰감에 기술력을 더한 미술품 공동 구매 플랫폼을 통해 미술품 디지털 자산의 대중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신한
서울지방국세청이 아이콘루프(Iconloop)에 대해 세무조사를 실시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스위스에 위치한 아이콘(ICON) 재단은 별개의 일이라며 선을 그었다. 아이콘루프 측은 세무조사에 대해 확인해줄 수 있는게 없다는 입장이다. 아이콘 재단 김민 회장은 공식 블로그를 통해 “아이콘 재단은 국세청의 감시를 받지 않고 있다. 재단은 스위스 금융 시장 감독 기관(FINMA)의 규제를 받는다.”고 상황을 일축했다. 또한, 아이콘루프와 아이콘 재단은 기술 파트너 관계로 독립적임을 밝히면서 아이콘루프와의 관계도 법적인 요건을 충족했다고 밝혔다. 과세당국이 가상자산 관련 기업을 세무조사에 착수한 것은 이번이 2번째다.
서 울지방국세청이 아이콘루프(Iconloop)의 세무조사를 받는다. 지난 2월 말 서울 중구 을지로에 소재한 아이콘루프 사무실에 서울지방국세청 직원 10명이 파견되어 세무조사에 들어갔다. 조사 기간은 3개월 정도로 6월에 결과가 나올 것으로 보인다. 가상자산 관련 기업에 대한 세무조사는 이번이 2번째로, 1번째는 현대코인이라고 불렸던 에이치닥(HDAC)을 발행하고 운영하는 HN그룹에 지난 1월 세무조사를 받았다. 국세청이 조사하는 부분은 국내 가상자산 발행사들이 해외재단으로부터 국내로 가상자산을 옮겨올 때 발생하는 탈세 문제에 주목했다. 국내는 ICO(Initial Coin Offering)을 금지하고 있기 때문에 스위스, 싱가포르, 몰타 등 해외에 별도의 재단을 설립 후 ICO를 진행한다. 이후 국내로 자금을 들여오는데 이 과정에서 탈세 여부를 조사하는 것이다. 아이콘루프에서 운영하는 아이콘(ICX) 코인은 스위스에 재단을 두고 있다. 2017년 9월 재단이 설립됐고 2018년 스위스에서 ICO가 진행됐다. 당시 조달한 이더리움(ETH)은 4200만 달러(한화 약 472억 원) 정도로 추산된다. 당시 이더리움 가격이 30만 원 선이라는 점을 고려했을 때 현
피어테크가 우리펀드서비스와 ‘디지털 자산 기업회계 플랫폼’ 런칭을 위해 손을 잡았다. 가상자산 거래소 지닥(GDAC)의 운영사인 피어테크(Peertech)는 우리금융그룹의 자회사인 우리펀드서비스와 ‘디지털 자산 기업회계 플랫폼’ 런칭 계약을 체결했다. ‘디지털 자산 기업회계 플랫폼’은 고객이 보유하거나 운용하는 디지털 자산에 대한 전체 운용 과정을 관리할 수 있는 IT 솔루션이다. 피어테크와 우리펀드서비스가 공동 개발 후 런칭하고, 피어테크의 플랫폼을 통해 제공될 예정이며, 우리펀드서비스가 운영과 개발을 담당한다. 2021년 상반기 내에 런칭을 목표로 하고 있다. 피어테크의 한승환 대표는 "해당 솔루션을 통해 기업들이 더욱 쉽고 편리하게 디지털 자산에 투자하고 적법한 회계 및 세무처리를 할 수 있다. 앞으로도 제도권 내에서의 디지털 자산을 위한 여러 시스템과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노력을 기할 것"이라고 전했다.
가상자산 거래소 에이프로빗(Aprobit)이 삼성화재해상보험과 ‘개인정보보호 배상책임보험’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에이프로빗은 2020년 2월에 투자자 정보 및 자산 보호 등 투자자의 안전한 거래환경 조성을 위한 목적으로 삼성화재와 보험계약을 체결했었다. 당시 보험계약은 두나무가 운영하는 업비트(Upbit) 이후 업계에서는 2번째 보험 계약이었다. 2020년 6월 1일 정식 론칭한 가상자산 거래소 에이프로빗은 ㈜에이프로코리아가 운영하고 있다. 신규 상장 서비스 ‘에이플러스(Aplus+)’를 통해 상장 프로젝트의 적극적인 마케팅 지원에 나서고 있다. 김병준 에이프로빗 대표는 "에이프로빗은 투자자 보호를 최우선 순위로 생각해 지난해 삼성화재 보험 체결을 비롯한 정보보호관리체계(ISMS), ISO27001 등 주요 정보보안 인증을 완료했다"며 "오는 3월 시행되는 특정금융정보법(특금법) 개정안에 맞춰 진행 중인 실명계좌까지 획득하게 되면, 공식 가상자산 사업자(VASP)로서 향상된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디지털거래소(대표 김석진)이 운영중인 가상자산 거래소 플라이빗(Flybit)이 자금세탁방지(AML) 교육을 임직원에게 실시했다. 자금세탁방지란 금융회사 등이 고객의 자금이 테러리스트나 불법 행위 등을 위한 자금세탁행위에 이용되지 않도록 조직을 구성하고 업무체계를 갖추고 시스템을 구축하는 의무를 다하는 행위를 총칭한다. 또한 가상자산 업계에 ‘특정금융거래정보의 이용 및 보고에 관한 법률’, 소위 특금법이 3월 25일부터 실행됨에 따라 이에 대비하기 위한 것도 있다. 임직원들이 준법의식과 업무수행능력을 향상하고 자금세탁방지 업무의 실무활용도 제고와 글로벌 기준 자금세탁 방지 체계 등을 공유하는 것이 이번 교육의 목적이다. 교육 내용은 자금세탁방지기구(FATF)의 국제 기준, 특금법 싱행령 개정안 주요 내용, 국내 자금세탁방지 제도, 고객확인의무 등에 대한 주제로 진행됐다. 플라이빗 자금세탁빙지 팀 최왕도 팀장은 “이번 교육을 시작으로 임직원들이 자금세탁방지(AML) 제도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도록 정기적인 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며 “직무별 차등화된 교육을 신설하여 임직원의 업무 전문성을 향상시킬 계획이다”고 설명했다.
오리진 프로토콜이 NFT 경매 시스템을 선보인다. 오리진 프로토콜(Origin Protocol)의 P2P 마켓 플레이스인 디샵(DShop)이 여러 유명 인플루언서들의 NFT를 경매로 판매하는 서비스를 선보였다. NFT는 DJ이자 프로듀서인 블라우(3LAU)의 NFT다. 데뷔 3주년을 기념해 한국 시간 기준 2월 26일 12시부터 28일 12시까지 2일간 진행하고 경매에 참여한 사람들은 총 33개의 NFT 중 1개의 보상으로 스폐셜 에디션 바이닐 레코드와 미공개 음원, 그리고 음악 프로듀싱 작업 경험 등의 상품이 포함됐다. 경매로 나온 Ultravlolet의 앨범 컬렉션은 전체 앨범인 온체인(On-Chain) 토큰화되어있고 경매 종료 후에는 현물 교환을 위한 이메일 초대장이 송부되어 메타데이터가 블록체인에 기록된다. NFT를 재판매할 경우에 실제 제품을 보유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해서도 추적할 수 있다. 오리진 프로토콜의 공동 창업자 매튜 리우(Matthew Liu)는, “음악가, 아티스트 및 다양한 분야에 종사하는 크리에이터들이 자신의 가진 비물질적 제화를 수익화하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디샵 NFT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히며, “오리진 디샵의 NFT
해외 B2B2C 세일즈가 가능한 해외 무역 플랫폼 케일리(KAILY)가 오픈된다. 해외 무역 스타트업 ‘에이전시팀’(대표 송지연‘가 패션 및 라이프스타일 브랜드를 위한 무역 플랫폼을 개발했다. 2019년 5월 창업 이후 ㈜LF의 4개 브랜드 및 20여 개의 패션 디자이너 브랜드의 중하ㅗ권 및 동남아시아권 해외 세일즈를 진행하면서 쌓인 노하우를 바탕으로 브랜드가 해외 바이어 및 현지 플랫폼을 통해 직접 판매가 가능한 B2B2C 비즈니스 모델의 플랫폼을 런칭했다. 케일리에 입점하게 되면 신상품 출시 7일 이내에 해외 바이어와 해외 B2C 판매 플랫폼에 상품을 소개하면서 B2B2C 판매가 가능하고 해외 소비자가 바이어, 플랫폼을 통해 주문을 넣으면 케일리의 시스템을 통해 주문 처리부터 배송, CS, 수출 등록 등 전 과정이 진행된다. 해외 소비자 주문이 들어오면 해당 상품을 케일리 물류센터에 입점하게 되면 그 이후의 시스템은 전부 케일리 시스템에서 진행된다는 뜻으로, 브랜드의 해외 세일즈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케일리에는 40여 개의 브랜드가 입정해 총 1000억 원 규모의 B2B 파트너 바이어와 전자상거래 플랫폼이 세일즈를 진행 중이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