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3월 27 목요일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제3회 소프트웨어 마켓 페어’(SW Market Fair)가 개최된다. 이번 행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사단법인 한국상용소프트웨어협회가 주관한다. ‘소프트웨어 마켓 페어’는 올해 3번째를 맞이하는 행사다. 전 세계가 미래 선도형 성장동력의 확보를 위해 새로운 소프트웨어(SW) 기술 등이 주도하고 SW기반의 서비스화로 시장이 개편되는 중이며, 급변하는 소프트웨어 생태계 환경에 대응하고 SW 중심의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발전하고 지속 가능한 혁신성장 토대를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핵심 트렌드에 맞는 소프트웨어(SW) 산업의 미래 비전을 제시하고 대한민국의 공공 정보화 발전을 위해 민간의 우수 SW와 Saas(Software as a Service)를 활용할 기회를 제공하고 상용(SW)나 서비스형 SW(SaaS)를 이용하고 보급 및 확산하기 위한 목적으로 마련된 행사다. 행사는 주최 주관, 후원사 소개와 키노트(Keynote), 소프트웨어(SW) 분야별 발표, 전시 투어로 구성되어 있다. 전시 분야도 상용SW(조달제품), 클라우드 공공SaaS 제품 등으로 분류되어 있다.
대한항공이 글로벌 항공제작사 보잉(Boeing)과 세계 최대 항공기 엔진 제작업체 GE에어로스페이스(GE Aerospace)와의 협력을 강화한다. 글로벌 항공기 공급망 문제에 대비하고 적시에 차세대 기단을 도입하기 위해서다. 지난 3월 21일 대한항공(Korean Air)은 미국 워싱턴 D.C.에서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 켈리 오트버그(Kelly Ortberg) 보잉 최고 경영자(President & CEO), 러셀 스톡스(Russell Stokes) GE에어로스페이스 상용기 엔진 및 서비스 사업부 사장 겸 최고 경영자(Aerospace Commercial Engines & Services President & CEO) 등 3사 최고 경영진이 만나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대한항공은 통합 항공사 출범에 맞춰 기단을 확대하고 업그레이드하기 위해 차세대 최신형 항공기 도입에 적극 나서고 있다. 특히 전 세계적으로 신형기 수요가 높아지는 가운데, 항공기 공급분을 조기에 확보해 중장기 기재 계획을 차질없이 수행한다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 대한항공은 보잉사와 지난 2024년 7월 영국 ‘판버러 국제 에어쇼’(Farnborough In
필리핀 ‘국가경제개발청’(NEDA) 이사회는 지역사회의 회복력과 인프라 개발을 강화하는 프로젝트를 승인했다. 프로젝트 예산안 규모는 706억 페소(원화 약 1조 8,038억 원)이다. 국가경제개발청은 마르코스 대통령이 의장으로 있는 기관이다. NEDA가 승인한 이 프로젝트는 ‘사회복지개발부’(DSWD)가 제출한 지역사회 회복력 프로젝트(PCRP)로 567억 페소 규모의 프로젝트로 자연 재해와 같은 경제적 충격에 대한 지역 사회의 회복력 강화를 목표로 한다. PCRP는 세계은행(World Bank)의 지원을 받고 있으며, DSWD의 사회서비스 제공을 위해 사회 주도 개발 프로그램의 후속 프로젝트로 기획됐다. 필리핀 사회의 높은 빈곤율과 보건적으로 발육 부진률이 높은 지역을 대상으로 약 500개 지방에 413만 가구가 혜택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NEDA 아르세니오 발리사칸 장관은 “지역적 성장을 우선시함으로써 우리는 인프라를 개선할 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지속 가능한 경제적 기회를 창출하고 있다.”면서 “이러한 게획은 모든 지역이 번창하고 국가적 발전을 이끄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국가에 대한 우리의 비전을 반영한다.”라고 승인한 프로젝트를 정부의 포
‘SK온’(SK on)이 일본 자동차 제조사 ‘닛산자동차’에 약 15조원 규모의 전기차 배터리를 공급한다. 국내 배터리 3사 전체를 통틀어 단일 계약 기준 역대급 수주다. 지난 3월 19일 SK온은 닛산과 2028년부터 2033년까지 6년간 총 99.4GWh 규모의 배터리를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중형급 전기차 약 100만대에 탑재할 수 있는 물량이다. 양사 모두 구체적인 계약 금액은 공개하지 않았지만, 계약 규모는 약 15조 원이 넘을 것으로 추산된다. 이는 SK온이 체결한 배터리 공급 계약 가운데에서도 상위권에 해당하는 대형 수주로 국내 3사 전체에서도 단일 계약 기준 손꼽히는 역대급 규모다. SK온이 공급하는 배터리는 고성능 하이니켈 파우치셀이며, 생산은 북미 지역에서 이뤄질 계획이다. SK온은 미국 조지아주에 연산 22GWh 규모의 자체 공장을 가동 중인 데다 합작법인 형태로 조지아주, 켄터키주, 테네시주 등에 총 4개의 신규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닛산 아메리카 크리스티안 뫼니에 회장은 “이번 계약은 닛산의 북미 지역 내 전동화 여정에 있어 중요한 이정표로 미국에 대한 투자 의지의 증거.”라며 “SK온의 현지 배터리 생산 역량을 활용해
포스코홀딩스가 전략적 협력 관계인 일본제철 주식 4,600억원어치를 매각한다. 비핵심 자산인 일본제철 지분을 팔아 그룹 차원에서 진행 중인 리밸런싱(구조조정)에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지난 3월 19일 포스코홀딩스는 사업보고서에서 4,670억 원 규모의 일본제철 주식을 매각 예정 자산으로 분류했다고 밝혔다. 매각 시기와 방식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포스코홀딩스와 일본제철은 전략적 제휴 관계를 강화하기 위해 2000년대 초반부터 상호 간에 주식을 일정 비율 보유해왔다. 그러다 일본제철이 지난 2024년 9월 미국 US스틸 인수를 추진하면서 자금 확보의 일환으로 포스코홀딩스 주식 289만 4,712주(3.4%)의 매각을 결정했다. 당시 포스코홀딩스는 일본제철 주식을 매각할 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이번에 주식 매각을 결정하면서 25년간 이어져온 두 회사 간의 지분 관계는 정리될 것으로 전망된다. 양의 경쟁적 협력 관계는 1968년 포스코 설립 시점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포스코는 당시 일본제철의 기술 및 자본을 지원받아 포항제철소를 건설했고 일본제철은 포항 영일만에 자리한 포항제철소에 주요 기술자를 파견했다. 이후 포스코가 자체적인 기술 연구・개발(R&a
지난 3월 21일 기술보증기금(KIBO, 이하 ‘기보’)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과 협력해 중소벤처기업 연구개발(R&D) 전주기를 지원하는 ‘버드’(BIRD, Bridge for Innovative R&D) 프로그램'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버드 프로그램은 융자와 출연을 연계해 단계별로 R&D 자금을 지원하는 중소벤처기업부 혁신 지원 모델이다. 올해 시행되는 버드 프로그램은 연구개발 기획부터 사업화까지 전 과정을 지원하기 위해 세 단계로 운영된다. 먼저 1단계에서 총 90개 기업을 선정한다. 선정된 기업에는 개발 기획 자금 2억원 보증과 함께 보증비율 상향, 우대 보증료율 적용, 투자 우선심사 추천 등의 혜택이 제공된다. 2단계에서는 총 60개 기업을 선정해 기정원이 2년 동안 최대 5억원을 출연금 형태로 지원한다. 3단계에서는 연구개발 과제 성공 기업을 대상으로 사업화 자금 최대 30억원을 보증 지원하고, 코스닥 기술특례상장 사전진단평가 평가료를 우대하는 등 혜택을 제공한다. 지원 대상은 최근 매출액이 20억 원 이상이고, 기보 기술사업평가등급이 ‘BB’ 이상인 기업이다. 기술사업평가등급은 1단계 최종 평가에서 확인된다. 버
지난 3월 21일 넥슨게임즈(NEXON Games)가 주주와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이사회에서 150억원 규모 자기주식취득 신탁계약 체결을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계약 기간은 3월 21일부터 오는 9월 22일까지로, 계약 체결 기관은 NH투자증권이다. 1주당 1만 2,220원으로, 보통주 총 122만 7,495주를 취득할 예정이다. 넥슨게임즈 관계자는 “최근 주가 하락 국면에서 주가를 안정화하고 주주 가치를 제고하고자 자기주식 취득을 추진한다.”며 “저평가된 주식을 매수해 시장에 긍정적인 시그널을 전달하고 기업 가치를 제고하기 위한 기업 밸류업 측면도 고려했다.”고 밝혔다.
대한항공이 오는 2027년 ‘통합 대한항공’ 출범을 앞두고 공항 라운지(lounge)를 확장・개선하고, 기내 좌석은 비즈니스석과 이코노미석 사이 등급도 신설하기로 했다. 신규 CI(기업 이미지) 공개에 이어 아시아나항공과 통합 완료 이후 공통적으로 적용할 체계 구축에 나선 것이다. 지난 3월 17일 대한항공(Korea Air)은 고급화 전략을 발표했다. 인천공항 2여객터미널에 있는 기존 라운지 4곳을 개조해 6곳으로 늘리고, 좌석과 총면적을 각각 2배, 2.5배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미국 LA(로스앤젤레스)와 뉴욕 존 F. 케네디 공항에서 운영 중인 라운지도 개편한다. 우선, 아시아나항공이 향후 2여객터미널로 이전하기 때문에 현재 인천공항 1여객터미널의 아시아나항공 라운지 4곳은 차례로 문을 닫고 통합 대한항공 고객은 2터미널 라운지를 이용하게 된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일반 라운지를 더 쾌적하고 고급스럽게 바꾸고, 일등석 라운지는 최고급 호텔에서 휴식하는 듯한 환경으로 조성할 예정.”이라며 “각 라운지엔 바텐더와 바리스타가 상주하는 라이브 키친과 베이커리, 즉석 누들(면) 바도 운영할 계획”이라고 했다. 비즈니스석(프레스티지석)과 이코노미석 사이 등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