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카르타 경전철 발주처인 JAKPRO에 한국의 개발경험과 기술을 전수해줍니다." 한국철도시설공단(이사장 김상균)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경전철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한 역량강화사업관리(Project Management Consulting)용역 계약을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 역량강화사업이란 개도국의 지속가능한 개발에 필요한 기술습득을 위해 기술인력, 정책입안자, 공무원, 분야별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현지교육 및 초청연수를 통해 한국의 개발경험과 기술을 전수하는 인적자원 개발사업이다. 철도공단은 자카르타 경전철 1단계 건설사업 수행 중 경전철 운영 및 유지보수 분야에 대한 발주처(자카르타 자산관리공사, 이하 JAKPRO) 요청으로 2019년 10월 국내 철도 운영기관인 서울교통공사(주관사)와 네오트렌스(신분당선 운영사)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하였고, 한국국제협력단(KOICA)으로부터 이 사업을 수주했다. 자카르타 경전철 1단계 건설사업(5.9km)은 철도공단을 비롯한 한국 컨소시엄이 시스템분야를 수주하여 2017년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공사를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특히, 철도공단은 자카르타 경전철 발주처인 JAKPRO와 인니 교통부 등을 대상으로 조직-
인도네시아의 우버로 통하는 고젝(Gojek)이 인도네시아 택시 운수기업인 블루버드(PT Blue Bird Tbk)의 지분 4.3%를 3000만 달러(한화 약 357억 원)에 인수해 업계의 시선을 집중시켰다. 블루버드는 2월 초에 금융당국에 신고 절차를 거쳐 고젝에게 주식 1억 800만 주를 주당 3800 루피아(한화 약 331 원)에 매각했다. 블루버드는 2017년 고젝의 어플리케이션에서 고블루버드(GoBluebird)를 통해 블루버드의 택시를 호출하는 기능을 추가하는 등의 서비스 제휴를 맺은 바 있다. 이번 고젝의 블루버드 지분 인수 결정은 정체된 고젝의 새로운 성장 동력을 마련하는 상장 준비 작업인 것으로 보인다. 고젝은 토코피디아(Tokopedia), 트래블로카(Traveloka), 부카라팍(Bukarapak) 등 인도네시아 유니콘 기업(기업 가치가 10억 달러 이상인 스타트업 기업) 중 4개 중 대표적 기업이다. 고젝은 2018년에 기업공개(IPO)를 인도네시아-미국 나스닥(NASDAQ)에 듀얼 리스팅(Dual Listing)을 위해서 적극적인 해외 진출과 더불어 사업성 확대에 나서고 있다. 2019년 12월에는 2015년부터 시작한 고라이프(Go L
암호자산 거래소 코인원 인도네시아(Coinone Indonesia)가 서비스를 개시한지 만 2년이 채 안된 2월 26일에 서비스를 종료한다. 사업성이 아닌 거래소 라이선스 발급 실패가 원인이다. 2월 19일 코인원 인도네시아는 공지사항을 발표하고 거래소 서비스를 종료하고 이용자들이 3월 20일 12시까지 모든 자산을 인출할 것을 당부했다. 만약 이 기간을 넘길 경우에는 4월 30일까지 ID 인증을 통해 수동으로 출금과정을 거쳐야 한다. 3월 26일 이후부터는 자산 거래가 자동적으로 취소된다. 한국 4대 거래소 중 하나로 불리는 코인원(Coinone)은 2018년에 인도네시아의 수도 자카르타(Jakarta)에 코인원 인도네시아를 설립하고 동남아시아 시장 진출을 선언했다. 하지만 인도네시아 상품선물거래감독청(BAPPEBTI)는 2020년 2월부터 당국의 인가를 취득한 거래소에만 서비스를 허가했고, 코인원은 발급에 실패하여 거래소 사업을 종료하게 됐다. 코인원 관계자는 "보안 문제나 다른 문제는 없었다. 규제에 따른 순수한 사업적 결정이다."라고 말했다.
인도네시아의 대외채무가 2019년 4분기에 4043억 달러(한화 약 481조 원)를 기록해 전년 대비 7.7%가 감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인도네시아는 신중한 원칙을 적용한 건전한 외채구조를 유지하는 국가 운영 전략으로 대외 채무를 관리 중이다. 뱅크 인도네시아(Bank Indonesia)에 따르면, 인도네시아의 총 대외채무는 4043억 달러(한화 약 481조 원)로 정부와 중앙은행이 가진 공적채무는 2029억 달러(한화 약 242조), 국유기업을 포함한 민간채무는 2041억 달러(한화 약 240조 원)다. 사유는 인도네시아 증권 시장에 외국 자본의 유입으로 보인다. 특히 유로화와 미국 달러화로 구성된 이중 통화 채권(Dual Currency Bond)의 발행이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이중 통화 채권은 이자 지급 통화와 원금 상환 통화가 상이한 채권을 의미한다. 인도네시아의 경제 전망과 금융 시장에 대해 투자자들의 신뢰 결과로 나타난 것으로 뱅크 인도네시아는 분석했다. 외채 비율은 건설부문이 19.1%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했고, 교육이 16.6%, 공공행정은 16.2%, 안보 및 강제 의무 사회 보안 부분은 15.4%, 금융 및 보험이 13.3%를 차지했다.
만약 인도네시아 어느 한적한 시골의 도로표지판에 수라바야까지 100킬로미터 남았다는 표지가 있다면 수라바야의 어느 지점까지의 거리를 말하는 것일까? 바로 수라바야 우체국까지의 남은 거리를 말한다. 고영훈 한국외대 말레이-인도네시아어과 교수가 네덜란드 식민시대에 개발된 우체부길을 따라 자바섬을 자동차로 서쪽에서 동쪽으로 횡단했다. 그는 “인도네시아를 전공하는 학자로서 오래전부터 이 우체부길에 관심이 있었고 이 우체부길이 주는 의미를 반추해보고자 했다. 나는 그 길을 따라가 보기로 하였다”고 머리말에 썼다. 그리고 그 여정을 책으로 낸 것이 ‘자바 우체부길’(한국외대 지식출판원)이다. 저자에 따르면, 자바 우체부길은 자바섬 서쪽 끝인 안야르(Anyar)에서 시작해 동쪽 끝인 빠나루깐(Panarukan)에서 끝나는 총 길이 1000킬로미터의 도로다. 보고르-반둥, 뚜반-그레식 구간을 빼면 현재의 인도네시아 1번 국도와 거의 일치한다. ‘자바 우체부길’은 자바인들에게 자바 우체부길은 근대화가 아니라 고통의 상징으로 기억되고 있다. 네덜란드령 동인도(Hindia Belanda, 현재 인도네시아)의 제33대 총독인 다엔델스가 재임기간인 1802년부터 2년간 만든 길로,
[인터뷰] 24년 동남아 연구 전문가 김이재 교수 EBS ‘세계테마기행’ 인도네시아 편 코디 “칼리만탄의 물소, 아프리카 풍광 못지않은 장관에 푹 빠질 거예요.” 24년간 동남아 연구를 해온 문화지리학자 김이재 인천교대 사회교육과 교수가 이번에는 인도네시아 여행 특급 가이드를 자청했다. 2월 17일부터 방영될 EBS '세계테마기행' 인도네시아 편에 길잡이로 나서는 김 교수는 세계지리 전문가다. 세계 100여 개국을 답사한 문화지리학자이자 영어, 일본어, 독일어, 베트남어, 마인어(말레이-인도네시아어를 구사하는 여행전문가다. 이번에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던 인도네시아의 오지 등을 시청자들에게 소개하면서 뿌듯하다는 그는 “다양한 현장을 배경으로 현지 문화와 사회, 나아가 자연환경까지 깊이있게 소개할 수 있는 기회에 참여해 기쁘다”고 웃었다. ■ “인도네시아의 오지, 붕인섬, 칼리만탄섬-자바 순다족 소개 기뻐” 질문1: EBS ‘세계테마기행’ 인도네시아 휴먼로드 편에 참여하게 된 소감을 듣고 싶다. EBS ‘세계테마기행’은 현재 공중파에서 거의 유일하게 남아 있는, 세계 문화를 소개하는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이다. 누적 시청률이 10%를 훌쩍 넘는 EBS 간판 프로
한국철도시설공단은 왜 인도네시아에서 현지에 두 개의 법인을 갖고 있을까? 한국철도시설공단이 인도네시아 현지에 2개의 법인을 설립해 각각의 법인이 사업을 수주하고 있다. 그 이유를 보니 복수 면허 보유가 불가능한 현지 법률 때문이었다. 2005년 중국에서의 사업 수주를 시작으로 인도,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등으로 K-철도를 만들어 동아시아 철도 공동체를 꿈꾸는 철도시설공단이 인도네시아에 현지 법인을 설립했다. 지난 1월 26일 수도권본부에서 열린 ‘제 236회 이사회’에서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현지법인 설립안을 통과시키고 2년간 법인을 존속시킬 예정이다. 이는, 자카르타 자산관리공사(JAKPRO)가 발주한 183억 원 규모의 자카르타 경전철 2단계 건설공사와 4200억 원 규모의 차량 발주 사업관리를 총괄하는 사업관리용역(PMC)의 수주로 컨설팅 용역 면허 법인 설립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한편 한국철도시설공단은 2017년 자카르타 경전철 1단계 시스템 공사를 수주할 때 이미 건설 면허를 보유한 인도네시아에 대표 사무소를 설립해 운영 중이다. 이번 경전철 2단계에 설립될 현지 법인과 자카르타 경전철 1단계 시스템 공사를 수주한 법인은 별도로 운영된다. 한국철도시
한동대학교(총장 장순흥)는 유네스코 유니트윈 사업의 일환으로 지난 4일부터 8일까지 인도네시아 숨바 섬 와잉가푸 시에 소재한 Universitas Kristen Wira Wacana Sumba(이하 UNKRISWINA)에서 도시 환경 개선을 위한 공동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에는 한동대 구자문 교수(공간환경시스템공학부), 제임스 데이비스 교수(국제법률대학원), UNKRISWINA 인드리 교수, 타리간 교수, 페카랑 교수 등 총 13명의 교수가 참여해 강의를 진행했으며, 한동대 학생 6명과 현지 학생 약 25명이 참여했다. 현재 2800만 명에 달하는 인도네시아 국민이 극심한 빈곤(절대빈곤율 9.41%)에 시달리고 있다. 소수의 섬을 제외한 대다수 인도네시아 섬들은 빈부격차를 비롯해 교통시설 부족 및 인프라 부족 등 문제에 시달리고 있다. 심포지엄이 개최된 소순다열도의 숨바 섬은 인프라 부족, 교통시설 부족, 경제산업 발달 미비 등으로 인해 타지역에 비해 빈부격차가 심한 편이며 안전한 식수 공급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숨바 섬의 열악한 도시 환경 개선과 경제 발전을 위해 사전에 진행된 리서치 자료를 바탕으로 주거 및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