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한아세안포럼은 ㈜파미티티와 (재)한국식량안보연구재단 협력하여 식량안보, 국제협력 강화, 기후변화 대비를 위한 해외 농장 개발 및 국토 확장을 목적으로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포괄적인 식량안보 강화와 해외국토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복잡한 국제정세와 기후변화로 인한 식량 공급의 불안정성 속에서 커다란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중요한 기회로 작용할 것이다. 한아세안포럼은 아세안 국가들과의 협력을 통해 경제, 사회, 문화 전반에 걸친 협력 증진을 도모하고 있다. 특히 농업 분야에서도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포럼은 아세안 지역의 지속 가능한 글로벌 식의약산업 발전을 촉진하고, 국제적 협력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파미니티는 한아세안포럼과 함께 지난 십 수 년간 아세안 국가들에 의약품 도서를 100억 원 이상의 규모로 지원해왔다. 이러한 노력은 파미니티를 국제적인 자산으로 자리매김하게 했으며, 글로벌 네트워크와 신뢰를 구축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글로벌 강소기업으로서의 입지를 다져온 ㈜파미니티는 기억력과 학습 능력, 치매예방, 인지 기능 강화를 위한 BF-7TM을 비롯해 여성과 남성의 항노화 천연식의약품인 MS-
말레이시아가 조만간 브릭스(BRICS)에 합류할 것으로 보인다. 안와르 이브라힘 말레이시아 총리는 중국 매체 관차(Guancha, 영어로는 옵저버 네트워크)의 설립자인 이시모(Li Shimo) 회장과의 대담에서 남아프리카공화국으로부터 피드백을 받은 후 곧 브릭스 가입 절차를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는 정책을 밝혔고 결정을 내렸다. 곧 공식적인 절차를 시작하겠다. 남반구에 관한 한 우리는 전폭적인 지지를 보내고 있다. 룰라 대통령과 브릭스 회원 확대와 관련해 잘 협력하고 있다” 2006년 설립된 브릭스는 처음에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이 만들었고 2011년 남아프리카공화국이 합류하면서 BRICS가 됐다. 지난해 1월 이집트, 이란, 에티오피아, 아랍에미리트가 가입하면서 세를 늘리고 있다. 같이 합류하기로 했던 사우디아라비아는 미국의 눈치를 보면서 가입을 미루고 있고, 아르헨티나는 밀레이 대통령이 친미 외교정책을 밀고 나가면서 가입 의사를 철회했다. 동남아시아에서는 태국, 말레이시아, 베트남이 가입할 것으로 보인다. 태국이 먼저 가입의사를 밝혔다. 지난 11일 러시아에서 열린 브릭스 외무장관 회의에 참석한 마릿 싸응이얌퐁 태국 외교부 장관은 "태국은
아세안에서 중국 선호도가 미국을 앞섰다. 2019년 이후 5년만에 역전이다. 2023년에는 중국 38.9%, 미국 61.1%였지만 2024년에는 중국 50.5%, 미국 47.5%였다. 17일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원 대회의실에서 ‘싱가포르 ISEAS의 The State of Southeast Asia 2024’ 결과 및 추세 분석 세미나가 열렸다. 서정인 전 아세안대사는 “미-중 선호도 역전 현상은 학자-연구소 전문가 답변이 감소한 반면, 중국 비즈니스 관련 경제계 답변이 증가해 중국 선호 결과가 나왔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특히 “대니 싱가포르 동남아연구소(ISEAS) 아세안 학자가 미국 선호 관련 늘쭉날쭉 시소현상을 보였다는 의견도 나름 의미가 있다”고 “아세안이 중국 선호가 최고있지만 우려도 1위도 1위인 이율배반적 특성”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림족호이(Lim Jock Hoi) 전 아세안 사무총장의 5월 8일 발언을 인용 ‘미국의 이중잣대’(대 우크라이나전쟁 대 이스라엘의 중동전) 때문에 일시적 현상으로 분석했다고 소개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러시아 비난과 달리 이스라엘의 여타 중동 국가 침공에 대한 침묵의 이중잣대에 대한 실망감이 작용했다
“ASEAN 10개국 국민이 가장 여행 선호국은 어딜까?” 17일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원 대회의실에서 ‘싱가포르 ISEAS의 The State of Southeast Asia 2024’ 결과 및 추세 분석 세미나가 열렸다. 김형준 강원대 문화인류학과 교수는 ‘신뢰 및 소프트 파워’ 주제발표를 했다. 김 교수는 한국동남아학회 회장를 역임한 아세안 전문가 중 하나다. 선호 거주지(2024) 및 선호 유학지(2020~2023)에서는 선호거주지는 아세안 국가가 1위, 이어 일본과 중국, 호주, 한국 순이었다. 부르나이와 말레이시아, 태국은 한국을 제 3순위로 꼽았다. 선호 유학지는 미국이 가장 높았다. 이어 영국과 유럽연합, 호주-아세안-일본- 중국 순이었다. 아세안(3.7→9.4로)과 중국(0.2→5.4)은 증가했다. 미국(20.3→25.2)과 영국(23.3→15.9)은 감소했다. 선호 여행지는 일본에 대한 선호도(30.4%)가 압도적이었다. 이후 아세안(16.2%), 한국(10.3%), 유럽연합(9.9%)이었다. 아세안을 선호 여행지로 선택한 비중은 브루나잉;서 가장 높았다. 이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순이다. 한국에 대한 여행 선호도는 꾸준히 증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북한을 방문하고 나서 베트남을 방문한다. 베트남 외무부는 푸틴 대통령이 6월 19일~20일에 베트남을 국빈 방문한다고 밝혔다. 푸틴대통령은 2001년, 2006년, 2013년 3차례 베트남을 방문했고 2017년에는 APEC 참석을 위해 다낭을 방문한 적이 있다. 응우옌 푸 쫑(Nguyen Phu Trong)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은 러시아와의 포괄적인 전략적 파트너십을 외교 정책의 최우선 과제 중 하나로 간주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기획투자부에 따르면 4월까지 러시아의 베트남 총 투자액은 9억8000만 달러(약1조3400억원)로 145개국에서 28번 째다. 관세청 통계에 따르면 2023년 양국간 무역은 36억3000만 달러(약4조9700억원)로 2022년에 비해 2.3% 증가했다. 베트남의 최대 무역 파트너이자 지난해 베트남과의 관계를 격상한 미국은 강경 대응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하노이 주재 미국 대사 대변인은 “어느 나라도 푸틴 대통령에게 침략 전쟁을 조장하거나 그의 잔학행위를 정상화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베트남 외무부는 논평 요청에 답하지 않았다. 베트남은 지난 주말 스위스에서 열린 우크라이나
인도네시아에서 뎅기열(Dengue fever) 사례와 사망자가 놀라울 정도로 급증했다. 인도네시아 보건부는 1월부터 4월 중순까지 약 6만2000건의 뎅기열 사례와 475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같은 기간의 2만2500건의 사례와 170명의 사망자에 비해 2.8배 증가한 수치다. 병원들은 늘어나는 뎅기열 환자들로 몸살을 앓고 있다. 의사들은 올해 뎅기열은 많은 사람들이 일반 감기로 착각하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이로 인해 병원 방문이 늦어졌고, 상태가 악화된 경우가 많았다. 최근 발리에서 휴가를 보내다 뎅기열을 앓은 영국인 엠마 콕스(Emma Cox, 27세)는 근육통과 관절통, 전신 발진, 심한 두통을 호소했다. 엠마는 5월 6일 인도네시아의 '파티 섬'으로 알려진 길리에 도착했다. 5일 후 몸이 불편해지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에어컨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방 창문 유리가 깨져 큰 구멍이 났지만 커튼으로 가려져 있어서 볼 수 없었습니다. 하지만 그곳에 머무는 동안 매일 밤 깨보니 물린 몸이었어요” 5월 11일 근육통과 관절통, 그리고 눈 쪽에 작열감이 생겼다. 독감으로 생각해서 일정을 취소하고 5월 17일 영국으로 돌아왔다. 돌아온 뒤 이틀
말레이시아 골프 예약 플랫폼 딤플스(Deemples)는 싱가포르 벤처 캐피탈인 V벤처스(V Ventures)로부터 200만 달러(약 28억원)를 투자 유치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투자금은 딤플스의 성장을 견인하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며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브랜드를 확장하는 데 사용될 예정이다. 아흐마드 달린(Ahmad Daleen) 딤플스 CTO 은 "우리는 이 자금을 최고 수준의 확장성 있는 제품을 개발하는 데 사용할 것이며, 끊임없는 혁신과 제품-시장 적합성 공식에 중점을 두고 궁극적으로 미개척 시장으로 진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투자는 딤플스가 말레이시아에서 지난 4년 동안 매년 사업 규모가 두 배로 늘어났다고 보고한 급속한 성장 기간에 이루어졌다. 또한 이 스타트업은 2023년 처음으로 순이익을 기록했다. 데이비드 웡 CEO 겸 설립자는 Vulcan Post와의 인터뷰에서 "현재 골프장 예약 프로세스에는 여전히 많은 공백이 있다. 일부 골프장은 현재 솔루션을 도입했지만, 골퍼와 골프장 모두에게 완벽한 경험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데이비드는 딤플스가 사용자 측면에서는 우수한 성과를 보여주고 있지만, 골프장 인터페이스 및 통합에 개선의
태국은 금리를 다시 동결했다. 기존 기준금리 2.5%를 유지한 것이다. “현재 기준금리가 경제 상황에 적합하다”고 태국은행(BOT)은 성명을 냈다. BOT 결정은 정부 시각과 배치된다. 세타 타위신 총리는 전날에도 경제 활성화를 위해 기준금리가 내려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경제 지표의 심각성과 금리인하로 얻는 국민들의 이익을 얘기했다. 현재의 저물가 상황이 인플레이션을 유발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금리인하는 이자지출 비용을 낮춘다. 가계 소비는 늘어나고 지역 상권은 활성화된다. 주식시장과 채권시장에 자금이 돌아 기업의 자금조달이 원활해지고, 이는 기업의 재투자로 이어져 경제 활성화 요인으로 작용한다. 하지만 이런 선순환 공식이 들어맞지 않는 국가도 있다. 태국이다. 태국의 제조업과 수출부문 경쟁력은 약화되었다. 1980년대 중반부터 외국인 투자가 밀려들었다. 국민들은 갑작스런 풍요의 늪에 빠졌다. 농업국에서 제조업으로의 변신은 실패했다. 태국은 비만해졌다. 산업주권은 외국자본에게 넘어갔다. 풍요로움은 1990년대 전반까지 이어졌다. 이후 중국시장이, 이어서 베트남시장이 싼 노동력을 앞세워 급부상했다. 외국자본들이 빠져나가기 시작했다. 1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