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오스가 남아시아게임에서 태권도 종목에서 좋은 성적이 내기 바란다.” 임무홍 주라오스 한국대사는 3월 5일도복 200벌을 라오스 태권도연맹에 기증했다. 태권도진흥재단의 지원으로 마련된 도복 200벌, 보호 용품(머리, 몸통, 팔, 다리) 180여개 등 총 5000달러(약 564만 5000원) 상당의 용품이다. 기증식에는 아싸팡통 시판돈(Athsaphangthong Siphandone) 라오스 태권도연맹 회장, 생폰 포나맛(Sengphone Phonamath) 교육체육부 엘리트체육국장, 솜푸 봉사(Somphou Phongsa) 올림픽위원회 부회장을 비롯한 라오스 태권도 수련생들이 참석했다. 임 대사는 “코로나19라는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태권도에 대한 라오스인들의 열정이 식을 줄 모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기증 물품들로 라오스 국가대표 태권도 선수들이 열심히 훈련하여, 올해 11월 말 베트남에서 개최될 예정인 남아시아 게임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전설적인 야구스타 이만수 전 SK와이번즈 감독은 ‘라오스 야구의 아버지’다. 그는 ‘야구’라는 단어조차도 없는 라오스에서 ‘제1회 한국대사배 야구대회’를 만들어내는 기적을 만들었다. 1월 9일부터 시작되어 두 달간 진행된 이 대회는 2월 27일 폐막했다. 라오스 수도 비엔티안의 DGB야구장에서 열린 대회서 첫해 우승팀은 라오J브라더스 남녀 팀들이 차지했다. 그는 국가대표 주전 포수와 삼성 라이온즈의 간판 포수로 포효하는 기합소리로 ‘헐크’로 불리며 한세기를 풍미한 슈퍼스타였다. 그리고 SK와이븐스의 감독 등을 거친 이후 2013년 라오스에 ‘야구 한류’를 개척하기 위해 뛰어들었다. 그는 라오스에 ‘야구’를 보급하고 최초의 팀 결성, 야구협회를 설립하고 드디어 WBSC에 가입해 최초로 대표팀을 결성해 아시아대회에 참석해 ‘라오스의 야구의 아버지’라고 불린다. 인구 720여 만 명인 라오스에서 야구 선수는 ‘제1회 한국대사배 야구대회’에 참가한 6개 팀 선수 120여 명이 전부다. 코로나19로 현지에 가지 못하고 온라인으로 대회를 총괄한 그는 “야구장 없이 축구장을 빌려가며 척박한 환경에서 야구했던”일과 “7년 동안 수많은 선수들이 포기했다. 두 달간 주말 풀
“‘야구’라는 단어조차도 없는 라오스에서 야구대회가...” 세계 최초 ‘제1회 한국대사배 야구대회’가 지난 2월 27일 폐막했다. 라오스 수도 비엔티안의 DGB야구장에서 열린 대회서 첫해 우승팀은 라오J브라더스 남녀 팀들이 차지했다. 라오스는 ‘야구’라는 말이 없는 나라였다. 야구 경기를 본 적도 없는 동남아 최빈국이었다. 그런 국가에서 세계 최초로 대사배(대사 임무홍)가 열렸다는 것 자체가 주변 국가들에게 큰 화제가 되었다. 1월 9일부터 시작되어 두 달간 진행된 이 대회가 열리기까지 산파역을 하는 이가 전설적인 야구스타 이만수 전 SK와이번즈 감독이 있었다. 그는 코로나19로 현지에 가지 못하고 국내에서 온라인으로 대회를 총괄 운영했지만 '야구한류'의사령탑으로 '민간외교' 대사로 큰 역할을 했다. 그는 국가대표 주전 포수와 삼성 라이온즈의 간판 포수로 포효하는 기합소리로 ‘헐크’로 불리며 한세기를 풍미한 슈퍼스타였다. 그리고 SK와이븐스의 감독 등을 거친 이후 2013년 라오스에 ‘야구 한류’를 개척하기 위해 뛰어들었다. 그는 라오스에 ‘야구’를 보급하고 최초의 팀 결성, 야구협회를 설립하고 드디어 WBSC에 가입해 최초로 대표팀을 결성해 아시아대회에 참
한 시대를 풍미한 야구인 ‘헐크’ 이만수 전 SK와이븐스 감독이 야구불모지 라오스에서 ‘야구 한류’라는 민간외교의 새 역사를 썼다. 27일 라오스 수도 비엔티안의 DGB야구장에서 라오스 주재 한국대사관(대사 임무홍 ) 주재관과 공공기관 직원, 기업인 등 교민으로 구성한 야구팀 ‘아싸까오리’가 현지 야구팀 올스타와 친선 경기가 펼쳐졌다. 1월 9일부터 시작된 제1회 한국대사관배 라오스야구대회의 폐막을 기념하는 친선대회다. 인구 720여 만 명인 라오스에서 야구 선수는 대사관배 야구대회에 참가한 6개 팀 선수 120여 명이 전부다. 이 대회를 가장 기뻐한 이는 국내에서 온라인으로 총괄 운영하고 있는 한 세기를 풍미한 스타 이만수 감독이다. 그는 국가대표 주전 포수와 삼성 라이온즈의 간판 포수로 포효하는 기합소리로 ‘헐크’로 불리는 슈퍼스타였다. 그리고 SK와이븐스의 감독 등을 거친 이후 2013년 라오스에 ‘야구 한류’를 개척하기 위해 뛰어들었다. 2013년 창단한 ‘라오J브라더스’가 현지 최초 야구팀이다. 이제 라오스 야구협회 부회장을 맡은 이 감독은 ‘라오스 야구의 아버지’로 불린다. 라오스는 이만수 감독을 통해 야구가 보급된 이후 2018 아시안게임 출전,
“코로나19로 지친 교민들, 설 명절 공동차례상을 차리고 흥겨운 전통놀이로 한마당 열었어요.” 라오스 교민들이 12일 민족 최대명절 설날을 맞아 ‘2021년 라오스 교민과 함께하는 설날 맞이 전통놀이 마당’을 열었다. 재라오스 대한체육회 주관으로 라오스 수도 비엔티안에서 열린 행사에는 주라오스 대한민국 임무홍 대사를 비롯, 각 한인단체장들과 교민 등 150여 명이 참석했다. 차승환 재라오스 대한체육회 회장은 환영 인사말에서 “코로나19로 지쳐있는 라오스 교민들에게 힘과 용기를 드리고, 화합의 시간을 갖고자 전통놀이 행사를 추진했다”고 말했다. 임무홍 주라오스 한국대사는 “새해 덕담과 함께 교민들의 화합과 소통의 시간을 가진데 대하여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 교민의 안전과 교민 지위 향상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인사말을 했다. 이날 전통놀이 행사는 푸른하늘 배움터 공연팀의 축하공연을 시작으로, 한국 고유의 전통놀이인 윷놀이, 제기차기, 투호, 공기놀이 등 전통놀이 경기가 펼쳐졌다. 우승팀에게는 푸짐한 선물을, 청소년 이하 어린이들에게는 새뱃돈도 전달하는 등 교민 간 소통과 화합의 시간을 가졌다. 특히 이날 행사장에서는 설날 차례상이 차려져 눈길을 끌었다. 장만준
라오스 전력공사(EDL)는 최근 중국 기업과 조인트벤처 협약을 맺어 비엔티안에 전기부품 생산공장을 설립하기로 했다 비엔티안 타임즈(Vientiane Times) 19일자에 따르면 ‘라오스 전력공사는 10%의 지분을 보유하며, 부지답사 및 공장설계가 완료되어 라오스 내에서는 최초의 전기부품 생산공장이 될 예정’이라고 전했다. 관계자는 “이 공장의 설립으로 전기부품 가격이 하락할 전망이다. 라오스뿐만 아니라 인근국에도 제품을 공급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라오스의 차기 최고 국가지도자로 통룬 시술리트 총리(54)가 선출됐다. 일간 비엔티안 타임스 15일자에 따르면 라오인민혁명당(LPRP)은 11차 전당대회 마지막날 분냥 보라칫(Bounnhang Vorachith) LPRP 서기장 후임으로 통룬 시술릿(Thongloun Sisoulith) 총리를 선출했다. LPRP 일당 체제인 라오스에서는 당 서기장이 권력 서열 1위로 통상 대통령직을 겸임한다. 임기는 2025년까지 5년간이다. 통룬 시술릿 총리는 10여년 이상 외교 경력을 가진 지도자로 경제개혁, 개방을 통한 대외협력 확대와 내부 부정부패 등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는 등 당내 지지세력이 확고하다. 특히 기존 경제 문제를 개혁하면서 국민들로부터 ‘영웅 총리’라고 불릴 정도로 인기가 높다. 문재인 대통령은 2019년 9월 라오스를 국빈 방문한 데 이어 같은해 11월 개최된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및 제1차 한-메콩 정상회의 참석차 부산을 방문한 통룬 총리와 정상회담을 하고 양국 간 협력 방안을 논의한 바 있다. 라오스는 인구 706만 명으로 세계은행에 따르면 25세 이하의 인구가 전체 인구의 54%(25~54세 36%, 55~64세6%, 65세이상 4%)를 차
“수도 비엔티안을 첨단도시로 바꾸겠다.” 현지 미디어 비엔티안 타임스(Vientiane Times) 7일 보도에 따르면 ‘라오스 수도 비엔티안 시는 최근 메콩강변, 사이세타 경제특구 등 시내 일부 지역을 ICT 스마트 존으로 지정하여 도시를 더욱 현대화’를 가속화한다. 메콩강변과 사이세타 경제특구 지역에는 행정, 상거래, 교통, 교육, 인력개발, 토지 및 도시관리 분야에서 최첨단 기술이 도입될 예정이다. 최근 라오스 정부는 ICT 스마트 존을 포함한 수십 년 간의 도시개발 마스터플랜은 승인했다. 코로나19로 침체된 경제 활성화 조치의 일환이다. 2011년 지정된 사이세타 경제특구는 라오스의 수도인 비엔티안 신도심의 핵심 지역에 위치해 왓 타이 국제 공항에서 19km, 계획된 신공항에서 10km, 중국에서 1.5km 떨어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