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과 캄보디아가 국경분쟁이 발생한 닷새만에 "조건없는 휴전"을 공동선언을 발표했다. 28일(현지시간) 말레이시아 수도 쿠알라룸푸르에 있는 안와르 총리 관저서 긴급 정상 회담을 열고 전격 휴전에 합의했다.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의장국인 말레이시아의 안와르 총리가 중재했다. 품탐 웨차야차이 태국 총리 권한대행(부총리 겸 내무부 장관)과 훈 마네트 캄보디아 총리는 공동성명을 통해 "즉각적이고 조건 없는 휴전에 합의하고 이날 자정(29일 0시)부터 휴전에 돌입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 성명으로 24일 민간인과 군인 최소 35명이 목숨을 잃은 태국과 캄보디아의 국경 분쟁이 발생 닷새 만에 일단 총성이 멎었다. 미국과 중국 외교 관계자들도 중재국 자격으로 이번 회담에 참석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같은 전쟁 종식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몫을 했다. 지난 주말 트럼프는 양국 정상과 각각 통화해 신속히 휴전에 합의하라고 촉구했다. 휴전 중재를 받아들이지 않으면 '무역 협상'을 중단하겠다는 압력을 가했다. 미국은 8월 1일부터 태국과 캄보디아에 각각 36%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통보한 바 있다. 두 나라는 미국과 중국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
“관세협상을 휴전 ‘압박 외교’ 카드로 제대로 활용했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협상 중단” 압박 카드에 태국과 캄보디아는 “휴전에 동의”한다고 성명을 발표했다. 하지만 일부 국경 지역에서는 여전히 교전이 계속 중이다. 트럼프는 26일(현지시간) 자신의 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태국-캄보디아 정상과 각각 통화했다. 양측이 휴전 협상을 위한 회담에 동의했다”고 밝혔다. 무력 충돌 사흘 만이다. 이날 트럼프는 훈 마네트 캄보디아 총리와 품탐 웨차야차이 태국 총리 권한대행에게 각각 전화를 걸어 휴전을 압박했다. 이어 “두 나라는 미국과 '무역 협상 테이블'에 다시 앉기를 원하지만, 싸움이 끝날 때까지는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한다”고도 말했다. 이후 훈 마네트 캄보디아 총리는 성명을 통해 "즉각적이고 조건 없는 휴전을 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캄보디아는 36%의 상호관세를 부과받고 협상 중이다. 태국 외교부 역시 “캄보디아와 휴전 협정을 체결하는 데 동의한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태국도 미국으로부터 36%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한 상태였다. 태국의 종전에 대한 입장은 당초 “캄보디아가 먼저 적대 행위를 멈춰야 협상이 가능하다”는 조건부 입
“인도네시아 대통령과 통화 후 최종 완료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5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와의 무역 협상을 타결했다고 자신이 설립한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Truth Social)를 통해 밝혔다. 이날 트루스소셜에 올린 2개의 게시글과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로 떠나기 전 발언을 통해 “오늘 인도네시아의 존경받는 프라보워 수비안토 대통령과 통화한 뒤 인도네시아와 중요한 무역 협상을 최종 타결했다”고 밝혔다 그가 밝힌 무역협상 타결 내용은 인도네시아는 미국에게 수출하는 모든 상품에 19%의 관세, 미국에서 인도네시아로 수출하는 상품은 관세 및 비관세 장벽이 면제된다. 인도네시아에 대한 이러한 관세율은 트럼프가 지난 4월 국가별 상호관세를 발표할 때와 지난 7일 공개한 관세 서한에서 적시했던 관세율 32%보다 크게 낮아졌다. 이로써 트럼프 대통령의 지난 4월 상호관세 발표 이후 미국과 새로운 협정을 맺은 아시아 국가는 베트남에 이어 인도네시아까지 2곳으로 늘었다. 가장 먼저 무역협정을 체결한 영국까지 더하면 총 3개 국가다. 트럼프는 “우리는 인도네시아에 완전한 접근권을 가지게 될 것이고, 앞으로 이와 비슷한 거래가 몇 건 더 발표될 예정이다
“트럼프 서한을 받은 게 영광이다. 진심으로 감사하다” 미얀마 군사 정권 수장이 자국에 세율 40% ‘관세 폭탄’을 통보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향해 되레 “진심으로 감사하다”고 말해 눈길을 끌었다. 12일(현지시각) 미국 시엔엔(CNN)과 블룸버그 통신, 연합뉴스 등에 따르면, 전날 민 아웅 흘라잉 미얀마군 최고사령관은 트럼프의 관세 서한에 대한 답장을 미얀마어-영어로 공개했다. 그는 “트럼프가 군사정권의 정당성을 인정해줬다. 진정한 애국 정신으로 조국을 번영으로 이끈 트럼프의 강력한 리더십과 세계 무대서 평화를 증진하기 위한 지속적 노력”을 칭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7일 한국과 일본 등 14개국에 다음달 1일부터 시행하는 상호관세율을 적은 서한을 공개했고 대상에 미얀마도 포함됐다. 미얀마에 통보된 관세율(40%)는 태국-캄보디아(이상 36%), 방글라데시(35%), 인도네시아(32%), 말레이시아(25%) 등 주변 동남아시아 국가들보다 높았다. 그런데 그는 트럼프를 칭송하고 나섰다. 그 이유는 미국이 자신들을 미얀마의 공식 정부로 인정했다고 해석해서다. 그는 2021년 2월 아웅산 수치 전 국가고문이 이끌던 민간 정부를 군사 쿠데타로 전복하
트럼프의 미국 정부가 지난 4월 발표한 상호관세 25%를 8월 1일까지 유예했다. 당초 7월 9일까지였는데 시점을 더 늘렸다. 트럼프는 SNS 트루스소셜에 이재명 대통령 수신자로 이 사실을 먼저 공개했다. 백악관 대변인에 따르면 남아프리카공화국, 말레이시아, 미얀마, 라오스, 카자흐스탄 등 약 14개국에도 유사한 통보를 보냈다. 한국의 경우 지난 4월에 발표한 예고 관세율 25%였다. 8월 유예안에도 동일하다. 그런데 일본과 말레이시아는 24%가 25%가 되었다. 유예한다면서 관세율이 더 올랐다. 반면, 라오스는 48%가 40%로 낮아졌다. 한국 산업통상자원부는 8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트루스소셜(Truth Social)을 통해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율 및 발효일자 등이 포함된 서한을 공개했다”고 밝혔다. 해당 서한은 내달 1일부터 한국에 대해 관세 25%를 부과할 예정이라고 명시했다. 산업부는 이번 서한으로 내달 1일까지 사실상 상호관세 부과 유예가 연장된 것으로 보고, 관세로 인한 불확실성을 조속히 해소하기 위해 남은 기간동안 상호 호혜적인 협상결과 도출을 목표로 협상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월가에서도 “기본적으로 상호관세 유예가 다시 8월 1일까지
“중국서 생산량 80%, 아이폰 2배 폭등 의식했나”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스마트폰, 컴퓨터, 하드 드라이브, 반도체 및 반도체 생산 장비 등에 대한 상호관세(Reciprocal Tariff) 부과 면제 조치를 발표했다고 전했다. 미국 관세국경보호국(CBP, Customs and Border Protection)은 11일 오후 10시 36분 ‘특정 물품의 상호관세 제외 안내’ 공고를 홈페이지에 게시하면서 이를 공식화했다. 이 내용에 따르면 스마트폰, 무선통신 기기, 노트북 컴퓨터, SSD, LCD 모니터, 메모리, 태양광 패널, 단결정 반도체 칩, 기타 반도체 장치, 반도체 부품, 직접회로(IC), 광전자 장치 등을 상호관세 부과 면제된다. 이같은 조치는 중국과 대만에 대한 관세 부과로 아이폰과 맥북 가격이 2배 이상 급등하는 것에 대한 미국 소비자들의 반발을 의식했다는 평이 나오고 있다. 현재 아이폰은 전체 생산량의 약 80%를 중국에서 조달하고 있다. 나머지 분량은 인도·베트남·브라질 등 여타 국가로 분산돼 있다. 중국에서 들여오는 품목도 면제 대상이어서 트럼프 정부의 중국에 대한 첫 관세 완화 의미가 담긴다. 삼성전자의 갤럭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올해 첫 해외 행보로 베트남을 찾는다. 11일 베트남 외교부는 시 주석이 오는 14~15일 베트남을 국빈 방문한다고 밝혔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2023년 12월 12일부터 이틀간 베트남을 방문한 바 있다. 2017년 이후 6년만의 국빈방문이었다. 시 주석이 베트남뿐만 아니라 말레이시아-캄보디아 등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3개국을 선택했다. 미-중 관세전쟁 속 세 나라 모두 미국 관세 직격탄 맞았다. 이 때문에 격전지로 떠오른 아세안 우방국들과의 결속 다지기라는 해석이 나온다. 베트남 방문은 지난해 8월 또 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의 중국 국빈 방문 이후 1년이 채 되지 않아 답방이 이뤄졌다. 말레이시아와 캄보디아를 각각 안와르 이브라힘 말레이시아 총리와 노로돔 시하모니 캄보디아 국왕의 초청으로 국빈방문할 예정이다. 시진핑의 베트남을 비롯한 아세안 3개국 방문은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중국 관세 145%라는 초강수와 무관하지 않다. 4월 10일(미국 동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대중 관세를 145%까지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트럼프는 대선 공약에서 보복관세 60%를 때린다고 예고했다. 그런데 취임 두달만에 14
한국계 2세인 앤디 김(본명 Andrew Kim) 하원의원이 6일 선거 결과 뉴저지에서 승리해 최초의 한인계 미국인 상원의원이 됐다. 재미교포 120여년 역사에서 새 장을 열었다. 5일 치러진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후보가 해리스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동시 치러진 상하원 의원 선거에서 앤디 김이 승리했다. 민주당 소속인 김 의원은 뇌물 수수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고 사임한 로버트 메넨데스 상원(18년간 상원의원)의원에 이어 출마, 이번에 당선되었다. 민주당은 본래 뉴저지에서 공화당보다 90만 명 이상의 지지자가 더 많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래서 지난 52년 동안 공화당 상원의원이 선출되지 않았다. 예선에서는 현직 주지사의 부인인 머피 여사도 민주당 후보 지명 경쟁에 뛰어들었다. 그래서 본선보다 더 치열한 격동의 선거를 승리한 주인공이라는 평을 받았다. 김 의원은 본선에서 투표 마감 2시간 후 공화당 경쟁자인 커티스 바쇼를 약 10%포인트 차이로 앞섰다. 뉴욕타임즈는 “이민자의 아들인 42세의 민주당 소속 김은 미국 상원에서 첫 번째 한국계 미국인이자 세 번째로 젊은 의원이 될 것”이라고 주목했다. 김 의원은 오바마 전 대통령이 상원에 입성했던
미국 11월 대선의 승부처는 경합주 6곳이다. 미국 50개 주 가운데 43개 주는 민주-공화 두 당의 한쪽에 기울어져 있다. 쉽게 지지가 바뀌지 않는다. 그래서 양당의 지지세가 비슷한 소위 ‘경합주’로 불리는 위스콘신주와 미시간주, 애리조나주, 조지아주와 네바다주, 펜실베이니아주 등 7개주를 차지하면 승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주목을 받는 곳은 ‘블루 월(Blue Wall)’로 불리는 민주당 선호지역이었지만, 트럼프 전 대통령이 승리했던 2016년 대선에서 민주당에 등을 돌려 경합주가 된 곳이다. 바로 미시간-펜실베이니아-위스콘신이다. 최근에는 언론들이 그 중에서 노스캐롤라이나를 빼고 경합주를 6개로 분류했다. 경합주 6곳 가운데 3곳에서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민주)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공화)이 초박빙 접전을 펼치고 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4일(현지시간) 나왔다. 미 CNN 방송이 여론조사 기관 SSRS에 의뢰해 지난달 23∼29일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오차범위 ±4.7∼4.9%포인트)에 따르면 해리스 부통령은 위스콘신주와 미시간주에서 각각 50%, 48%의 지지율을 얻어 트럼프 전 대통령(위스콘신 44%, 미시간 43%)에 5~6% 포인트의 우
목표는 미국 공화당 대선후보 도널드 트럼프였다. 13일(현지시간) 오후 미국 페실베이니아주 버틀러에서 열린 트럼프 미국 전 대통령의 대선 유세 중 충격이 발생했다. CNN 등 외신들은 유세 도중 여러 발의 총성이 울렸고, 트럼프 전 대통령은 오른손을 귀 옆으로 올리며 응크렸다. 경호원들의 보호를 받으며 급히 대피했다. 귀와 얼굴에서 피가 흐른다고 외신을 전했다. 흘린 피는 직접 총격때문인지 연단으로 몸을 숨기다가 생긴 것인지 즉각 확인되지 않았다. 그는 이후 군중을 향해 오른손 주먹을 번쩍 들어보이며 소리를 질렀다. 선거 캠프는 “트럼프는 상태는 괜찮으며 현재 지역 의료시설에서 검사를 받고 있다”고 전했다. 이번 총격 사태로 유세장 관중 1명이 숨졌다. 총격범 역시 숨졌다고 외신이 현지 당국자를 인용해 밝혔다. 현장 영상을 보면 총격범은 연단 인근의 건물 지붕에 있었다. 백악관 경호국은 “트럼프 전 대통령은 안전하다. 즉시 수사에 착수했다. 적절한 시기에 추가정보를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긴급 대국민 연설을 통해 “총격사고에서 트럼프가 안전해 다행이다. 이것은 용납할 수 없다. 미국은 단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Threat of trials disrupting ex-president’s White House run has all but disappeared. <대법원 판결로 트럼프는 순항하고 있다> 전 대통령의 백악관 진출을 방해하던 재판의 위협이 거의 사라졌다.(출처: Financial Times, 3 July, 2024) 해당 기사는 미국 대법원이 전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에 대한 면책특권을 일부 인정한 것에 대한 내용이다. 이 판결로 인해 트럼프는 잠재적인 형사 재판으로부터 보호받게 되었으며, 2024년 대통령 선거 출마 방해 요소 중 하나를 제거했다. *on a roll 어떤 일에서 성공하거나 순조롭게 진행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표현. - The team is on a roll with five consecutive wins. (팀은 5연승으로 순항하고 있다.) - She's on a roll at work, getting praised for her recent accomplishments. (그녀는 최근 성과에 대해 칭찬을 받으며 직장생활을 잘 하고 있다.) - After winning the lottery, he was on a roll, mak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11월 대선에서 재집권에 성공하면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를 자문역으로 임명하겠다는 제안을 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9일 보도했다. 뉴욕타임스는 딜북(DealBook) 뉴스레터에서 ‘머스크와 트럼프의 브로맨스 뒤에는 무엇이 있을까?’라는 제목으로 WSJ의 기사를 다뤘다. 기사 내용은 다음과 같다. WSJ에 따르면 머스크와 트럼프의 따뜻한 관계에 대해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은 다음과 같다. 먼저, 두 사람은 자주 대화를 나눈다. 머스크와 트럼프는 한 달에 여러 번 전화 통화를 한다. 다음으로 두 사람의 관계는 돈보다는 영향력에 관한 것이다. 머스크는 단순히 트럼프 캠페인에 수표를 쓰고 싶어하지 않는다. 그는 바이든의 재선에 맞서 싸우기 위해 비즈니스 리더들과 함께 자신의 영향력을 행사할 것을 제안했다. 머스크는 지난달 투자자 데이비드 색스(David Sacks)의 로스앤젤레스 자택에서 피터 틸(Peter Thiel), 스티븐 므누신(Steven Mnuchin), 루퍼트 머독(Rupert Murdoch)이 참석한 만찬을 공동 주최했다. 또한 억만장자 투자자인 넬슨 펠츠(Nelson Peltz)가 중심적인 역할을 했다. 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