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27일 모태펀드를 운용하는 한국벤처투자(KVIC)가 올해 신입직원과 청년인턴 18명을 공개채용한다고 밝혔다. 채용 분야는 ▲일반직 신입 심사역 11명(모태펀드 운용, 해외VC 글로벌펀드 운용, 투자업체 심사・관리 등) ▲보안 공무직 1명 ▲운전 공무직 1명 ▲미화 공무직 1명 ▲미화 공무직(보훈) 1명 ▲체험형 청년인턴(장애인) 3명이다. 한국벤처투자는 이번 채용에서 사회형평적 인력 활용을 위해 보훈, 장애인, 비수도권 지역인재 등의 대상에 우대 가점을 부여한다. 공무직 미화반장을 보훈 제한 전형으로, 청년인턴을 장애인 제한 전형으로 선발할 계획이다. 전 채용과정에 학력, 나이, 성별 등의 정보를 공개하지 않는 블라인드 방식의 열린 채용을 진행한다. 신입직의 경우 개인 역량과 실무 능력을 중심으로 평가하는 NCS직업기초능력 기반 필기시험 및 인성검사가실시된다. 응시원서는 한국벤처투자 채용 홈페이지를 통해 4월 9일 오후 3시까지 온라인으로 접수할 수 있다. 채용 분야별 자격요건 등 기타 자세한 사항은 채용 홈페이지 공고문에서 확인 가능하다.
현재 11조 원 수준인 국내 벤처투자 규모가 2027년까지 16조 원 규모로 증가하는 것이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오영주)이 정한 벤처투자 시장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글로벌 투자 유치 규모는 지난 2023년 2,000억 원에서 2027년까지 1조 원까지 늘리고 금융권을 비롯해 산업자본을 보다 더 유입토록 할 방침이다. 지난 10월 2일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는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선진 벤처투자 시장 도약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글로벌 금융허브 싱가포르에 한국 투자를 위한 거점펀드를 조성하고, 정책목적 벤처펀드의 위험도를 높게 평가하던 위험가중자산(RWA) 가중치는 현행 400%에서 100%로 낮춰 금융기관의 벤처펀드 출자 부담을 줄여주는 내용을 담았다. 중기부는 한국벤처투자(KVIC)를 통해 싱가포르에 가변자본기업(VCC)을 설립할 예정이다. VCC는 싱가포르의 기업 구조 중 하나로 펀드를 조성해 여러 개의 하위 펀드로 나누어 운영하는 펀드형 기업이다. 자유로운 펀드 운용 구조에 회계 비공개 구조라는 점이 특징이지만, 금융 라이선스 취득이 어렵다. 한국벤처투자가 모펀드 형태의 ‘K-VCC’(가칭)를 설립하고 국내외 벤처캐피탈(
지난 7월 24일 한국벤처투자(KVIC)는 모태펀드 기준규약을 개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개정에는 작년과 달리 시장 친화적 규약개정을 목표로 내・외부 의견 수렴 절차를 진행했다. 펀드운용본부 사후관리 실무자 의견을 다수 반영해 자조합 사후관리 업무 실효성을 증대시켰다. 여기에 벤처캐피털(VC) 등 운용사를 비롯해 벤처시장 주요 LP 및 회계사, 변호사 등 다양한 외부 전문가들의 의견을 취합했다. 시장에서 나온 다양한 의견 중 시장 상황 및 형평성에 부합하는 의견 4건과 내부 직원 의견 5건 등 총 20건을 변경했다. 주요 개정항목은 조합운영경비, 배분원칙, 출자약정액 증액에 관한 특약이 대표적이다. 기존 규약에 따르면 벤처펀드(Venture Fund)가 투자기업 발굴을 위해 실사를 하는 경우 비용 부담의 주체가 불명확했다. 이에 투자가 이루어진 경우 100%, 투자가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재무실사와 법률실사 비용의 50%까지 벤처펀드 비용으로 인정해주도록 변경했다. 배분원칙도 개정해 기존에는 벤처펀드가 출자원금을 중간배분하기 위해서는 투자의무를 달성해야만 했다. 이 때문에 중간배분이 늦어짐에 따라 회수된 출자원금을 재출자 하기가 어려워 자산의 효율적 운용에 어려
스타트업 육성을 장려하는 정부 주도의 벤처자금이 40조원에 육박할 것으로 집계됐다. 중소벤처기업부 산하의 모태펀드와 금융위원회가 감독하는 성장사다리펀드를 축으로 하는 한국의 스타트업 펀드 시장이 급속히 성장하면서 총 40조원에 이르는 펀드들이 조성됐다. 중소벤처기업부 산하의 한국벤처투자는 모태펀드의 운용사로 총 21조 9305억 원 규모로 운영 중이다. 모태펀드는 2005년 벤처펀드 출자 목적으로 설립됐고, 벤처캐피탈(Venture Capital, VC)이 민간자금을 포함한 펀드를 조성해 창업기업에 투자하는 방식으로 투자를 집행한다. 현재 671개의 펀드가 운영중이고 5243개 스타트업에 15조 원 이상이 투자됐다. 출자기관에는 중소벤처기업부 외에도 고용노동부, 보건복지부, 특허청, 문화체육관광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교육부, 환경부 등 8개 부처가 포함됐다. 성장사다리펀드는 금융위원회에서 주관하며, 2013년에 결성됐다. 2016년에 한국성장금융이라는 별도의 법인으로 분리되어 성장사다리펀드를 포함해 1월 기준으로 총 11조 2356억 원 규모의 107개 펀드를 조성해 중소기업과 벤처기업, 그리고 중견기업을 지원한다. 현재 운용규모는 33조원에 이르지만 4조
한국벤처투자㈜가 KVIC 뉴스레터를 통해 벤처생태계 활성화를 추진한다. 한국벤처투자는 지난 2019년 12월 3일 민간의언 9인과 함께 효율적인 벤처투자 시장 정보 유통을 위해 정보 서비스 포럼을 개최했고, 그 결과물로 KVIC News Leetter를 런칭했다. KVIC 뉴스레터는 첫째 주 월요이로가 셋째 주 월요일, 월 2회 제공된다. 뉴스레터의 주요 콘텐츠는 국내 벤처투자 시장, 글로번 벤처투자 시장, 한국벤처투자소식, 외부기관 주요 소식이 된다. 국내 벤처투자 시장 뉴스는 산업 트렌드 기획기사와 투자 섹터, 스타트업 인터뷰로 만들어진다. 벤처시장 전문가들의 기고문도 받고 모태펀드 투자를 유치한 상위 5개 기업도 공개한다. 글로벌 뉴스에서는 세계 주요 벤처캐피탈 시장 동향을 살펴보고 현지에서 근무하는 해외사무소 직원들이 전해주는 시장 뉴스를 제공한다. KVIC Inside에서는 한국벤처투자 주요 소식을 공유하고 사내 기자단을 통해 사업 및 행사 계획과 모태펀드 주요 활동 소식에 대해 시장 접근성을 높일 계획이다. ‘KVIC Newsletter’는 한국벤처투자(주) 웹페이지와 SNS에 게재되어 관심있는 누구나 읽어볼 수 있으며, 구독신청을 통해 메일로도
"신청서 제출 조합 198개, 출자요청액은 3조 2773억 원." 지난 13일 한국벤처투자㈜는 한국모태펀드 2020년 출자사업 접수 현황을 발표했다. 1차 정시 출자사업은 중복 신청한 조합을 포함해 198개 조합이 신청서를 제출했고 출자요청액은 3조 2773억 원이다. 2019년 1차 정시출자는 1조 4180억 원으로 2배가 넘는 출자 요청이 발생했지만, 출자 부문과 예산 등이 달라서 직접적인 비교는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모태펀드 계정은 혁신모험, 중진, 청년, 지방, 소재부품장비, 문화, 영화, 관광, 스포츠, 과기정통, 환경, 해양, 국토교통혁신으로 구성되어 있다. 혁신모험계정은 창업초기일반, 창업초기루키, 혁신성장으로 구성되어 있고, 1조 1867억 원이 출자요청 됐다. 신청한 운용사(GP)는 중복 포함 71개로, 공동 위탁운용사를 신청한 곳은 솔리더스인베스트먼트‧하랑기술투자㈜, 아이디어브릿지파트너스‧리키인베스트먼트, (유)HAM투자파트너스‧심본투자파트너스, 디티앤인베스트먼트‧코프라넥스트(COLOPL NEXT)의 4그룹이다. 중진계정은 여성기업, 소셜임팩트, 스케일업, M&A, 사회적기업으로 구성되어 있고, 4720억 원이 출자요청됐다. 신청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