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8년 브라질에 의해 탄생한 남미국가연합 ‘우나수르(Unasur)’가 재건될 예정이다. 지난 4월 7일 브라질 외교부는 브라질 룰라 대통령이 지난 4월 6일 서명한 명령문에 따라 브라질은 남미국가연합의 일원이 될 것이라는 입장을 발표했다. 이 명령문은 5월 6일부터 발효된다. 브라질 외교부는 브라질 뿐 아니라 아르헨티나 역시 복귀를 선언했다고 밝혔다. 현재 우나수르의 회원국은 ▲볼리비아 ▲가이아나 ▲수리남 ▲베네수엘라 뿐이다. 브라질은 지난 3월 23일 산토도밍고에서 마우로 비에라(Mauro Viera) 외무장간이 “새로운 토대 위에서 남미국가연합을 재개하고 싶다.”고 밝힌 지 1달만에 우나수르 재건을 선언하게 됐다. 우나수르의 대부분 회원국은 지난 5년 동안 탈퇴한 상태였다. 2017년 12개 회원국이 새 사무총장의 인선에 합의하지 못하면서 베네수엘라에 대한 각 국가의 입장이 첨예하게 갈리면서 상황이 악화됐다. 2018년에는 아르헨티나․브라질․칠레․콜롬비아․파라과이․페루가 활동 참여와 자금 지원을 중단하면서 상황이 더욱 악화되면서 현재에 이르게 됐다.
지난 4월 3일 타스통신에 따르면 후룬바이푸(胡润百富)가 발표한 ‘2022 후룬 브랜드 차트’에 따르면 구이저우 마오타이는 5년 연속 이 차트에서 ‘가장 가치 있는 중국 브랜드’가 됐다. 구이저우 마오타이는 300개 브랜드 중 1위이며 브랜드 가치는 1조 위안(원화 약 191조 원) 이상이다. 우량예는 2,500억 위안(원화 약 47조 원)으로 2위를 기록했으며 중화담배 2,300억 위안(원화 약 44조 611억 원)의 가치를 지닌 3위에 올랐다. 후룬 회장 겸 수석 리서치 책임자인 후룬은 “민영 브랜드에 대한 중국 소비자들의 신뢰도가 최근 몇 년간 눈에 띄게 높아졌다.”고 진단했다. 2023년 후룬 브랜드의 62%가 민간 브랜드였으며 2021년 61%, 10년 전인 2012년에는 39%였가 민간브랜드로 갈수록 민영 브랜드의 인지도가 상승하고 있다. 이 목록은 경기 하강과 전염병 예방 조치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소비자 브랜드, 특히 주류 브랜드가 여전히 강한 모멘텀을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지난 4월 7일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중국선박그룹(CSG)과 프랑스 CMA-CGM은 지난 6일 베이징에서 초대형 컨테이너선 2형 16척을 건조하는 수주 계약을 체결했다. 해당 계약 규모는 210억 위안(원화 약 3조 7,972억) 이상의 수주액으로 중국 조선업계에서 컨테이너선을 한꺼번에 계약하는 액수로는 최대 액수를 기록했다. 최근 몇 년 동안 메탄올은 대체 연료 중에선 해운 산업의 관심을 받는 대체 연료 솔루션이다. 이번 수주에는 15,000TEU 메탄올 트윈파워 대형 컨테이너선 12척과 23,000TEU 액화천연가스(LNG) 트윈파워 초대형 컨테이너선 4척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선박그룹(CSG)이 메탄올 연료탱크선을 대량 수주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15,000TEU 메탄올 이중연료 대형 컨테이너선은 중국선박그룹(CSG) 산하 강남조선그룹 유한책임공사와 다롄선박중공업그룹유한공사가 각각 6척 씩 건조해 각각 강남조선과 중국선박그룹 산하 제708연구소가 독자적으로 설계한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유형의 선박은 녹색 메탄올을 주요 연료로 사용하며 전체 항해에서 ‘순 제로 배출’이 가능하며 완전히 독립적인 지적 재산권을 가지고 있다. 이 배는 길이 366
우버(Uber)는 여행 '슈퍼앱'이 되겠다는 야심찬 계획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지난 4월 6일 CNBC 등 외신에 따르면, 우버(Uber)가 2023년 중 영국에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기차, 버스, 비행기, 렌터카를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겠다고 발표했다. 영국에서 파일럿을 거치면 다른 국가로 확장될 수 있다. 우버는 여행 서비스 자체를 제공하진 않지만 사용자들은 티켓 판매 플랫폼과 소프트웨어 통합을 진행하면서 앱을 통해 예약도 가능해진 상태다. 각 예약을 생략할 수 있는 기술 대기업은 앞으로 몇 달 안에 다양한 파트너를 발표 할 계획이다. 우버의 이러한 행보는 ‘볼트’와 ‘프리 나우’를 주로 사용하는 영국 유저들을 우버로 끌어들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영국은 우버 입장에선 미국 다음으로 가장 큰 점유율을 차지한 시장이다. 영국의 우버 사장 제이미 헤이우드(Jamie Heywood)는 성명을 통해 “우버가 모든 여행 요구를 위한 원스톱 샵이 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또한 “수년 동안 Uber 앱에서 놀이기구, 자전거, 보트 서비스 및 스쿠터를 예약 할 수 있었기 때문에 기차와 코치를 추가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진전이다.”고
“숙명의 라이벌 베트남과 태국이 같은 조네요.” 제32회 동남아시안게임(SEA Games 32) 조직위원회는 4월 5일 오후 남자축구와 여자축구 참가팀 조별 조 추첨을 실시했다. SEA는 올해 캄보디아가 주최국으로 동남아 11개 국가(약 6억명)에서 온 5000여명의 선수를 포함한 약 1만명이 참가해 고국을 위해 뛴다. 베트남 U22 축구 팀은 태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라오스와 함께 B조에 편성되었다. A조에는 개최국인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미얀마, 필리핀, 동티모르 U22팀이 포함됐다. 주목을 받은 것은 '숙명의 라이벌' 태국과 베트남이 같은 조라는 것. 박항서 감독은 제31회 SEA게임 남자 축구 결승전에서 ‘라이벌’ 태국을 상대로 1-0 승리를 거두며 금메달을 안으며 대회 2연속 우승을 거둔 바 있다. 일정에 따르면 남자 축구 A조는 4월 29일 모로독 테코(Morodok Techo) 스타디움에서, B조는 4월 30일 프린스(Prince) 스타디움에서 열린다. 여자 축구는 조추첨 결과 베트남은 필리핀, 미얀마,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와 함께 A조에 편성됐다. B조는 개최국 캄보디아, 태국, 싱가포르, 라오스의 경기다. 여자 축구 경기는 5월 2일
“그레고리 헨더슨 부부는 내 영혼의 ‘길동무’였다.” 대한민국 현대사를 현장에서 목격한 증인의 생생한 이야기가 책으로 나왔다. 바로 김정기 한국외국어대 명예교수(82)의 ‘그레고리 헨더슨 평전’(한울)이다. 이 책은 김 교수와 두 부부와의 각별한 인연에서 출발했다. 그는 헨더슨 부인이 별세하기 전 국회프락치사건 자료 등을 일체 넘겨받아 이 평전을 기회를 얻게 되었다. 김 교수는 “그레고리 헨더슨(Gregory Henderson, 1922~1988)은 1948년 약관 26세의 한국 주재 미국대표부의 부영사로 한국 땅을 밟았다. 이승만 대통령 바로 뒷자리에서 서서 ‘대한민국 정부 수립 선포식’을 목격했다”고 소개했다. 이어 “이후 미국의 한국 전문가로서 한국에 대한 애정 어린, 냉철한 시선을 멈춘 일이 없었다. 저는 2021년 출간한 ‘국회프락치사건의 종언’에서 헨더슨을 위대한 기록자로 소묘했다. 그리고 ‘미의 나라 조선’에서는 그를 한국 도자기의 미를 칭송한 한국미의 예찬자로 진면목을 조명했다”고 말했다. 이 평전은 이밖에 헨더슨이 쓴 ‘정다산론’뿐만이 아니라 박정희-전두환 시대의 고발자로의 면모를 기록했다. 학문, 사상, 철학, 인물과 인품과 행동하는 지성인
“한-아세안 협력을 주도할 차세대 리더 찾아요.” “CMK 아세안 스쿨(CMK School of ASEAN Studies, CSAS)” 제1기를 모집한다. 이 교육프로그램은 현대차 정몽구 재단이 주최하고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아세안센터(Korea University ASEAN Center, KUAC)가 주관한다. 아세안 지역의 정치, 경제, 문화 등 분야별 전문가 강의와 8박 9일의 현지탐방으로 구성된 고밀도의 지역전문가 교육 프로그램이다. 한국 대학에 재학 중인 3학년 이상의 학부생(휴학생 및 수료생도 지원 가능)이면 지원할 수 있다. 교육 참가비 전액과 전 교육기간 식비와 교통비를 포함한 활동비가 지원된다. 인도네시아-태국 8박 9일 탐방과 전문가 멘토링과 네트워킹의 기회도 제공된다. ■ 한국 대학 재학 중 학부생 중 3학년 이상, 모집 인원 15명 모집 대상은 한국 대학 재학 중인 학부생(3학년 이상, 휴학생 및 수료생 지원가능)이고 모집 인원 15명(팀 프로젝트를 위한 3인 1팀 편성 예정)이다. 프로그램 기간은 오리엔테이션: 2023년 6월 22일(온드림 소사이어티), 국내교육: 2023년 7월 31일 ~ 8월 11일(고려대학교), 현지 탐방:
“올해 여름부터 동남아 지역 전문가 육성 프로그램 시작합니다.” 현대차 정몽구 재단과 고려대(총장 김동원) 아세아문제연구원 4일 고려대 미디어관에서 ‘CMK 아세안 스쿨’(CSAS: CMK School of ASEAN Studies) 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식에는 김동원 고려대 총장, 이진한 아세아문제연구원장, 권오규 현대차 정몽구 재단 이사장, 서정인 전 주아세안 대사 등 20여 명이 참석했다. 양측은 2026년 3월까지 CMK 아세안 스쿨 강의와 아세안 국가 탐방 및 팀 프로젝트 수행에 협력한다. 또 아세안 관련 포럼 개최와 총서 발간, 아세안 전문가 네트워크 구축, 대학원 석·박사 협동과정 설립 등을 위해서도 협력한다. 아세아문제연구원은 이에 따라 상반기에 한국 대학의 3∼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기생 15명을 선발해 7월 말부터 연말까지 하계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동남아시아 지역을 연구하는 교수와 전문가가 강사로 서며, 동남아의 정치, 경제, 역사, 사회문화 등을 국가별, 분야별로 학습한다. 이론강의 외에도 비지니스 특강, PBL 방식의 팀 프로젝트 과제 수행 등 실무적 방법론도 익히게 된다. 현장 강의는 고려대학교에서 2주간 진행하며, 강의 이후 수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