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건설부는 최근 국회와 법률위원회의 의견을 수렴해 외국인의 주택소유권 인정을 허용하는 방안을 골자로 한 주택법 개정안 초안을 공개했다. 베한타임즈에 따르면 초안의 주요 내용은 ▲외국인의 주택소유권 허용 ▲소유기한 1회에 한해 연장 등 크게 2가지다. 이를 통해 베트남에서 주택을 구매한 외국인이 이를 베트남인 또는 해외 베트남인에게 매도하는 경우 내국인과 동일한 권리 및 의무 부여를 규정하고 있다. 주택 소유권 기간이 종료되면 이를 갱신할 수 있다. 다만 토지 소유권에 대한 권리는 주택법 개정 초안에서 제외됐다. 현재 베트남에서 외국인은 토지 이용 권리를 양도받을 수 없으며 토지를 매입할 수 없다. 건설부는 주택법 개정안과 관련해 지속적인 의견수렴을 한 후 연말 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응웬반딘(Nguyễn Văn Đỉnh) 법률 전문가는 “주택 및 부동산 법률을 완전히 준수한 건설 프로젝트가 완료된 뒤 외국인이 프로젝트에서 주택을 구매할 때 해당 외국인이 베트남에서 주택을 매수 및 소유할 수 있는 요건을 충족한다면 인증서를 부여해야 한다”라고 설명했다. 현행 주택법에 따르면, 외국인은 제한적 구매와 상속 등을 통해서만 주택을 소유할 수 있다. 베트남에서
“인도네시아 여행시 맛보는 나시고랭을 직접 배워봐요” KF(Korea Foundation, 한국국제교류재단, 이사장 김기환) 아세안문화원(부산 해운대구 소재)은 9월 1일(금)부터 11월 18일(토)까지 매주 금, 토요일에 ‘2023 아세안 요리교실’을 운영한다. 아세안 10개 회원국의 요리를 배우는 ‘2023 아세안 요리교실’은 ‘아세안 여행 시 현지에서 꼭 먹어 보아야 하는 음식’이라는 테마로 진행된다. 매주 1개 테마 국가를 선정해 소개한다. 9월 한 달간은 총 4개 아세안 회원국의 음식을 먼저 선보이게 된다. △ 인도네시아(9월 1~2일)의 나시고랭(볶음밥)과 템페조림(두부조림)은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동남아시아식 비건 메뉴다. △ 말레이시아(9월 8~9일)의 나시르막(코코넛밀크밥), 버버차차(과일 디저트)가 2주차에 직접 만들어 볼 음식이다. △ 캄보디아(9월 15~16)의 요리로 현지에서 즐겨 먹는 크메르 커리와 남녀노소 모두 좋아하는 차 뜨러꾸언(공심채볶음)을 3주차에 소개한다. △ 싱가포르(9월 22~23일) 요리로는 치킨파인애플볶음밥과 무르타박(밀전병)을 경험해본다. 무르타박은 인기 예능 프로그램 ‘미운 우리 새끼’, ‘배틀트립’에서도
“제가 라오스 출신 최초, 몽족으로는 첫 LPGA 우승자입니다.” 메건 캉(Megan Khang, 미국, 25)이 지난 28일(한국시간) 캐나다 밴쿠버의 쇼너시 골프 앤드 컨트리클럽(파72)에서 열린 LPGA 투어 CPKC 여자오픈(총상금 250만 달러) 최종일 연장전에서 우승했다. USA TODAY 28일자 ‘스포츠’면에 따르면 연장전 승부에서 한국의 고진영을 꺾은 메건 캉은 우승상금 37만 5000달러(약 4억 9762만 5000원)와 LPGA투어 생애 첫 우승 트로피를 품에 안았다. 그는 “부모님은 8~10살 때 라오스에서 빠져나왔다. 아버지는 자동차 수리점을 한다. 어머니는 유치원 교사를 하고 있다. 나는 몽-아메리칸 1세대”라고 자신을 소개한 후 “우리는 아메리칸 드림 속에 살고 있다. 이번 우승은 우리 가족의 승리”라고 기뻐했다. 메건 캉은 다섯 살에 아버지한테 골프를 배웠다. 열네 살 때 미국 여자프로골프 예선을 통과해 2012년 US 여자오픈에 출전했다. 2016년 데뷔한 메건 캉은 7년 만에, 그리고 191번째 대회에서 첫 우승을 따냈다. ■ 아버지는 라오스 난민, 딸은 최초의 몽족 LPGA투어 선수 메건 캉은 이름 표기가 ‘KHANG’이라서
“하노이 외교대 학생들과 번역 콘텐츠 개발·문화 교류 강화하겠다.” 부산외국어대학교(총장 장순흥) 특수외국어사업단은 지난 8월 17일 아세안연구원과 협력하여 베트남 하노이 외교대학교 초청 ‘콘텐츠 번역 및 제작 프로젝트’를 성황리에 마쳤다고 밝혔다. 베트남 하노이 외교대학교(Diplomatic Academy of Vietnam)는 베트남 외교부 산하의 대학으로 베트남 내 유일한 외교 분야 대학교다. 특수외국어사업단에 따르면 하노이 외교대 학생 12명을 초청하여 8월 13일부터 3박 4일간 부산외대 재학생 5명과 함께 부산외국어대학교에서 기숙사에서 생활하면서 번역 프로젝트를 수행하였다. 베트남 학생들은 ‘베트남 학생이 소개하는 한국’이라는 주제로 영상 콘텐츠로 촬영-제작하고, 한국 학생들이 한국어 자막을 삽입하여 영상물을 완성하였다. 국내외 대학, 연구소 연계를 통한 연구 활성화 차원에서 참여 학생들 및 아세안연구원과 이를 공유하는 발표회도 했다. 영상물은 향후 부산외국어대학교 특수외국어사업단 공식 유튜브(YouTube) 채널에 업로드될 예정이다. 캠프에 참여한 부산외대 베트남어과 2학년 차혜원 학생은 “베트남 학생들의 열정과 적극성을 보았다. 본 프로그램을
스레타 타비신(Srettha Thavisin, 60) 프아타이당(Pheu Thai Party)의 총리 후보가 22일 국회 투표에서 태국의 제 30대 총리로 선출되었다. 네이션지에 따르면 “의회에서 필요한 374표보다 훨씬 높은 482표를 얻었다. 반대표는 165표였고, 81명의 국회의원은 기권했고 19명은 불참했다”고 전했다. 스레타가 총리 투표에서 승리할 수 있는 것은 152명의 상원의원들로부터 표를 얻은 것이 결정적이었다. 2017년 군부가 개정한 헌법에 따라 상원의원 250명을 군부가 임명했다. 현재 지난 12일 1명이 사임해 249명이 됐다. 반대표를 던진 의원들은 지난 총선에서 제 1당으로 올랐지만 지난 7월 13일 8개당 연합 총리 선출 투표에서 과반을 못해 좌절한 피타 림짜른랏(Pita Limjaroenrat, 42)의 전진당(MFP) 의원들이 대부분이었다. 지난 7월 총리 선출 투표에서는 군부가 지명한 250명(249)의 상원의원 중 13명만이 그에게 투표했다. 피타 총리 선출 좌절의 주요인이었다. 태국 헌법은 총리가 되려면 상-하원 전체 의원 749명의 과반인 375명 이상의 지지가 필요했다. 피타는 실제 지지는 323명에 그쳤다. 이후 전진
“더이상 연기는 없다. 이번에는 확실히 태국으로 돌아가겠다.” 더 네이션 20일자에 따르면 “탁신 친나왓(Thaksin Shinawatra) 전 총리가 19일 BBC와의 인터뷰에서 반드시 태국으로 돌아간다. 더 이상의 연기는 없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탁신 수상의 막내딸 패통탄 친나왓(Paetongtarn Chinawatra)도 19일 아침 인스타그램 게시물을 통해 “22일 오전 9시 방콕 돈므앙 공항에서 아버지를 만날 것”이라고 공개한 일정을 재확인했다. 탁신 전 수상은 2008년 8월부터 15년째 해외 망명 중이다. 탁신의 귀국일은 공교롭게 태국 의회가 차기 총리를 선출하는 날과 일치한다. 이에 대해 탁신은 “완 무하마드 누르 마타(Wan Muhamad Noor Matha) 국회의장이 지난주 투표 일정을 잡기 전에 잡힌 귀국 계획이다. 두 사건 사이의 연관성이 없다”고 강조했다. 8월 21일은 그의 막내딸인 패통탄의 생일이다. 탁신은 프아타이당(Pheu Thai Party) 총리 후보인 스레타 타위신(Srettha Thavisin, 60)이 태국의 차기 총리가 되기에 충분한 표를 얻을 자신이 있느냐는 질문에 “물론”이라고 간단히 답했다. 74세의 탁신은
현대차는 16일(현지시각) 인도 하리아나주 구루그람에 위치한 현지법인(HMI)에서 GM 인도법인과 탈레가온 공장 인수 본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글로벌 구조조정 일환으로 인도에서 철수하는 GM의 현지 공장을 인수했다. 탈레가온 공장은 2025년 재가동된다. 현대차는 첸나이 외곽에 있는 스리페룸부두르 공장(연간 82만대)과 현재 탈레가온 공장(13만대)을 통해 누적 생산능력을 연간 100만대까지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해 현대차는 인도에서 55만 2511대의 자동차를 판매했다. 올해는 지난달까지 인도 시장에서 34만6711대를 판매했다. 현지 제조사와 합작해 설립한 일본 마루티스즈키(41.7%)에 이어 점유율(14.6%)로 2위를 유지하고 있다. 기아는 15만6110대(6.6%)로 5위를 기록 중이다. 지난해 인도 완성차 시장은 476만 대가 판매되었다. 중국(2320만 대)과 미국(1420만 대)에 이어 세계 3대 완성차 시장으로 우뚝 섰다. 승용차 시장은 380만 대 수준이다. 2030년에는 500만 대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었다. 한편 GM은 인도 시장에서 수년간의 판매가 감소돼 2017년에 인도에서 자동차 판매를 중단했다. 하
태국 정계가 다시 새 총리 선출 투표로 빠르게 국면이 전환되고 있다. 네이션지 17일자에 따르면 “태국 헌법재판소는 16일 옴부즈맨들이 제출한 국회 결의안에 이의를 제기한 청원서를 원고들이 이 문제에 대해 명확한 입장이 없다며 기각했다”고 전했다. 헌법재판소는 옴부즈맨들의 자격을 문제 삼았다. “전진당(Move Forward Party, MFP) 총리 후보 피타 림짜른랏(Pita Limjaroenrat, 42)와 다른 총리 후보들만이 헌법 213조를 발동해 41조를 발동한 국회 결의에 대한 법원의 판결을 구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재판부는 “고소인 전원이 정당 총리 후보로 발표한 사람이 아니므로 직접적으로 권리를 침해받은 사람이 아니므로 213조를 발동해 진정을 제기할 수 없다”고 판시했다. 이번 판결로 국회의장이 날짜를 정하는 대로 총리 선출 투표를 위한 길이 열렸다. 국회도 빠르게 움직였다. 완 무하마드 누어 마타( Wan Muhamad Noor Matha) 의회 의장은 총리 선출 날짜를 논의하기 위해 상원과 주요 정당 대표들의 회의를 소집했다고 의회 관계자가 말했다. 상원 고문인 쏨차이 사아엥칸(Somchai Sawaengkarn)은 완누르가 앞서 수
“한국인 베트남 무비자 체류, 45일로 연장되었어요.” 베트남이 비자 정책을 확 바꾸었다. 8월 15일부터 베트남에 입국하는 257개 모든 국가 국민들은 전자 비자를 부여한다. 지금까지 베트남은 80개 국가에게 30일 단수 e비자를 부여했다. 8월 15일부터는 전자비자의 기간이 30~ 90일까지 복수 비자 발급도 가능하다. 베트남 비자 면제된 13개국 국민은 베트남 체류 기간을 15일에서 45일로 연장한다. 기존 15일에서 3배가 늘어났다. 한국을 비롯,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영국, 북아일랜드, 러시아, 일본, 덴마크, 스웨덴, 노르웨이, 핀란드, 벨로루시다. 이들 국가의 국민은 여권의 종류와 목적에 관계없이 입국일로부터 45일간 체류가 가능하다. 외국인이 전자사증으로 출입국할 수 있는 국제 국경 관문이 항공외에도 이제는 육로 및 해상 국경 관문으로 확대된다. . [항공: 13개의 공항] 수도 하노이의 노이바이(Noi Bai) 국제공항, 호찌민시의 떤선녓(Tan Son Nhat) 국제공항, 캄란(Cam Ranh, 칸호아성), 다낭(Da Nang, 다낭시), 깟비(Cat Bi, 하이퐁시), 껀터(Can Tho, 껀터시), 푸꾸옥(Phu Quo
“빈패스트 상장, 베트남 브랜드가 세계시장에 더 큰 기회 열릴 것이다.” 베트남 전기차 빈패스트(VinFast)가 15일(이하 현지시간) 230억 달러(약 30조 7,786억 원) 이상의 주식 가치를 평가를 받으며 나스닥에 데뷔를 치렀다. 월스트리트 저널(WSJ)에 따르면 두 회사는 빈패스트를 주당 10달러(1만 3383원)로 책정했으나 나스닥 상장 첫날 주당 22달러에 거래를 시작했고, 27달러(2만 9447원)에 장을 마감했다. 상장 첫날 시가 총액은 제너럴모터스(GM)와 포드 자동차를 제쳤다. 또 라이벌 전기차 업체인 리비안, 루시드, 폴레스타를 모두 합한 것보다 시가 총액이 많았다. 장 중 한때 28.11 달러까지 치솟았다. 시총이 650억 달러(약 86조 8000억 원)에 달했다. 예정가보다 190%가 뛰었다. 빈패스트 주가는 이날 170% 상승한 채 장을 마감했다. 빈패스트 글로벌 CEO인 마담 투이 르(Madame Thuy Le)는 15일 홈페이지에서 “오늘의 성공적인 상장은 전세계 규모의 자본시장에 대한 접근과 미래개발을 위한 중요한 길을 열었다”고 말했다. 빈패스트는 14일 미국 나스닥 거래소에 특수목적합병법인(SPAC) 블랙스페이드애퀴지션(
“27년만의 귀국한 국왕의 두 아들, 다시 미국으로.” 마하 바지랄롱꼰 태국 국왕의 두 아들이 27년 만의 태국 방문을 마치고 미국으로 떠났다. 바차라손 비바차라웡세(42)-차크리왓(40) 형제는 지난해 12월부터 혼수상태에 빠진 국왕의 장녀로 왕실이 수심에 잠기는 상황에서 8월 7일 귀국했다. 두 형제는 지금은 직함을 갖고 있지만 가는 곳마다 따뜻한 환영을 받았다. 바차라에손은 월요일 수완나품 공항에서 떠나기 전 “태국에서 하고 싶은 것과 보고 싶은 것이 많았지만 시간이 많지 않았다”라고 말했다. 이어 “저는 다시 가야 한다. 저와 제 동생, 그리고 제 가족이 태국에 다시 올 수 있기를 바란다. 그렇게 오래 걸리지 않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바차라손과 차크리왓은 바치랄롱꼰 왕의 두 번째 부인인 수하리네 비바차라웡세의 네 아들 중 둘째이자 셋째다. 수하리네는 1996년 당시 왕세자와 이혼했다. 바치랄롱꼰 왕과 수하리네, 네 명의 형제와 1명의 여동생은 1996년 수하리네가 간통으로 공개적으로 고발된 이혼 후 소원해졌다. 4형제는 태국에서 초등학교를 마친 후 미국으로 이주했다. 그들의 여동생은 태국에 사는 시리바나바리 나리라타나 라자카냐 공주다.
“경쟁력있고 아름다운 축구를 보여주겠다.” 호앙안뚜언(Hoàng Anh Tuấn) 감독은 8월 8일 하노이에서 공식적으로 23세 이하 대표팀2 사령탑에 임명됐다. 베한타임즈 15일자에 따르면 “그는 취임식에서 8월부터 10월까지 열릴 AFF U23 챔피언십에서 경쟁력있고 아름다운 축구를 보여주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23세 이하 팀은 8~10월 AFC U23 아시안컵2024 예선을 포함해 3개의 중요한 이벤트를 치를 예정이다. 9월에 중국 항저우에서 열리는 제19회 아시안 게임에서 베트남을 대표로 뛴다. 이처럼 빡빡한 일정으로 인해 베트남 축구협회는 두 개의 U23 팀을 구성하기로 결정했다. A팀은 국가대표의 필리페 트루시에 감독이 이끈다. 트루시에호는 9월 4일부터 12일까지 대륙간 토너먼트에 참가할 예정이다. 베트남은 싱가포르, 예멘, 괌과 함께 C조에 속해 있다. 주로 U20 선수로 구성된 뚜언 감독의 두 번째 팀은 8월 14일부터 27일까지 태국에서 열리는 AFF 대회와 9월 말 중국에서 열리는 아시안게임에 출전한다. 감독 취임식에서 베트남 축구협회 즈엉응히엠코이(Dương Nghiep Khôi) 사무총장은 “뚜언이 U23을 맡기에 적합한 지도자”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