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당국이 중국 제조업체의 희토류 공급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희토류 채굴 할당량을 20% 확대한다고 발표했다. 중국 인터넷 신문은 왕이신문은 중국 공업정보화부와 자연자원부가 희토루 채굴 관련 통지문에서 채굴 할당량을 16만 8000톤, 제련 분리 할당량을 16만 2000톤으로 늘린다고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지난 2020년 14만 톤 대비 20% 증가한 사상 최대 수치이며 제련 분리 할당량 역시 2020년 13만 5000톤 대비 20% 확대한 수치다. 중국은 경희도(Light Rare Earth)와 중희토(Heavy Rare Earth)로 구분해 1년에 2회 할당량을 발표한다. 방사능 물질을 함유한 경희토는 네이멍구, 산둥, 쓰촨 등 북부 지역에 주로 매장되어 있고 군사 장비에 사용되는 중희토는 남부 지역에 매장되어 있다. 세계 최대 희토류 생산국인 중국은 세계 희토류 생산의 60%를 담당하고 있지만, 중국이 희토류 할당량을 증가시킨 것에는 미얀마 쿠데타 사태가 장기화 된 것이 영향을 끼쳤기 때문이다. 미얀마는 중국 중희토 수요의 절반을 담당했지만 쿠데타 이후 국경이 폐쇄되면서 미얀마산 중희토가 수입되지 못하면서 중국 기업들이 희토류를 공급받지 못해 내
미국 당국이 시스템 반도체 제조사인 매그나칩 세미컨덕터(Magnachip Semiconductor)의 인수에 제동을 걸고 있다. 중국 사모펀드의 인수는 미국 국가 안보에 위험이 된다는 이유로 승인을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중국 사모펀드인 와이즈 로드 캐피탈(Wise Road Capital, 智路资本)은 2021년 3월 매그나칩 세미컨덕터를 14억 달러(한화 약 1조 6209억 원)에 인수하기로 합의했다. 이에 미국과 한국 등 각국 정부는 인수사항에 대해 심사에 들어갔다. 매그나칩은 한국에는 생산 공장과 연구개발(R&D)센터를 갖추고 있다. 8월 30일 매그나칩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문서에서는, 매그나칩 법률 고문에게 재무부가 국가 안보에 위험이 되기 때문에 조 바이든 대통령이 결정하는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는 내용이 담겨있다. 또한 미국 재무부 산하의 대미외국인투자위원회(CFIUS)는 2021년 6월 와이즈 로드 캐피탈의 매그나칩 인수에 대해 보류 명령을 내렸다. 외신들은 매그나칩이 다음 행보를 평가하고 있지만, CFIUS가 인수를 승인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제안에 동의하리라는 보장은 없다고 평가했다.
애플의 인앱 결제(In-App Purchase)에 대해 인도 정부의 반독점 조사를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로이터 통신은 애플이 인도에서 반독점 조사에 직면했으며, 개발자에게 인앱 결제를 사용하도록 강요하고 앱 시장에서 지배적 위치를 남용했다고 보도했다. 애플의 반독점 조사에 대해선 인도의 비영리 단체가 제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인앱 결제가 최대 30%에 달하는 수수료를 앱 개발자와 고객의 비용을 증가시키며, 경쟁 질서를 어지렵히고 시장 진입에 장애물로 작용한다는 것이 해당 단체의 주장이다. 이 사항에 대해 인도 경쟁위원회(CCI)가 심사할 것으로 보인다. 인앱 결제를 문제 삼은 것은 2020년 유럽연합(EU)이 애플에 조사를 벌이는 것과 유사하다. 유럽연합 규제당국은 애플 앱스토에서 서비스를 판매할 때 수수료를 30%까지 내야 하는 점을 독점 금지 위반으로 판단해 조사를 벌인바 있다.
일본 소형자 제조기업 스즈키(Suzuki)가 인도 전기차 시장 공략을 위해 100만 엔(한화 약 1052만 원)의 전기차(EV)를 출시할 계획이다. 일본 경제신문 닛케이 신문에 따르면, 2025년까지 전기차 분야에 진출한다는 스즈키는 자동차 소형화와 경량화 경험을 바탕으로 인도에서 먼저 100만 엔 수준의 전기차를 출시해 일본과 유럽 시장에 내놓을 계획이다. 2019년 인도 시장의 신차 판매량은 380만 대로 세계 5위지만 전기자동차로의 전환 속도가 더딘 편이다. 인도 정부는 탈탄소화 목표 달성을 위해 2030년까지 전기차 비율을 30%까지 높인다는 계획을 가지고 2021년 6월에1000억 루피(한화 약 1조 5380억 원)을 투자해 자동차 구매 보조금 정책을 2년 더 연장하기로 결정했다. 이미 인도 정부는 13만 6000 루피 이상의 보조금을 지급 중이며, 일부 지역에서는 더 많은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다. 인도 시장에 50%를 점유 중인 스즈키는 경쟁력 유지를 위해 전기차 출시에 박차를 가하고 2025년 이전에 시장 진입을 목표로 잡았다. 인도 시장의 마힌드라 그룹은 소비자 실제 부담금이 1000만~1500만 원인 전기차를 출시하겠다고 밝혀 경쟁을 예고한
지난 7월 16일 중국에 탄소배출권(CEA) 거래 플랫폼이 출범했다. 발전업종이 처음으로 탄소 시장에 포함됐고, 발전 기업 2200여 곳이 참여했다. 중국 정부는 기존 배출량 등을 근거로 특정 기간의 총 탄소배출량 목표를 설정, 이를 탄소 시장 기업에 배분했다. 할당량을 기준으로 한다면, 연간 탄소배출 허용량이 1만t인 기업이 배출량을 8000t으로 줄이면 남은 2000t을 팔 수 있는 형식이다. 16일 오전 9시 30분 상하이 환경에너지거래소 탄소배출권 거래시스템이 정식으로 오픈하면서 탄소 거래 시초가는 톤당 48위안(한화 약 8500원) 이었으며 첫 거래는 톤당 52.78위안, 총 16만 톤, 거래액은 780만 위안(한화 약 13억 9640만 4000원)이다. 첫날 최고가는 톤당 52.80위안이고 최저가는 톤당 48위안이다. 거래 규모는 410만4000 톤이며 거래 총액은 2억1000만 위안(한화 약 371억 원) 돌파했다. 중국은 2011년 이후 베이징(北京)·상하이(上海)·광둥(廣東)·선전(深圳)·후베이(湖北)·충칭(重慶)·톈진(天津) 등 7개 지역에서 첫 탄소배분권 거래 시범사업을 운영해 왔다. 중국 생태환경부에 따르면 올해 3월까지 중국 탄소 시장
파나소닉(Panasonic)이 미국 유전 서비스 기업 슐룸베르커(Schlumberger)와 리튬 조달을 위해 다각적인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닛케이 신문은 파나소닉이 슐름베르거와 지하수에서 리튬을 효율적으로 추출하는 방법을 테스트하고, 슐름베르거로부터 리튬을 구매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슐름베르거는 네바다주에서 시험 설비를 사용해 지하수를 끌어올려 리튬을 추출한다. 파나소닉은 슐름베르거로부터 리튬 일부를 샘플로 받아 차량용 배터리에 사용할 수 있는지 평가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네바다주에는 파나소닉과 테슬라가 공동 운영 중인 배터리 공장이 있다. 현재 자동차 업계는 차량용 배터리 원자재 부족으로 배터리 생산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어 업계가 원료 확보에 나서고 있다. 리튬은 일반적으로 소금 호수를 증발해 농축하고 광석을 제련해 탄산 리튬 형태로 추출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소금 호수를 증발하는 방식은 생산에 1년 이상 소요되며 불순물이 많다는 단점이 있어 슐룸베르거는 염수에 포함된 리튬을 직접 추출해 생산 주기를 수 주로 단축시켰다. 세계 최대 유전 서비스 기업으로 알려진 슐룸베르거는 2020년 회계연도 기준 매출이 약 2조 600
중국 상하이 푸싱의약(复星医药)이 대만에 BNT 백신을 공급하게 된다. 중국 관영매체 환구시보(环球时报)에 따르면, 푸싱의약은 자회사 푸싱실업(复星实业) 홍콩 유한회사가 대만 TSMC, 스콘(鸿海), 융링자선기금회(永龄慈善基金会) 등 대만 기업들과 1000만 도스의 mRNA 코로나19 백신 판매 계약을 체결했다고 보도했다. 우선 TSMC와 융링자선기금회가 백신 구매 가계약을 체결했다. 중국 정부가 미국 화이자 백신의 아시아 유통권을 가진 푸싱의약을 통해서 공급을 받아야 한다는 주장을 펼쳐왔고, 이번 공급 계약 역시 ‘하나의 중국’의 원칙에 따라 진행된 것으로 알려졌다. 대만은 전체 인구 2350만 명 중 1차 접종을 마친 인구는 5%에 불과하지만, 확보한 백신 물량이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중국 자체 백신인 시노팜과 시노백 등에 대해선 신뢰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힌 대만은 바이오엔테크에서 백신을 공급받으려 했으나 협상에 실패했고, 민간 기업을 통해 백신 구엡이 나섰다. 푸싱의약 우이팡(吴以芳) 회장 겸 최고경영자는 “푸싱의약과 독일 바이오엔테크가 공동 개발한 백신이 대만 코로나19 확산 방지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게 돼 기쁘다”고 언급하면서 “안전하고
일본 당국이 자국 기업의 지분을 보유한 외국 자본에 대한 규제 강화를 추진 중이다. 요미우리 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원자력 산업과 국방 산업 분야에서 중요 기술을 보유한 일본 기업에 출자한 외국 자본에 감독 강화를 검토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2021년 내로 구체적은 대책을 마련해 입법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해외 펀드와 해외 기업들이 일본 기업의 지분을 획득한 후 경쟁력을 약화하거나 전문 기술을 해외로 유출하는 시도를 차단하려는 시도로 해석된다. 일본 정부는 구체적인 대책을 마련해 연내에 입법에 착수할 것으로 보인다. 검토 중인 방안은 외국 자본에 보유 중인 일본 기업의 지분을 매각을 명령하는 방안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정부는 요미우리 신문의 보도를 부인한 상태다. 2020년 5월 일본 정부는 국가 안보의 핵심적 역할을 12개 업종인 석유, 철도, 공공사업, 무기, 우주, 원전, 항공, 전기통신, 네트워크 보안에 소유권 규정을 적용해 외국인 자본의 소유권 규정을 적용했다. 이 규정에 따라 핵심 기업 주식을 1% 이상 매입하려는 외국 투자자는 원칙적으로 사전 심사를 받아야 한다. 이전 기준은 10%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