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전자상거래 스타트업인 유니콘 ‘부칼라팍’(Bukalapak)이 10년 만에 인도네시아 최대 규모의 IPO(기업공개) 목표로 잰걸음을 재촉하고 있다. 자카르타 포스트(The Jakarta Post) 7월 9일자에 따르면 부칼라팍은 인도네시아 주식 거래소(Indonesia Stock Exchange)의 상장으로부터 거의 15억 달러(약 1조 7212억 5000만 원)를 모금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8월 6일 인도네시아 증권거래소(IDX)에 상장할 예정인 부칼라팍의 설명서에 따르면 주식 257억6000만 주를 대중에 750~850루피아(0.052~0.059달러) 선으로 매각할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상장을 노렸으나 결국 국내 상장으로 선회한 것이다. 라흐마트 카이무딘(Rachmat Kaimuddin) 부칼라팍의 최고 경영자는 이 초기 공모가 25억 달러(약 2조 8675억 원)에서 50억 달러(약 5조 7350억 원)로 부칼라팍의 가치를 잠재적으로 끌어올리기를 희망했다. 부칼라팍의 IPO는 2008년 13억 달러(약 1조 4911억 원)를 모금한 석탄 채굴 대기업 PT 아다로에너지의 IPO를 뒤집으며 인도네시아 최대 규모의 IPO가 될 태세다. 이
								인도네시아의 7월 1일 ‘코로나19’ 확진자가 또다시 최다 하루 2만 4836명을 기록을 경신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1일 자카르타 수도권 등 자바섬과 발리섬의 활동 규제 강화를 발표했다. 조코 위도도 대통령은 이날 오전 대통령궁에서 긴급 성명을 발표했다. 그는 “상황이 매우 급박하게 돌아가고 있다. 7월 3일부터 20일까지 자바섬과 발리섬에 비상 사회활동 제한조치(PPKM Darurat)를 시행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조치로 재택근무 의무화, 매장 내 식사 금지, 쇼핑몰 임시휴업 등 지난해 봄 코로나 사태 초기와 비슷한 수준의 제재가 적용된다. 필수 업종을 제외한 나머지 사업장은 100% 재택근무를 의무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약국과 병원은 24시간 문을 열지만, 슈퍼마켓과 식료품점, 전통시장은 오후 8시까지 영업하고 최대 수용인원의 50%만 받을 수 있다. 백화점과 쇼핑몰, 문화·체육시설은 임시 휴업해야 한다. 식당 등 요식업체의 매장 내 식사가 금지되고, 포장과 배달만 가능하다. 인도네시아 보건당국은 자카르타의 경우 2021년 7월 8일부터 13일까지 치료 중인 환자(kasus aktif Covid-19)가 10만 명에 이르고, 7월 22일에는 20만 명
								“인도네시아 화교계와 한인동포 가교 역할 기대 환영한다.” 한인포스트 6월 28일자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화교계 대표적인 인물인 시나르 마스(Sinar Mas) 그룹 간디 술리싯얀토(Gandi Sulistyanto) 전무이사가 조코 위도도(Joko Widodo) 대통령에 의해 주 한국 인도네시아 대사 후보자로 지명됐다. 6월 4일자 인도네시아 대통령의 서신에 따르면 간디 술리싯얀토 주한인도네시아 대사 후보자로, 로잔 로스라니(Rosan Roeslani) 인도네시아 상공회의소 회장을 주미국 대사 후보로 지명하는 등 총 33개 국가와 대표부 대사를 낙점했다. 주한인도네시아 대사 지명자인 간디 술리싯얀토는 템포지와 인터뷰에서 “주한인도네시아 대사 후보가 맞다. 국회 승인 절차가 남아 있다”라고 26일 밝혔다. 조코위 대통령은 모든 대사 후보에 대해 수행할 수 있는 승인을 국회 하원 DPR에 보냈다. 대사 후보자에 대한 적합 승인은 DPR 1분과위원회에서 7월 첫 주에 실시될 것으로 보인다. 이후 국회는 대사 후보자 검증 리포트를 다시 대통령궁으로 보내고, 대통령은 각국에 신임장을 제청하게 된다. 이번 대사 지명 대통령 서신에 따르면 33명이 인도네시아 대사로 지명됐
								“인도네시아 이야기를 풀어내는 최고 문학상의 주인공을 찾습니다.” 한인니문화연구원이 제11회 ‘인도네시아 이야기’ 문학상 및 제1회 ‘인도네시아 생태 이야기’문학상(초등부)을 공모한다. ‘인도네시아 이야기’ 문학상은 2010년 첫 씨앗을 뿌린 뒤 제11회를 맞이하는 인도네시아 한인사회에서 가장 유서 깊은 상이다. 역량 있는 작가를 발굴하는데 역할을 톡톡하고 있다. 특히 올해는 팬데믹 시대를 맞이하여 지속가능한 산림과 생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개소 10주년을 맞이한 한-인니산림센터와 공동으로 주최한다. 공모 부문은 △소설 △수필 △시/시조 △동화/동시로 한인들 누구나 참여할 수 있습니다. 아름다운 모국어로 직조된 여러분들의 삶의 이야기를 기다립니다. ■ 공모 주제 : ‘인도네시아에 관한 이야기’ (예: 해외 거주, 나무, 숲, 팬데믹 등) ■ 공모 대상 : 초등부. 학생부 (중-고등학생) 및 일반부 (대학생-성인) ※ 성인부 대상(혹은 최우수상)은 한국문예지에 등단 기회 부여 ■ 접수 방법 : 2021년 08.01(일) ~ 08.31(화) 18:00 마감 -이메일 접수 ikcskr@gmail.com과 indonesiastory@hotmail.com 동시 송부
								“인도발 ‘델타 변이’ 코로나19 확진자 폭증, 기세 무섭다.” 인도네시아가 20일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1만3737명으로 기록되었다. 지난 1월 30일 이후 최고치다. 신규 사망자도 371명으로, 4월 초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특히 인구 밀도가 높은 수도 자카르타를 비롯해 담배 제조 중심지인 쿠두스, 자바 해안에서 약간 떨어진 방칼란 등을 중심으로 인도발 ‘델타 변이’가 확산하고 있다. 쿠두스의 경우 지난달 말까지만 해도 신규 확진자 수가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그런데 한 달도 채 되지 않아 감염자 수가 35배 급증했다. 인도네시아에서 백신 접종을 완전히 마친 비중은 인구 5% 미만이다. 대부분 중국 시노백 백신을 맞았다. 인도발 ‘델타 변이’ 코로나19는 최근 유럽, 미국 등에서 빠른 속도로 확산중이다. 기존 코로나 바이러스뿐만 아니라 영국발 알파 변이보다도 전파력이 60%가량 강한 것으로 알려져 세계 각국이 초비상에 돌입했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변이 바이러스로 인해 인도네시아에서 감염 확산이 증가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또한 WHO는 델타 변이가 세계적으로 ‘지배종이 될 수 있다’는 경고를 보낸 바 있다.
								인도네시아가 1분기 경제성장률이 전년 동기 대비 0.74%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도네시아의 2020년 경제성장률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2.07%를 기록했다. 전 세계적으로 경제가 회복세로 접어들면서 인도네시아 1분기 대외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6.74% 성장했고 공식 재정지출도 2.96% 증가하는 등 상품 수출과 함께 경기 회복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하지만 인도네시아의 내수 소비 위축과 투자 측면에서 여전히 전년 동기 대비 각 2.23%, 0.23% 감소하며 부진했다. 인도네시아 국가통계국 자료에 따르면 2021년 1분기에 완성된 명목 국내총샌산(GDP)는 3969조 800억 인도네시아 루피아를 기록하면서 전년 동기 대비 0.74% 감소했지만 2분기에는 경제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했다. 하지만 주변국들의 성장세와 비교 시 비교적 더딘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어 경기 부양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고 평가했다. 또한 인도네시아 중앙은행에 따르면 2021년 전체 경제의 실질성장률이 4.1~5.1%를 기록하며 총 GDP가 1.1조 달러에 달성할 것은 목표로 두고 있다. 2020년 인도네시아 경제는 코로나19 사태로 전년 동기
								“인도네시아, 2035년까지 전기차 대수가 약 31만 대가 달린다.” 자카르타 글로브(Jakarta Globe) 6월 17일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반둥공과대학교(ITB)의 국가지속가능교통기술센터(NCSTT, National Center for Sustainable Transportation Technology)에 따르면 인도네시아는 2035년까지 최소 31만대의 배터리 전기차(BEV)를 보유할 것으로 전망했다. 시깃 P 산토사(Sigit P Santosa) NCSTT 대표는 에이전트 기반 모델링을 통해 ‘공격적’ ‘낙관적’ ‘기초적’이라는 세 가지 시나리오로 배터리 전기차 인구 예측을 내놓았다. 낙관적 시나리오는 전기차 대수가 40만 대에 이를 수 있다는 점을 시사했다. 공격적 시나리오는 50만 대, 기초적 시나리오는 2035년까지 전기차 대수가 약 31만~32만 대에 달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NCSTT는 2035년 전기차 충전소가 인도네시아에 5만 개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했다. 기술평가원(BPPT)은 인도네시아의 EV 전환을 추진하기 위한 노력을 공유했으며, BPPT 회장 함맘 리자에 따르면, 충전소 관리 시스템(CSMS)에 더 중점을 두고 있다고 전했다
								인도네시아 한류 드라마팬들이 SBS 월화드라마 ‘라켓소년단’에 뿔났다. 방송사는 “특정 국가나 선수를 비하하려는 의도는 아니었다”며 사과했다. ‘라켓소년단’은 배트민턴 아이돌을 꿈꾸는 성장기를 다룬 드라마다. 독특한 소재와 땅끝마을 농촌에서 펼쳐지는 열여섯 소년소녀들의 레알 성장드라마로 연기자들의 개성이 빛나 인기를 모으고 있다. 하지만 드라마 속 인도네시아 경기 설정에서 ‘개매너’ 등 비하성 대사가 문제가 돌출되었다. 이에 인도네시아 한류 드라마 시청자들의 항의가 빗발쳤다. 한 예로 경기 장면 중 한세윤의 실수에 인도네시아 관중들이 야유를 보내는 모습이 담겼다. 이에 감독과 코치는 “공격 실패 때 환호는 X매너 아니냐” “매너가 있으면 야유를 하겠냐”고 말했다. 방송 이후 인도네시아 시청자들은 SNS 등을 통해 “드라마에 매우 실망했다” “인도네시아에 사과하라”는 등 강하게 항의하며 사과를 요구했다. 급기야 SBS는 댓글에 사과문을 실었다. ‘라켓소년단’ 측은 17일 드라마 공식 인스타그램 계정의 댓글을 통해 “특정 국가나 선수를 비하하려는 의도는 아니었다”며 “인도네시아 시청자들을 불쾌하게 한 장면에 대해 죄송하다. 다음 회부터 더 꼼꼼하게 살펴보도록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