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군정은 지난 17일 재소자 5774명을 사면한다고 발표했다. 특히 17일 전국 19개 교도소에서 정치범 402명이 석방된다고 발표했다. 22일 현지 미디어 이라와디에 따르면 인권단체인 정치범지원협회(AAPP)는 “실제 161명만 확인할 수 있었다. 석방된 정치범 명단을 밝히라”라고 비판했다. 미얀마 임시정부 격인 국민통합정부(NUG)의 진 마 아웅 외교장관은 “정치적 인질극”라며 “이번에 석방된 정치범 대부분이 쿠데타 당일에 체포돼 실제로는 아무런 활동도 하지 못한 정치인들”이라고 말했다. 사면 대상에는 아웅산 수치 국가고문의 경제자문이었던 호주인 경제학자 숀 터넬, 비키 보먼 전 주미얀마 영국 대사, 일본인 다큐멘터리 작가 구보타 도루 등 외국인 4명도 포함됐다. 이들은 사면 직후 추방돼 본국으로 돌아갔다. 페니 웡 호주 외무부장관이자 남호주 상원의원은 “놀라운 소식이다. 숀 터넬 교수는 자유인이며 가족이 있는 집으로 가는 길이다. 사진에 있는 미얀마 엔젤라 코코란 등 그의 석방을 위해 도와준 이들에게 감사한다”고 트위터에 사면 소식을 전했다. 중국계 말레이시아인인 부친과 호주인 모친 사이에서 태어난 웡은 앤서니 앨버니지 총리가 이끄는 새 노동당 정
국제구호개발 NGO 월드쉐어(이사장 박현모)가 화순전남대학교병원(병원장 정용연)에서 미얀마 내전 피해 아동 지원을 위해 기부금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기부금 전달식은 지난 10월 21일 화순전남대학교병원에서 진행됐으며, 정용연 병원장을 비롯한 병원 임직원과 월드쉐어 김영손 국장, 강사라 부장 등이 참석했다. 화순전남대학교병원은 이번 기부금 모금을 위해 병원에서 미얀마 내전 피해 아동 지원을 위한 바자회를 진행했으며, 바자회 모금액과 병원 자체 기부금을 더하여 총 300만 원의 기부금을 월드쉐어에 전달했다. 기부금은 미얀마 현지에서 내전 피해 지역 아동들에게 식료품과 아동 영양제, 학용품 등 구호 물품 전달에 사용될 예정이다. 전달식에서 화순전남대학교병원 정용연 병원장은 “전쟁으로 고통받는 미얀마에 전달하고자 하는 마음을 함께 모았다. 앞으로도 병원에서 사회공헌 활동을 강화하고 지역 거점 공공의료기관으로서 어려운 이웃을 위해 사회적 책무를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이에 월드쉐어 김영손 국장은 “미얀마 내전 피해지역 아이들은 굶주림과 미래에 대한 희망의 상실로 생존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화순전남대병원이 미얀마 지원사업에 적극적으로 동참해줘 감사하다”라고 답했다.
서울대 동남아센터가 ‘미얀마의 봄’을 되돌아보고 민족간 화합과 공존을 위한 모색하는 국제회의를 연다. 서울대 동남아센터는 2021년 2월 1일(10:00-18:00)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영원홀에서 서울대아시아연구소HK+메가아시아연구사업단와 함께 ‘미얀마 봄의 혁명과 민족 간 화합과 공존을 향한 길’(Spring Revolution and Myanmar's Long Road Toward National Unity: Beyond the Lasting Conflicts)이라는 국제회의를 주최한다. 미얀마 군부 쿠데타가 발발한 직후와 달리 한국 사회에서의 미얀마에 대한 관심은 식어가고 있다. 현재 미얀마는 쿠데타 군부 하에 있는 미얀마가 내전 상황이라는 것, 또 민족통합정부라는 임시정부가 군사정부와 대결하고 있는 내전의 당사자라는 사실은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물론 일각에서는 현 상황을 내전으로 규정하는 것에 동의하지 않거나 임시정부의 존재와 그 미래에 대해 큰 비중을 두지 않기도 한다. 독립 이후 70여년에 걸쳐 지속되어온 민족 간 분쟁이 쉽사리 종식되지 않을 것이라는, 다시 말해 민족 간 신뢰회복과 화합을 결코 낙관할 수 없다는 비관론도 만만치 않다. 이번
미얀마 투자경제관계부와 상무부와 중앙은행 등 국가관리위원회 정부 부처가 9월 19일 재 미얀마 한국 봉제협회 등 관계 기업인을 초청해 간담회를 가졌다. 봉제는 미얀마의 핵심산업 중 하나다. 봉제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발벗고 나선 것이다. 초청대상은 미얀마 상공회의소, 봉제협회(MGMA), 재미얀마 한국, 중국, 일본 봉제협회, CMP 봉제 산업 기업인들이다. 미얀마의 주력 산업은 봉제와 섬유산업이었다. 미얀마봉제협회(MGMA)에 따르면 국가비상사태와 코로나19 이전에는 봉제기업 수는 600개 이상이며, 45만 명을 고용하고 있었다. 2001년 설립된 미얀마한인봉제협회에 따르면 한인 봉제공장은 93개 회원사(공장수 104개)로 가입되어 있다. 한인 봉제공장들이 25%를 차지했다. 아세안익스프레스는 미얀마한인봉제협회를 통해 간담회 내용을 취재해 소개한다. ■ “CMP 봉제 산업은 가장 미얀마 산업 중 큰 역할” 간담회에서는 먼저 정부부처 관계자들의 각 분야 현황에 대한 브리핑이 있었다. 와와 마웅(DR. Wah Wah Maung) 미얀마 투자경제관계부 차관은 “미얀마 산업 분야 중에 CMP 봉제 산업은 가장 큰 역할이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최근 미얀마뿐만 아
U.S 뉴스는 미얀마 군부가 향후 국내 공급과 가격 상승 완화를 위하여 러시아산 원유를 지속적으로 수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대변인을 통하여 밝혔다고 보도하였다. 2021년 군사 쿠데타로 정권을 수립한 미얀마 군부는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으로 서방 국가들이 규탄했음에도 불구하고 러시아와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러시아는 원유의 최대 수출처였던 유럽이 단계적으로 수입을 금지할 것이라고 입장에 새로운 원유 거래처를 찾아 나섰다. 자우 민 툰 미얀마 군부 대변인은 수요일 기자회견에서 “우리는 러시아로부터 휘발유 및 연료유를 생산 가능한 원유를 수입할 수 있는 허가를 받았다.”라며 “질 좋고 저렴한 가격”으로 거래 제안을 받았다고 전하였다. 러시아산 원유는 9월부터 선적되어 미얀마로 들어올 예정이다. 미얀마는 러시아‧중국이 협력해 미얀마 내 석유 채굴을 위한 공동 작업도 진행할 예정이다. 미얀마 군부는 수요일 국영 신문에 성명을 발표하며, 미얀마의 필요에 따라 합리적인 가격에 연료를 구입, 수입, 운송하는 것을 감독하기 위하여 민 아웅 흘링을 위원장으로 새운 러시아 석유 구매 위원회를 설치하였다고 공표했다. 현재 미얀마는 정치적 혼란과 시민 안전 불안 외에도
미얀마 군경 또는 군부 관계 인사에 대한 폭발물 공격 등 관련 사건·사고가 이어지자 주 미얀마한국대사관이 “신변 안전에 각별히 유의해달라”고 공지했다. 이라와디(The Irrawaddy)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8월 22일 새벽 양곤 인세인 교도소에 40mm 수류탄 투척 사건이 발생했다. 현재 정확한 인명 피해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교도소 정문 경비대원 1명 부상 당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주 미얀마 한국대사관은 “미얀마 군경 또는 군부 관계 인사에 대한 폭발물 공격 등 관련 사건·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점을 감안, 우리 교민 여러분께서는 군경 관계 시설물에 대한 접근을 자제하는 등 신변 안전에 각별히 유의해 주실 것을 당부 드립니다”라고 공지했다. **아래는 주 미얀마 한국대사관 공지 전문 교민안전공지 : 인세인 교도소 폭발 사건 관련 작성자주 미얀마 대사관작성일2022-08-23 현지 언론에 따르면, 8.22. 새벽 인세인 교도소에 폭발물 투척 사건이 발생하였으며, 정확한 인명 피해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교도소 정문 경비대원 1명 부상 당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 미얀마 군경 또는 군부 관계 인사에 대한 폭발물 공격 등 관련
중국에서 근무하던 묘탄페 미얀마 대사가 지난 7일 지방 출장 도중 숨졌다. 미얀마 중국어 매체인 진펑황 등에 따르면 묘탄페(U Myo Thant Pe) 중국 주재 미얀마 대사가 윈난성 쿤밍에서 급성심부전으로 숨졌다고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하며 전했다.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8일 사망소식을 공식으로 전하며 애도와 조의를 밝혔다. 미얀마 외교부 영사·법률 국장을 지낸 묘탄페 대사는 일본 등에서 근무했다. 2019년 11월 중국 대사로 부임했다. 지난해 2월 미얀마 군부 쿠데타 이후에도 교체되지 않았다. 중국은 미얀마 군부 정권의 가장 중요한 후원 국가다. 이번 묘탄페 대사의 사망은 지난해 이후 중국에서 사망한 네 번째 대사다. 세르히카미셰브(65) 주중 우크라이나 대사는 지난해 2월 베이징 동계올림픽 행사 참석 직후 숨졌다. 얀헤커(54) 독일 대사는 취임 2주도 되지 않은 2021년 9월 사망했다. 올 4월에는 호세 산티아고 로마나(74) 필리핀대사가 개인적 용무로 안후이성 황산을 방문했다가 코로나 방역에 따른 호텔 격리 도중 숨졌다.
미얀마 군사정권이 반체제인사 4명에 대한 사형을 집행했다. 현지 매체 이라와디는 “미얀마에서 사형이 집행된 것은 1976년 이후 처음”이라고 전했다. 이는 공포감을 조성해 미얀마 민주 진영의 저항을 꺾으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미얀마 관영 글로벌뉴라이트오브미얀마는 25일(현지시간) 군정이 민주진영의 표 제야 또(41) 전 의원과 시민활동가 초 민 유(53) 등 양곤 인세인 교도소에 수감돼 있던 4명에 대한 사형을 집행했다고 보도했다. 이들은 반정부 무장 투쟁과 활동에 관여한 미얀마의 해외대테러법에 따른 군사재판에서 1월 사형을 받았다. 교수형으로 집행된 것으로 알려진 전날인 금요일 가족들과 만났다. 정확한 사형 집행 시기와 방법은 공개되지 않았다. 표 제야 또 전 의원은 군부에 의해 축출돼 독방에 구금 중인 아웅산 수치 국가고문이 이끄는 정당인 민주주의민족동맹(NLD) 소속이다. 정치에 입문하기 전 힙합 가수로 활동했던 그는 체제 전복적인 가사 때문에 당시 군사 정부의 눈밖에 나 수감 생활을 하기도 했다. 2000년 그가 내놓은 앨범은 미얀마 최초의 랩 음반이다. 이후 2015년 선거에서 수치 국가고문의 NLD를 대표하는 의원으로 선출돼, 문민 통치로의 전환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