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교육 및 산업용 자동화 기업 ‘아이지’는 ‘IBK벤처투자’와 ‘코오롱인베스트먼트’로부터 총 50억 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고 23일 밝혔다. 2009년 설립된 이후 첫 투자 유치다. 아이지는 이번 투자로 기술 개발과 사업 확장에 집중할 수 있는 중요한 전환점을 마련하게 됐다. 앞으로 기술교육 및 산업용 자동화 산업에서 성장을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이지’는 ▲스마트팩토리 ▲반도체 ▲로봇 ▲AR(증강현실)・VR(가상현실) ▲디지털 트윈 등 4차 산업혁명 관련 분야의 교육용 장비를 제작하고 있다. 이번 투자 라운드에서 기존보다 30배 높은 기업가치를 평가 받았다. 아이지 김창일 대표는 “이번 투자를 통해 글로벌 리더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선제적인 기술 개발에 나설 것.”이라며 “단기간 내 IPO(기업공개)를 진행해 회사의 성장을 함께 이룬 직원들에 대한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2025년 중국 부동산 위기가 5년째를 맞이한다. 중국의 경제를 침체기로 이끈 부동산 문제가 중국 밖으로까지 번지고 있다. 지난 12월 22일 블룸버그통신(Bloomberg)에 따르면, 중국의 주택 판매 침체가 계속되면서 부동산 개발업체들의 부채 상환 여건의 나이질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매출액 4위의 중국 4위 부동산 기업 ‘완커’(VANKE)가 채무불이행, 디폴트(Default)의 신호가 울린 것이 대표적이다. 중국 금융당국은 주요 보험사들에게 완커에 대한 금융 노출 규모를 보고하라고 지시하면서 채무불이행을 피하기 위한 지원 규모를 파악하기 위한 시도를 시작했다. 완커 경영진은 보험사를 돌면서 일부 사채에 대해 풋옵션을 행사하지 말 것을 읍소(泣訴)한다는 소식도 알려지고 있다. 중국의 부동산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여파는 중국 본토 밖으로 확산되는 추세다. 홍콩 부동산 기업 ‘뉴월드개발’도 일부 대출에 대한 만기 연장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홍콩에 본사를 둔 ‘파크뷰그룹’은 베이징의 부동산을 매물로 내놨다. 지난 6월 뉴월드개발은 총부채가 2,200억 홍콩달러(원화 약 41조 원)에 달해 20년만에 연간 소실을 처음으로 기록했다. 블룸버그는 이에 뉴월
한국산업은행(이하 산업은행)이 인수합병(M&A) 및 세컨더리 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해 펀드출자사업을 개시한다. 위탁운용사(GP) 8곳 이내를 선발해 1,500억 원을 출자하고, 5,000억 원 규모 자펀드를 조성하는 게 목표다. 지난 12월 23일 산업은행은 최근 ‘회수시장 활성화 지원 펀드 위탁운용사 선정계획’을 공고했다. 이번 출자사업은 M&A・세컨더리 부문으로 구성됐다. M&A 부문에서 GP 6곳 이내를 선정하고 900억 원을 출자해 3,000억 원 규모 자펀드를 조성할 계획이다. 세컨더리 부문에선 GP 2곳에 600억 원을 출자하고 2,000억원 규모 자펀드를 조성할 예정이다. M&A부문의 주목적 투자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중견・중소기업에 M&A 투자방식으로 약정총액의 60% 이상을 투자해야 한다. 세컨더리 부문은 ‘기존 펀드가 보유한 국내 중소・벤처기업의 기발행 주식’에 약정총액의 60% 이상을 투자하는 구조다. 구주 인수와 동시에 투자대상 기업이 신규 발행한 주식・주식관련채권 등을 투자할 경우, 구주 투자액 한도로 주목적 투자를 인정한다. 제안서 접수는 2025년 1월 22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3시까지다. 제안서
사모펀드(PEF) 운용사 한앤컴퍼니가 SK㈜의 특수가스 자회사인 SK스페셜티 지분 85%를 2조 7,000억 원에 인수한다. 당초 지분 100% 기준 매각가 4조 3,000억 원이 거론됐지만 시장 상황이 바뀌며 매각가가 인하됐다. 지난 12월 23일 SK㈜는 한앤코에 SK스페셜티 지분 85%를 매매하는 주식매매계약서(SPA)를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SK㈜는 SK스페셜티의 성장성과 그룹 내 반도체 사업과의 시너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지분 15%는 그대로 보유하기로 결정했다. 한앤코는 지난 9월 SK스페셜티 인수가로 지분 100% 기준 4조 3,000억 원을 제시하며 우선협상대상자에 선정됐다. SK는 매각 사유로 “재무 건전성을 제고하고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이라고 밝혔다. 한앤코는 범용 반도체 수요가 시장 전망치를 밑돌며 업계가 어려움을 겪으면서 SK스페셜티의 미래 추정 실적이 전망을 밑돌 가능성이 커지면서 SK스페셜티의 가격 인하 협상에 주력한 것으로 전해진다. 한앤코는 SK스페셜티 인수를 위해 지난 7월 결성을 마친 4조 7,000억 원 규모 4호 블라인드 펀드를 활용할 전망이다. SK는 스페셜티 지분을 매각하며 동반매도청구권 계약을
대신증권이 국내 10번째 종합금융투자사업자(이하 ‘종투사’)로 지정됐다. 지난 12월 24일 금융위원회(이하 ‘금융위’)는 정례회의를 열고 대신증권에 대한 종투사 지정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종투사는 자기자본 3조원 이상의 증권사가 기업금융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하도록 2013년 도입된 제도다. 종투사로 지정되면 활용 가능한 신용공여한도가 자기자본의 100%에서 200%로 늘어나고, 기업 신용 공여 업무가 가능해진다. 그간 종투사는 미래에셋증권・NH투자증권・삼성증권・한국투자증권・키움증권・메리츠증권・KB증권・신한투자증권・하나증권 등 9곳이었다. 이번 대신증권이 추가 지정되면서 총 10곳으로 늘어나게 됐다. 금융위는 “자기자본, 인력과 물적설비, 이해 상충 방지체계 등 법령상 요건을 모두 갖춘 것으로 판단해 대신증권을 종투사로 지정했다.”며 “기업의 다양한 자금 수요에 대응해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LG에너지솔루션과 퀄컴이 손잡고 시스템온칩(SoC) 기반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진단 솔루션 상용화에 나선다. 지난 12월 23일 LG에너지솔루션(이하 ‘LG엔솔’)은 퀄컴과 SoC 기반 BMS 진단 솔루션 상용화를 위한 공동 프로모션 정식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LG엔솔의 새로운 첨단 BMS 소프트웨어는 퀄컴 스냅드래곤 디지털 섀시에서 이용할 수 있다. 완성차 업체가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와 클라우드 서비스에 진단 솔루션을 사용할 수 있도록 스냅드래곤 카 투 클라우드 커넥티드 서비스 플랫폼에도 탑재될 계획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퀄컴과 협력해 스냅드래곤 디지털 섀시에 탑재될 BMS 소프트웨어를 개발했다. 저사양 하드웨어로 구동됐던 기존 BMS와 달리 이번에 개발한 것은 고성능 SoC 컴퓨팅 성능을 활용하는 BMS 솔루션이다. LG엔솔은 자사의 안전 진단 및 퇴화・수명 예측 소프트웨어가 스냅드래곤 디지털 섀시에 탑재돼 보다 정교하고 차별화된 BMS 솔루션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BMS 솔루션 핵심인 안전 진단 기능이 향상되며 스냅드래곤 디지털 섀시 솔루션의 SoC 고용량 컴퓨팅 성능을 활용해 기존 BMS 대비 더 많은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어
서울특별시(시장 오세훈)가 뉴욕 타임스퀘어 전광판에 ‘서울은 안전한다.’는 메시지를 송출한다. 외국인 방문하는 객실에는 오세훈 시장이 쓴 ‘환대카다를’ 배치하는 등 계엄의 충격으로 인한 외국인 관광을 활성화시키려는 방안이다. 12월 23일 ‘헤럴드경제’는 서울시가 12월 23일부터 2025년 1월 5일까지를 ‘외국인 환대’ 주간으로 운영한다고 보도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외국인 환대 주간은 상황에 따라 더 늘어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우선 서울시는 국내외 주요 매체를 통해 ‘서울은 안전하다’는 메시지를 광고하고 해외 매체를 활용할 계획이다. 서울관광재단을 통해 타임스퀘어 전광판에 서울 방문에 대한 광고를 최대한 빠르게 송출할 예정이다. 12월 25일부터 외국인이 묵는 호텔에는 오세훈 서울시장의 서명이 담긴 ‘환대카드’가 준비된다. 환대 카드에는 “소중한 연말연시 서울을 방문해 주셔 감사하다. 서울시는 정성을 다해 당신을 환대 하겠다.”라는 내용이 담겼으며, 메시지는 영어와 중국어 일어 3개 국어로 번역됐다. 앞서 오 시장은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의 동요를 막기 위해 대사관 등 주한 외국공관과 외국인주민지원센터에 서한을 전달하기도 했으며 이 서한은 영어・중국
지난 12월 19일 AP통신은 중국 배터리 제조소 닝더스다이(CATL)가 2025년 전기자동차(EV) 배터리 교환소 1,000개를 오픈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AP통신에 따르면 CATL은 2025년에 홍콩과 마카오를 포함해 중국에 배터리 교환소 1,000곳을 열겠다고 발표하면서 장기적 2030년까지 10,000곳까지 개설하는걸 목표로 삼았다. CATL 쩡위췬 회장은 “2030년까지 배터리 교체, 가정용 충전소, 공공 충전소가 시장을 나눠 가질 것”이라며 “더 편리하고 경제적이면서 안전한 서비스를 내놓겠다.”고 말했다. CATL은 전기차 배터리 교환소 사업에서 중국 전기차 니오와 경쟁 중이다. 니오는 전기차 배터리 교환소를 5,000곳 이상 세우겠다고 밝힌 혔으며, 이미 2,700곳 이상을 개소했다. 전기차 배터리 교환소에서는 전력을 다 쓴 배터리를 새것으로 바꿔 끼우면 된다. 방전된 배터리를 충전하면서 기다릴 필요가 없어 시간을 아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