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올해 추진하고자 하는 외국인 가사도우미(가사관리사) 시범사업 준비가 마무리 단계다. 정부가 필리핀 정부와 협의를 완료하는 대로 시범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하지만 필리핀 정부의 허가와 임금 등에 대한 구체적인 협의가 남아 있어 정확한 시행시기는 아직 미지수다. 관련 기사 : 필리핀 정부, 서울시 파견 필리핀 가사도우미 프로젝트 본격 시작(5월 21일) [이슈] 필리핀 가사관리사 시범사업, 연착륙 성공할까(4월 21일) 서울시 시범사업은 만 12세 이하 아동을 키우거나 출산 예정인 맞벌이 부부나 한부모 가정을 대상으로 신청을 받아, 필리핀 가사도우미 100명을 6개월 간 공급하는 것이 골자다. 입주가 아닌 출퇴근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시범사업이라 최저임금(시급 9860원)이 보장된다. 서울시는 가사도우미가 머물 숙소나 교통비 등은 지원하지 않을 계획이다. 수혜가구에 대한 보조금 계획도 없다고 밝혔다. 필리핀 가사도우미는 고용허가제를 통해 비전문 취업비자(E-9)를 발급받아 국내로 들어오게 된다. 필리핀 직업훈련원(TESDA)에서 6개월간 훈련을 받은 뒤 수료증을 발급받은 만 24세 이상이 대상이다. 이들 중 한국에
“끔찍한 현실에 대한 강렬한 메시지!”(Variety) 3월 13일 개봉하는 영화 ‘레이징 그레이스(Raging Grace)’는 미스터리 맨션 스릴러다. ‘성난 사람들’ ‘엘리멘탈’ 등 최근 주목받는 아시아 이민자 정체성을 다룬 작품들과 궤를 같이 한다. 아시아 이민자를 다룬 시각은 국내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큰 사랑을 받고 있는 새 조류 중 하나다. 주인공 ‘조이’는 영국에서 머물고 있는 필리핀 출신의 불법체류자다. 자신과 딸 ‘그레이스’의 안위를 지키기 위해 거액의 돈을 받고 수상한 대저택에 발을 들이게 된다. 무섭고 히스테릭한 유령의 집이다. 입주 가정부가 된 모녀가 입주한 대저택은 천장 높다. 복층 구조로 이뤄져 있는 동시에 안방과 서재, 부엌과 지하실 등으로 구성되어 변화무쌍하다. 그 자체가 상징적이다. 대저택이 주는 기운과 분위기가 극을 구성하는 핵심 서사다. 영화제에 공개될 때 “<기생충>과 <겟 아웃>이 합쳐졌다”(letterboxed), “음산한 분위기와 끝을 알 수 없는 스토리”(부산국제영화제), “고요하지만 지옥처럼 강렬하다!”(Fresh Fiction)와 같은 찬사를 받았다. 또한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g
필리핀 마닐라는 예로부터 ‘동방의 진주’로 불린다. 이 말은 필리핀 독립운동가 ‘호세 리잘(1861~1896)’의 절명시(絶命詩)에서 처음 읊었다. 마닐라에 있는 ‘호세 리잘 공원’에는 ‘나의 마지막 안녕’ 시비가 있다. “잘 있거라, 내 사랑하는 조국이여! 태양이 감싸주는 나라여. 동방의 진주여. 우리의 잃어버린 에덴이여” ‘태양이 감싸주는 나라’라는 표현을 쓰면서 350년간 스페인 식민지가 되어버린 자국을 ‘잃어버린 에덴’으로 빗댄다. ‘안암동 일기’ 시인이자 문학평론가인 이시환이 여섯 번째 여행기로 ‘동방의 진주 필리핀’을 펴냈다. 부제는 ‘2631 막탄-세부-보홀 5박 7일 여행’으로 60대 중반에 들어선 그의 날카롭지만 여유만만 시각이 살포시 담겨있다. 시인은 “이 여행기는 여행 중에 일어난 97%를 담아냈다. 3%는 제가 현장에 없었거나 잠자는 시간대에 일어난 일이다. 그 내용은 99.9%의 진실이라고 조금 과장해 말하고 싶다”고 말했다. 여행 중에 꼼꼼히 메모를 바탕해 일기를 썼고, 여행지에 대한 자료 조사를 통해 탐구하는 과정에서 필리핀 역사-문화를 이해할 수 있도록 안내를 했다. 중부 세부 막탄섬(Mactan Island), 자연경관이 뛰어나
“1801년 필리핀어를 처음 배운 문순득 님이 생각난다.” 마리아 테레사 디존-데 베가(H.E. Theresa Dizon-De Vega) 주한필리핀 대사가 필리핀-대한민국 수교 75주년을 맞아 5일 서울 그랜드 하얏트 호텔에서 기념 리셉션을 열었다. 베가 대사는 첫 인사로 2세기전 필리핀어를 처음 배운 전남 우이도 출신 상인 선원 문순득을 거론했다. 그리고 장충체육관을 설계 건축한 필리핀 건축가, 디바오 출신 이자스민 의원도 언급했다. 그는 “1949년 3월 3일 필리핀이 다섯 번째로 한국을 인정한 국가로서 70년여년 지난 지금, 퍼디난드 R. 마르코스 주니어 대통령이 윤석열 대통령에게 보낸 메시지처럼 과거를 축하하는 동시에 미래를 본다. 다이아몬드 희년을 축하하면서 한국과 필리핀이 ‘전략적 동반자 관계’ 수립으로 격상을 앞두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필리핀 인프라 프로그램 ‘빌드 베타 모어(Build Better More) 한국 참여와 민다니오 혁신적인 교각 프로젝트도 소개했다. 최근 체결된 자유무역협정부터 국방과 안보, 녹색기술, 에너지, 바이오 엔지니어링, 보건, 스마트농업 등 많은 분야에서 협력하자고 강조했다. 이어 김동배 외교부 아세안국 국장은 “필
한-아세안센터(사무총장 김해용)는 한-아세안 대화관계 수립 35주년을 기념하여 엘리자베스 P. 부엔수세소 대사의 책 ‘아세안 중심성(ASEAN Centrality)’을 한국어로 번역 및 발간했다. 저자인 엘리자베스 P. 부엔수세소 대사는 전 아세안 고위관리회의(Senior Officials' Meeting : SOM) 대표 및 상주대표위원회(Committee of Permanent Representatives : CPR) 의장이자 전 주아세안 필리핀 대표부 대사다. 아세안 중심성의 영문판은 2021년 싱가포르의 ISEAS-유소프 이삭 연구소(ISEAS-Yusof Ishak Institute)에서 처음 출간된 바 있다. 이번에 발간된 ‘아세안 중심성’은 아세안에서 10년 이상 근무한 베테랑 외교관인 저자가 아세안 회원국 및 대외 파트너들과의 외교에서 ‘아세안 중심성’이 실제로 적용된 사례들을 자문화기술지적 연구방법을 통해 분석하며 그에 대한 정의를 제시하고 있다. 자문화기술지적 연구(Autoethnography)는 저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분석하고 해석하는 자서전적 학술 저술의 한 장르다. 저자는 아세안 중심성에 대한 깊은 이해를 통해 다자협력이 강화될 수 있다
필리핀 출신 이자스민 전 의원은 한국에서 최초의 귀화인 국회의원이다. 그가 다시 두 번째 의원 배지를 단다. 25일 비례대표 1번인 류호정 의원이 탈당계를 내면서 15번인 이자스민 정의당 이주민인권특별위원회 위원장이 비례대표 의원직을 승계한다. 이 전 의원은 새누리당에서 비례대표를 지냈다. 이후 자유한국당(국민의힘 전신)을 탈당해 2019년 11월 정의당에 입당했다. 보수 정당에서 정의당으로 넘어와 비례대표가 되는 첫 사례이기도 하다. 다문화 정치인으로 유명한 이자스민 위원장은 1998년 귀화한 뒤 결혼이주여성 봉사단체인 '물방울나눔회' 사무총장을 맡아 다문화가정을 위한 활동을 벌였다. 그가 일반인에게 알려지게 된 것은 외국인 대상 소재 영화 ‘완득이’에 출연하면서다. 이 영화는 관객 530만명을 기록했다. ‘완득이’는 처음 김윤석-유아인 등 스타의 얼굴을 내세웠다. 하지만 영화를 보고 나온 관객들이 ‘완득이는 재미있다’ ‘다문화가정을 다시 보는 영화’라는 평을 받아 엄청난 반향을 일으켰다.
필리핀은 한국에게 매우 고마운 나라다. 아세안(ASEAN, 동남아연합) 10개국 가운데 한국과 가장 먼저 수교한 나라다. 한국전쟁 시에는 라모스 전 대통령을 비롯한 젊은 병사 7420명이 참전해 고귀한 희생을 바쳤다. 한국은 아세안 내 필리핀의 4번째 교역 상대국이다. 한국 교민만 8만 5000명이다. 코로나19 이전 연 약 200만 명의 한국인이 필리핀을 방문해 외국인 관광객 수 중 1위에 올랐다. 모모랜드, 엑소, 방탄소년단, 블랙핑크, 뉴진스 등 55개의 K-POP 팬클럽에는 한류팬만 40만 명이다. 올해는 한-필리핀 FTA 서명, 2024년은 수교 75주년을 맞는다. 앞으로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하게 되면 또 한번 가까워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 10월 19일 필리핀의 하스 아보카도는 한국에 진출한 출시 행사를 했다. 첫 컨테이너에 선적한 이 과일은 공개되자마자 ‘완판’했다. 이전까지 한국에 수입되는 아보카도의 대부분은 미국-멕시코-칠레 등 아메리카 지역산이었다. 지리적으로 더 가까워 신선하고 맛이 났다. 아세안익스프레스는 이처럼 더 가까워지고 있는 한국-필리핀 관계를 조명하기 위해 마리아 테레사 디존-데 베가(H.E. Theresa Dizon-
“필리핀 하스 아보카도가 이제 한국에서 판매됩니다.” 테레사 디존-데 베가 주한 필리핀 대사는 2023년 10월 19일 홈플러스 강서점에서 열린 필리핀 하스 아보카도 출시 행사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 필리핀과 한국 간의 강력한 농산물 수출 무역 관계를 상징하는 필리핀 하스 아보카도의 한국 시장 진출을 환영했다. 홈플러스는 전국에 약 140개 지점을 보유한 한국 최대 소매 대형마트 체인점 중 하나다. 이번 행사는 DOLE 코리아가 주한 필리핀 농무부 마리아 알릴리아 마기랑 농업무관과 협력하여 잭 김 대표이사를 필두로 주최했다. 주한 필리핀 농무부 마리아 알릴리아 마기랑 농업무관은 “필리핀 하스 아보카도는 영양이 풍부한 과일로 부드럽고 크리미한 식감으로 샐러드, 샌드위치 등 다양한 레시피에 활용하기 좋은 식재료다”라고 말했다. 필수 영양소와 파이토케미컬이 풍부한 필리핀 하스 아보카도를 매일 식단에 포함하면 심혈관 건강, 체중 조절, 포도당 수치 균형 등을 효과적으로 증진할 수 있다. 그는 “한국 소비자들은 앞으로 더 많은 필리핀산 하스 아보카도 선적을 기대할 수 있다. 필리핀에서 수출되는 신선한 하스 아보카도는 다바오, 부키드논, 사우스 코타바토에 위치한 돌 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