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연구재단 지원에 선정된 과제 가운데 유일한 동남아시아 연구예요” 전북대 동남아연구소(소장 전제성 정치외교학과 교수)가 한국연구재단의 2025년 인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인문사회 학술연구 지원사업의 지원대상 연구소)에 선정되었다. 올해 인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의 선정률은 14.7%로, 총 259개 과제가 경쟁하여 38개가 선정되었다. 7대 1에 가까운 치열한 경쟁을 뚫은 값진 성취일 뿐 아니라, 선정된 과제 가운데 유일한 동남아시아 연구라는 점에서 연구소 간 연대와 협력을 토대로 성장해 온 한국 동남아학계에도 큰 경사가 아닐 수 없다. 신규사업을 수주함에 따라 동남아연구소는 2025년 9월부터 2031년 8월까지 6년간 총 18억 6,950여만 원(간접비 포함)의 연구비를 지원받을 수 있게 되었다. 전북대 동남아연구소는 이에 앞서 2019년에도 ‘사람중심의 신남방정책 추진을 위한 노동-보건ㆍ복지 연구’라는 주제로 인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에 선정되어, 지난 6년간 약 17억 200만 원을 지원받은 바 있다. 이를 통해 다수의 이슈페이퍼와 논문, 총서, 정책연구를 발간하는 학술적 탐구뿐 아니라 시의성 있는 주제로 동남아지역설명회를 개최하여 동남아에 관한 지식-정보를 대
인구의 88%가 무슬림인 인도네시아에 한국 절, ‘야야산 해인사 인도네시아’를 아시나요? 인도네시아 수도 자카르타에는 유일하게 삼존불을 법당에 모시고 있는 한국 절, ‘야야산 해인사 인도네시아’가 있습니다. 1990년 인도네시아에 진출한 이후 30년만에 지난 2월 22일 30년만에 ‘야야산 해인사 인도네시아’ 법당에서 점안법회를 했습니다. 조계종 산하 불교 단체 해인사 인도네시아는 1990년 신도들이 모여 가정법회로 시작한 공간입니다. 현지에 진출한 교민 불자들이 신심을 다지고 수행과 생활불교 실천을 위해 출발했습니다. 3년간 상주하는 스님이 없이 불자들의 공간을 이어오다가 조계종에 스님 파견을 요청했습니다. ‘산은 산이오, 물은 물이로다’라는 화두로 유명한 성철 스님의 직계 제자이자 마침 국제포교 소임을 맡고 있던 원명 스님이 파견되어 1994년 해인사로 명칭을 변경하고 지금에 이르고 있습니다. 자카르타 남쪽의 파트마와티(Fatmawati) 지역에 위치한 해인사는 4층짜리 건물로, 3층에 법당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원래는 석가모니불만 모시고 있다가, 추가로 중국에서 제작한 목조지장보살상을 모셨습니다. 시간이 흐르고 인도네시아 현지 기후로 인해 목조보살상의
2022년 한 해 동안 동남아에선 무슨 일이? 전북대 동남아연구소가 올해도 (사)한국동남아학회와 함께 지난 2월 1일과 2일 이틀간 동남아시아의 2022년을 돌아보고 2023년을 전망하는 동남아지역동향설명회(이하 설명회)를 열었다. 설명회는 온라인 화상회의로 개최되었다. 주중에도 학자는 물론 전직 외교관과 시민사회, 일반 시민 등까지 60여 명이 실시간 회의에 참여하여 동남아 각국에서 지난 한 해 동안 화제가 되었던 다양한 이슈에 관한 궁금증을 풀고 2023년 전망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첫날인 2월 1일에는 베트남과 태국, 캄보디아, 미얀마, 싱가포르 국가 동향이, 이튿날에는 필리핀과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아세안 동향에 관한 발표와 토론, 질의응답이 이루어졌다. 제5회 동남아지역동향설명회는 유튜브로 다시보기를 통해 일반인들에게 공개되었다. 아홉 번째 ‘인도네시아 2022: 재도약을 위한 첫걸음’은 서강대 동아연구소의 정정훈 박사가 맡았다. 토론에는 강원대의 김형준 교수가 참여했다. https://youtu.be/zz3Gcge0UWY [인도네시아 2022: 재도약을 위한 첫걸음] 발표: 정정훈 서강대 동아연구소 박사 토론: 김형준 강원대 김형준 교수
2022년 한 해 동안 동남아에선 무슨 일이? 전북대 동남아연구소가 올해도 (사)한국동남아학회와 함께 지난 2월 1일과 2일 이틀간 동남아시아의 2022년을 돌아보고 2023년을 전망하는 동남아지역동향설명회(이하 설명회)를 열었다. 설명회는 온라인 화상회의로 개최되었다. 주중에도 학자는 물론 전직 외교관과 시민사회, 일반 시민 등까지 60여 명이 실시간 회의에 참여하여 동남아 각국에서 지난 한 해 동안 화제가 되었던 다양한 이슈에 관한 궁금증을 풀고 2023년 전망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첫날인 2월 1일에는 베트남과 태국, 캄보디아, 미얀마, 싱가포르 국가 동향이, 이튿날에는 필리핀과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아세안 동향에 관한 발표와 토론, 질의응답이 이루어졌다. 제5회 동남아지역동향설명회는 유튜브로 다시보기를 통해 일반인들에게 공개되었다. 두번째 순서 ‘태국 2022: 위기가 가지고 온 변화의 기회’는 서강대 동아연구소의 현시내 교수가 발표를 맡았다. 태국 2022 리뷰에 대한 토론은 연세대 문화인류학과의 이상국 교수가 맡았다. https://youtu.be/kSf1deGKuNA [태국 2022: 위기가 가지고 온 변화의 기회] 발표: 현시내(서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