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삼성SDI, 차세대 원통형 배터리 내년 양산 ‘천안에 파일럿 구축’

천안에 파일럿 구축 중
삼성SDI 최훈 중국법인장 언급

 

삼성SDI가 차세대 원통형 배터리 설계를 확정해 2023년 양산에 들어갈 예정이다.

 

원통형 46파이(Φ·지름 46mm) 배터리로 지름은 46㎜로 유지하면서 높이를 95㎜, 120㎜ 등으로 다변화하는 방향으로 개발이 진행 중이다.

 

흔히 ‘테슬라표’ 배터리로 불리는 지름 46㎜, 높이 80㎜(4680) 규격도 46파이 제품에 포함된다.

 

2023년에 설계가 확정되면 양산 준비에 곧 들어가게 되며 LG에너지솔루션, 일본 파나소닉과 시점이 겹친다.

 

원통형 배터리를 개발했다고 밝힌 여러 중국 업체를 제외해도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파나소닉의 삼파전이 불가피하다.

 

성능, 안정성, 가격을 무기로 테슬라 공급 성사를 위한 경쟁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삼성SDI 중국법인 최훈 법인장은 중국매체와의 인터뷰에서 “(46파이) 연구‧개발(R&D) 단계에 있으며 2023년 설계가 확정된다.”면서 구체적으로 “니켈 함량 90% 이상의 하이니켈 양극재, 실리콘 음극재를 적용했고 에너지 밀도는 모듈 기준으로 520와트시리터(Wh/L)다. 이는 5세대(젠5) 각형 배터리 셀의 78% 수준이다.”고 언급했다.

 

현재 삼성SDI는 천안에 46파이 파일럿 라인을 구축 중이다. 1기가와트시(GWh) 수준이며 분당 생산속도(PPM)가 20PPM이다.

 

낮은 속도로 배터리를 만들어 보고 문제가 없으면 양산 투자를 진행할 방침이다.

 

양산은 말레이시아 세렘반 공장이 유력하며 해당 공장은 2021년 2170 규격 원통형 배터리(지름 21㎜, 높이 70㎜) 투자가 이뤄진 곳이다.

 

양산 목표는 200~300PPM으로 GWh로 환산하면 8~12GWh 정도다.

 

주행거리 400Km의 고성능 전기차 23만대 이상을 만들 수 있는 양이다

 

삼성SDI는 지난 7월 말레이시아 세렘반에서 배터리 2공장 기공식을 가지고 2025년 최종 완공 시까지 단계적으로 총 1조 7,000억원을 투자한다.

 

여기에는 천안 파일럿 라인 투자액도 포함됐다.

 

한편, 전 세계 원형 배터리 시장은 기존 전동공구, 마이크로 모빌리티에서 전기차, 에너지저장장치(ESS)로 확대되고 있다.

 

2022년 101억 7,000만 셀(Cell)에서 오는 2027년 151억 1000만 셀(Cell)로 증가하며 연평균 8%의 시장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포토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