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아세안센터(사무총장 김해용)는 ‘2023 한-아세안 학술에세이 공모전’ 제안서 접수를 시작했다. 한국과 아세안 국적의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동 공모전은 학생들의 에세이를 통해 한-아세안 관계 증진에 기여하고자 개최되는 연례공모전이다. 제안서 심사 합격자들에겐 에세이 본편을 제출할 기회가 주어진다. 한-아세안 관계에 대한 청년들의 관심을 제고하고 관련 학문 연구를 장려하고자 개최되는 이번 공모전은 “글로벌 환경에서의 한-아세안 전략적 파트너십 강화”가 주제다. 참가자들은 ▲한-아세안 관계에 대한 담론과 인식, 그리고 인식 개선을 위한 방안과 ▲지속 가능하고 호혜적인 한-아세안 파트너십을 위한 디지털 및 친환경 분야의 시너지 방안 중 하나의 세부주제를 선택하면 된다. 또한 참가자들은 지도 교수의 연구 지도를 받아 개인 또는 팀(최대 2인)으로 지원할 수 있다. 제안서 및 에세이 공모전과 관련하여, 온라인 브리핑 세션이 5월 중 예정되어 있으며, 관심있는 참가자들은 한-아세안센터 홈페이지에서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에세이 본편을 제출할 제안서 심사 합격자는 6월 19일 발표될 예정이다. 최종 수상자는 9월 26일 발표된다. 대상, 우수상, 장
부산외국어대학교(총장 장순흥) 특수외국어사업단과 한국재난안전산업기술연구조합(이사장 노희종) 사이에 특수외국어 교육진흥사업 지원을 바탕으로 양 기관의 상호 발전을 위한 긴밀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업무 협약으로 두 기관은 ▲특수외국어 교육 진흥 사업 추진을 위한 지원 및 협력 ▲특수외국어 언어 교육 관련 공동 프로그램 편성 및 시행 ▲기타 특수외국어 언어 교육 사업 관련 업무 협조를 위해 상호 협력하게 된다. 노희종 한국재난안전산업기술연구조합 이사장은 “향후 조합 내 중소기업들이 특수외국어 언어 및 지역 문화 이해 교육을 통하여 해외 무역 수출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했다. 배양수 부산외대 특수외국어사업단 단장은 “중소기업의 해외진출과 수출에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협력 프로그램을 구상하고 있다. 부산에 소재하는 한국재난안전산업기술연구조합과 그 시작을 함께한다는 점에서 지역 산학협력의 모델이 될 것”라고 말했다. 한편, 부산외대는 2018년 2월 교육부와 국립국제교육원이 주관한 ‘특수외국어교육 진흥 사업’에 선정되었다. 라오스어, 마인어(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어), 미얀마어, 베트남어, 아랍어, 이탈리아어, 크메르어, 튀르키예어,
730만명 재외동포 관련 업무를 전담할 ‘재외동포청’의 소재지가 인천으로 낙점되었다. 외교부는 오는 6월 5일 신설되는 재외동포청의 소재지와 관련해 본청을 인천에, 통합민원실인 ‘재외동포서비스지원센터’는 서울 광화문에 두는 것으로 결정했다고 5월 8일 발표했다. 외교부는 국민의힘와 함께 세 차례의 당정협의를 통해 청 소재지 문제를 논의했다. 재외동포의 ▲편의성·접근성 ▲업무효율성 ▲지방균형발전 ▲행정조직의 일관성 ▲소재지 상징성 등에서 재외동포들의 선호도가 높은 서울과 인천 두 지역으로 후보지를 압축해 최적의 입지를 검토했다고 설명했다. 그 결과 본청을 ▲편의성-접근성 ▲지방균형발전 ▲행정조직의 일관성 측면에서 인천에 두고, 정책수요자인 재외동포들의 업무효율성을 고려해서 ‘재외동포서비스지원센터’를 서울 광화문에 설치하기로 했다. ‘재외동포서비스지원센터’에서는 동포 대상 국적-사증-병역-세무-보훈-연금 등 각종 행정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외교부는 “인천시, 행안부 등 유관기관과 긴밀히 협의해 재외동포청의 구체적 입지 선정과 인프라 마련 등에 돌입하고 6월 5일 재외동포청 출범이 차질없이 진행되도록 만전을 기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간 750만
“베트남 하노이에 ‘LS드림센터’가 문을 열었어요.” LS그룹(구자은 회장)과 국제개별협력 NGO 코피온(김곤중 총재)이 4일, 한국인과 베트남인이 결혼한 가정(이하, 한-베 가정)의 여성 취업과 자녀교육 문제를 돕기 위해 교육-문화 공간인 ‘LS드림센터’를 베트남 하노이시에 개소했다. 하노이 한베가족협회 자료에 따르면 베트남 거주 한-베 가정은 2016년 약 500가구에서 2022년 약 2200 가구로 4배 이상 급증했다. 이에 대한 맞춤형 복지가 절실한 상황이다. LS그룹은 베트남에 일찌감치 진출한 한국 대표 기업으로서 현지 사회적 문제 해결에 동참한다는 취지로 한-베 가정이 많이 거주하는 하노이 중심에 LS드림센터를 열었다. LS드림센터는 지상 4층-6개 프로그램 운영실을 갖춘 건물이다. LS는 이곳에서 각 교육 및 프로그램 전문가를 강사로 섭외해 한-베 가정을 위한 ▲자립역량강화교육(컴퓨터, 한국어능력시험, 요리, 네일아트) ▲가족상담 및 부모교육(자존감 향상, 아동케어, 심리상담) ▲아동교육(한글교육, 문화체험, 독서교실) 등을 제공한다. 개소식 행사에는 안원형 ㈜LS 사장, 주 베트남 한국대사관 오영주 대사, 성수열 코피온 사무총장, 장우연 하노이
‘코로나19’라는 듣도보고 못한 바이러스 습격으로 지구촌은 2~3년간 큰 고통을 겪었다. 다행히 이제 코로나 팬데믹이 걷히면서 서서히 예전의 일상으로 돌아가고 있다. 한국 유일의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전담기구인 한-아세안센터는 코로나19 기간 비대면, 온라인 사업에 집중해왔다. 올해는 달라졌다. 센터는 상반기 ‘한-아세안 청년 상호 인식 조사 결과 발표 및 좌담회’ ‘한-아세안 EV 포럼’을 통해 온오프라인에서 기지개를 폈다. 이렇게 존재감을 과시한 센터는 하반기 7월 ‘한-아세안 청년 네트워크 워크숍’과 ‘아세안위크’를 통해 그 위상을 확인할 것으로 보인다. 아세안익스프레스가 “코로나19 상황에서 2022년 ‘제주 아세안홀’을 개관한 것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는 센터의 사령탑인 김해용 사무총장을 만났다. ■ ‘무역투자 라운드테이블’ ‘청년 상호 인식 조사 결과 간담회’로 올해 사업 기지개 Q. 한국에서도 실내마스크 착용을 해제하는 등 본격적으로 ‘포스트 코로나19’로 돌입했다. 한-아세안센터는 코로나 이후 활동을 본격적으로 하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한-아세안센터의 프로그램은 잘 준비하고 있나? 이미 시행된 1분기 행사와 앞으로 올 한해
태국 총리후보 1위인 탁신 전 수상의 막내딸 패통단 프아타이당(For Thais Party) 총수는 출산 이틀 후 병원에서 왜 긴급기자회견을 했을까? 6일 총선 사전투표, 14일 본투표를 앞두고 패통탄 친나왓(Paetongtarn Shinawatra, 36) 총수가 3일 신생아가 잠들어 있는 인큐베이터 앞에서 기자회견을 했다. 장소는 방콕의 종합병원이고 제왕절개 수술로 아들을 출산한 산모의 모습이었다. 5일 방콕포스트는 “제왕절개로 아들을 출산한 패통탄이 선거 현장에 곧바로 복귀했다”고 보도했다. 왜 이렇게 패통단이 산후조리를 포기하며 선거판으로 서둘러 돌아온 이유는 뭘까. 지난달 29일 태국 여론조사기관 사안두싯폴이 발표한 조사에서 프아타이당(41.37%)은 급조된 쁘라윳 짠오차(Prayut Chan-o-cha) 현 총리가 속한 루엄타이쌍찻당(United Thai Nation Party, 8.48%)과 또 다른 친군부 정당 팔랑쁘라차랏당(7.49%)을 큰 격차로 앞서나갔다. 이 같은 지지율 추이를 보면 이번 총선에서 2021년 10월 정계에 입문한 ‘정치 신인’의 패통단의 승리는 무난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하원의원 500명을 뽑는데, 프아타이당이 207석을
“동방정책 40주년, 두 나라 실질 협력과 전략적 소통을 강하화자” 박진 외교장관은 지난 2일 오후 안와르 빈 이브라힘(Anwar bin Ibrahim) 말레이시아 총리를 예방한 후 잠브리 빈 압둘 카디르(Zambry bin abd Kadir) 말레이시아 외교장관과 양자회담을 개최했다. 올해 한-말레이시아 동방정책 40주년을 맞이하여 양국간 실질 협력과 전략적 소통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 말레이시아 포함한 아세안과의 호혜적‧포괄적 협력 네트워크 구축 의지 전달 말레이시아의 행정 수도 푸트라자야에서 안와르(Anwar) 말레이시아 총리를 예방한 박 장관은, “두 나라가 민주주의‧시장경제 등의 가치를 공유하는 최적의 파트너로서 지난 60여년 동안 다방면에서 견고한 협력관계를 발전시켜 왔다”고 평가하였다. 아울러 박 장관은 우리 정부가 최초의 포괄적 지역전략인 ‘인도태평양 전략’을 작년 말 발표한 데 이어, 인태지역의 우리 핵심 협력 파트너인 아세안에 특화된 지역 정책으로서 ‘한-아세안 연대구상(KASI)’의 구체내용도 마련하였다고 설명하면서, 말레이시아를 포함한 아세안과의 호혜적‧포괄적 협력 네트워크 구축 의지를 전달하였다. 이에 대해 안와르 총리는 “한국 정
박진 외교부장관이 지난 2일 쿠알라룸푸르 소재 말레이시아 국립미술관(National Art Gallery of Malaysia)에서 개최된 ‘한류 전시회(Hallyu Exhibition)’의 개막식에 참석하였다. 말레이시아를 방문 중인 박 장관은 쿠알라룸푸르 소재 말레이시아 국립미술관(National Art Gallery of Malaysia) 전시회의 개막식에 하자 사라야(Datuk Hajah Saraya) 말레이시아 관광·예술·문화부(MOTAC) 차관, 아메루딘 아마드(Amerrudin Ahmad) 국립미술관장 등 200여 명의 주요 인사들과 함께 참석하였다. 이 행사는 주말레이시아 한국대사관과 말레이시아 국립미술관이 공동주최했다. 이번 전시회는 한국과 말레이시아 간 동방정책(Look East Policy) 40주년을 기념하여 말레이시아 국립미술관측의 제안으로 시작되었다. ‘한류(Hallyu : Korean Wave)’를 주제로 두 나라 작가들이 제작한 프레스코화, 미디어아트, 설치 미술 등 총 10개 테마의 작품들이 4개월간(5.1-9.16) 전시된다. 참여작가는 한국에서는 진영선 고려대 명예교수, DaViz(오은석, 박규동 광운대 교수), 부경희 광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