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거주 외국인 인력의 11.3%가 베트남인이었다. 중국 국적의 한국인이 35.3%가 1위를 차지했다. 24일 통계청의 ‘이민자 체류 실태 및 고용조사 결과’를 보면 올해 5월 기준 국내 상주하는 외국인은 143만 명이고 이 중 취업자는 92만 3000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에서 일하는 외국인취업자 수는 전년 대비 10%(8만명) 증가했다. 이들 수치는 역대 최대다. 코로나19 이후 엔데믹 상황에서 단순 근로직에 종사하는 비전문취업(E-9) 비자 획득 외국인(5만9000명) 및 유학생(5000명)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영향이다. 국적별로는 한국계 중국인(32만 6000명)이 35.3%로 가장 많았다. 베트남인(10만4000명, 11.3%) 중국인(4만6000명, 4.9%) 순으로 많았다. 베트남은 전년 대비 1만6000명이 증가하고, 한국계 중국은 5000명이 감소했다. 귀화허가자 중 귀화 전 국적별 취업자는 베트남 1만 4000명, 한국계 중국은 1만 2000명이다. 산업별로는 광-제조업(44.6%), 도소매-숙박-음식(18.4%), 사업·개인-공공서비스(15.5%) 순이었다. 이들의 근무지는 경기(34만4000명), 서울(14만5000명), 충청
‘현대 베트남의 국부’인 호치민 주석릉에 2023년에 220만명이 방문했다. 한베타임즈는 28일자에 주석 묘소 관리위원회 발표를 인용 “올해 호치민 주석을 추모하고 하노이에 있는 다총(Đá Chồng - K9) 역사 유적지를 둘러보러 온 베트남인과 외국인은 220만 명 이상이었다”고 전했다. 이사회가 개최한 연말 회의에서 발표된 자료는 “호치민 주석과 전사한 영웅들을 추모하기 위해 올해 13명의 국가 원수를 포함한 109명의 고위급 대표단이 찾았다”고 발표했다. 베트남 국민들로부터 ‘호할아버지’로 불린 호치민 주석은 1969년 9월 2일에 서거했다. 향년 79세. 그는 사망 전 유언으로 화장 후 재를 3등분하여 베트남의 북·중·남부에 한 줌씩 뿌려 줄 것을 요구했다. 베트남 정부는 호치민의 유언을 단번에 무시하고 하노이 바딘(Ba Dinh) 광장 앞에 대규모 주석릉을 지었다. 그리고 호치민의 시신을 방부 처리한 뒤 화강암 묘소 안 유리관에 담아 안치해 참배객들이 볼 수 있도록 했다. 주석묘는 구조물의 높이는 21.6m, 폭은 41.2m이다. 영묘 옆에는 퍼레이드 관람을 위한 7개의 계단이 있는 2개의 플랫폼이 있다. 바딘 광장은 중요한 랜드마크가 되었고 베트
태국의 수도 방콕이 2278만 명의 외국인관광객으로 ‘세계 가장 방문한 도시’ 1위를 차지했다. 네이션 12월 28자는 마스터카드(Mastercard)의 보고서에 인용해 방콕 다음으로는 프랑스 수도 파리(1910만 명)와 영국 수도 런던(1909만 명)이 뒤를 이었다고 전했다. 방콕은 활기찬 거리 생활, 화려한 신사, 활기찬 음식 풍경 덕분에 1년 더 순위에서 1위를 유지했다. 보고서는 “방콕은 황금 사원과 신사의 컬렉션을 향하기 전에 거대한 쇼핑몰과 현대 공간의 평범한 도시의 안락함을 즐길 도시”라며 “매콤, 신맛, 단맛, 짠맛으로 가득 찬 방콕의 수많은 거리 시장에 코를 따라 이동한 다음, 보트를 타고 떠다니는 시장에 도착할 수 있다”고 요약했다. 태국의 경우 방콕에 이어 푸켓은 989만 명이 방문해 14위, 파타야는 944만 명이 방문해 15위를 차지했다.
호치민시가 2024년부터 인도 사용료로 ㎡당 최대 14달러(약 1만 8137원)를 부과하기로 했다. 인사이드비나에 따르면 즈엉 득 뚜언(Duong Duc Tuan) 하노이시 인민위원회 부위원장은 “내년 1월부터 하노이 관내 도로 및 인도 임대및 사용료를 부과하는 방안을 마련 중”이라고 밝혔다. 시는 시범사업 조건을 갖춘 후보 거리를 시인민위원회에 제출한 상태다. 호안끼엠군(Hoan Kiem)의 경우 ▲딘띠엔호앙길(Dinh Tien Hoang) ▲항카이길(Hang Khai) ▲항바이길(Hang Bai) ▲응웬시길(Nguyen Xi) ▲레타이또길(Le Thay To) 등 보행자거리를 포함해 10개 도로, 36개 지역을 후보지로 정했다. 후보지역의 건물 소유주는 시범사업기간 건물 정면으로부터 2m까지 면적을 임대해 상행위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베트남에서 도로 및 인도를 주차-사업상 목적으로 사용하는 개인 및 기관에 사용료 부과는 호치민시 이어 두 번째다. 이미 호치민시는 내년 1월1일부터 관내 도로-인도를 주차-사업상 목적으로 사용하는 개인 및 기관에게 구역별-용도별-노선별 조건에 따라 ㎡당 월 2만~35만동(0.8~14달러)의 임시사용료를 부과하기로 했다.
폰푼, 위파위, 타나차, 메가, 필립스, 톨레나다... 올 시즌 ‘아시아 쿼터’로 프로배구 V리그 여자부 경기에 뛰고 있는 동남아 선수들의 이름이다. 이들은 국내 선수, 비아시아 외국인 선수들을 압도하는 기량을 뽐내며 여자배구판을 뒤흔들고 있다. 폰푼(IBK기업은행), 위파위(현대건설), 타나차(한국도로공사)은 태국 출신이고, 메가(정관장)은 인도네시아, 필립스(페퍼저축은행), 톨레나다(GS칼텍스)는 필리핀 출신이다. 대한배구연맹(KOVO) V리그는 시즌 개막을 앞두고 사상 첫 아시아쿼터 도입을 통해 일본, 대만, 몽골, 태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총 6개국 선수들에게 문을 열었다. 남녀부 각 팀은 1명씩 아시아 국적의 외국인 선수들을 추가 영입했다. 다양한 포지션을 맡은 아시아 선수들은 판을 뒤흔들 정도로 큰 인기를 끌었다. 특히 태국의 ‘아시아세터’ 폰푼, ‘히잡’을 쓴 메가는 팬과 인기를 다 잡았다. 이 두 선수는 아시아쿼터 선수로 처음 발길을 내딛게 된 2023∼2024 V-리그 올스타전 선수로 뽑히기도 했다. ■ 태국 출신 ‘폰푼’, 감독-동료 한 목소리 “7개 구단중 최고의 세터” 극찬 IBK기업은행은 전체 1순위로 태국 국가대표 세터 폰푼 게드파
“메콩 문제, 태국 국경 안만 보면 이해 못한다.” 서강대 동아연구소가 ‘태국의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진행하는 ‘월간태국’ 세 번째로 12월 22일 김소연 교수(동아연구소)가 ‘태국 현지에서 바라본 메콩지역의 지정학적 갈등’을 강연을 가졌다. 김 교수는 “5년 만에 현지조사를 가졌다. 치앙마이 도박성 새우낚시, 유사깊은 방콕의 영국대사관의 매각 이전, 유명 서점의 중국어 섹션, 루앙프랑방의 넘치는 토지매매 광고, 차이나-라오스 철길 등을 보면서 우선 중국 등의 지정학적 영향력을 실감했다”고 말했다. 인터뷰를 통해 “태국 연구는 더 이상 태국 국경 내만 봐서는 태국에서 일어나는 제반 현상을 이해할 수 없게 되었다”고 강조한 그는 “이제 중국의 역할을 이해하지 않고는 태국 연구를 이제 수행할 수 없다. 중국의 역할뿐 아니라 새롭게 변화하고 있는 미국의 역할 내지는 일본의 역할, 유럽 연합의 역할 그리고 지금 우리가 전혀 알 수 없는 영국에 대해서도 생각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 “모두 중국 댐 때문” 지정학적인 것과 가뭄-물 부족 등 수자원 문제 결합 프라윳 전 총리의 ‘태국 4.0 국가 프로젝트’의 바이오-순환-녹색 경제는 전 국왕이 주창한 것으로 2021
“한국동남아학회(KASEAS)와 한국태국학회(KATS)가 새롭게 협력을 시작한다.” 전제성 한국동남학회 회장(전북대 정치외교학과)이 올해 12월 21일 한국외국어대(HUFS)를 찾았다. 한국태국학회와 한국외대 동남아연구소를 책임지고 있는 신근혜 학장을 만나기 위해서였다. 전 회장은 “20년만에 한국외국어대를 찾았다. 신근혜 학장이 따뜻해 맞아주었다. 그 자리에서 한국동남아학회와 한국태국학회의 협력, 전북대와 한국외대의 동남아연구소 교류 방안에 관해 논의했다”고 전했다. 이 자리에서는 서로 소식 공유, 학술회의 공동개최, 외교정책 리뷰, 지역연구지원정책 제안, 한-아세안학술교류사업, 학문후속세대 육성 등 함께 할 수 있는 일이 다양하게 논의되었다. 전 교수는 “아시아언어문화대학장실에서 인근 식당과 카페로 옮겨가며 지난 사연들도 나누고 서로 바라는 바도 이야기했다. 그리고 과거를 딛고 미래를 향해 함께 나아가기로 다짐했다”고 전했다. 이어 “전국의 대학에서 동남아연구소라는 이름의 연구소가 있는 곳은 한국외대와 전북대(JISEAS) 뿐이라서 동질감을 확인하는 자리이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눈여겨볼 것은 “한국동남아학회-한국베트남학회-한국태국학회 삼각협력의 새시대가
글로벌 톱 걸그룹 ‘블랙핑크’ 태국 출신 리사(Lisa)가 셰프 제이 파이(Jay Fai)의 미슐랭 7연속 별 획득을 축하했다. 태국 현지미디어 ‘더 네이션’ 12월 17일자에 따르면 “리사로 더 잘 알려진 태국 래퍼, 가수, 댄서인 랄리사 마노발이 제이 파이를 만났다”고 전했다. 방콕 프라투 피 지역에 위치한 제이 파이의 레스토랑은 미슐랭 스타를 받은 길거리 음식점이다. 네이션은 “태국의 소프트 파워의 영향력 있는 두 인물인 리사와 제이 파이의 만남은 제이 파이의 유명한 길거리 음식점에서 이루어졌다. 리사의 어머니, 팀원들, 한국 라면회사 농심 임원들과 함께 축하 행사에 참여했다”고 덧붙였다. 리사의 참석은 단순히 축하의 표시일 뿐만 아니라 레스토랑의 대표적인 요리를 맛볼 수 있는 기회이기도 했다. 제이 파이는 감사의 마음으로 리사에게 제임스 본드 스타일의 가방을 연상시키는 세련된 박스 세트를 선물했다. 그 상자에는 ‘톰 얌’과 ‘톰 얌 드라이’와 같은 새로운 맛을 태국 시장에 소개하기 위해 인기 있는 한국 브랜드 신라면과 협력한 제이 파이의 인스턴트 라면 특별판이 들어 있었다. 이 식당에서 포착된 다른 인물도 관심이 쏠렸다. 바로 이재용 삼성그룹 회장의
“조코위가 꿈꾸는 인도네시아는 뭔가?” 부산외국어대학교(총장 장순흥)는 조코 위도도(Joko Widodo) 인도네시아 현 대통령의 국정 철학을 소개하는 방대한 출판물인 ‘조코위가 꿈꾸는 인도네시아’를 지난 9월 8일 출간한 바 있다. 부산외국어대학교는 후속 행사로서 12월 14일 부산외국어대학교 금샘소극장에서 70여명의 한국 및 인도네시아 주요 인사들을 초빙해 ‘조코위가 꿈꾸는 인도네시아’ 북콘서트를 개최했다. 본 행사에는 장순흥 부산외국어대학교 총장, 간디 술리스티얀토(Gandi Sulistiyanto) 전 주한 인도네시아대사, 조태영 전 주인도네시아 대사, 젤다 울란 카르티카(Zelda Wulan Kartika) 부대사, 고곳 수하르워토(Gogot Suharwoto) 교육관, 전제성 한국동남아학회장이 참석했다. 또한 박정훈 부산대학교 교수, 김예겸 부산외국어대학교 인도네시아협력원장 등이 참석해 조코 위도도 대통령에 관한 열띤 토론의 시간을 가졌다. 간디 술리스티얀토 전 주한 인도네시아대사는 “일상적으로 인도네시아 국민들은 조코 위도도 대통령을 친근하게 조코위(Jokowi)라고도 부른다. 조코위는 인도네시아 역사상 최초의 직선제 민간 대통령이라는 상징적인
미얀마 북부에서 교전 중인 군정과 반군이 임시 휴전을 합의했다. 미얀마 현지 미디어 애드쇼파르는 “중국 외무부가 14일 마오닝 대변인 정례 브리핑을 통해 미얀나 산주 북부에서 시작된 교전이 평화회담 중재 시도를 해 긍정적인 결과가 나왔다”고 전했다. 중국의 중재를 강조한 발표는 “미얀마민족민주주의동맹군(MNDAA), 타앙민족해방군(TNLA), 아라칸군(AA) 등과 평화 회담을 하고 임시 휴전, 대화 모멘텀 유지 등 다양한 합의에 도달했다”는 것이다. 지난 10월 미얀마 북부 샨주에서 활동해 온 3개 반군이 이른바 ‘삼형제동맹’을 결성해 정부군을 기습 공격하고 무기와 탄약을 탈취하고 있다. 고위 지휘관을 비롯해 상당수의 정부군이 사망했고, 핵심 시설이 반군의 손에 넘어간 것으로 전해졌다. 이 공격은 벌인 날짜를 따서 ‘1027 작전’으로 명명됐다. 이후 다른 지역 소수민족 무장단체들과 민주 진영 임시정부 격인 국민통합정부(NUG) 산하 시민방위군(PDF)이 가세해 미얀마군을 상대로 공격에 나섰다. 동시다발적인 공세로 수세에 몰린 군정은 중국에 중재를 요청했다. 또 반군은 중국으로 향하는 육로 무역로를 차단했다. 접경지역의 안보 상태가 악화하자 중국 정부는 적극
‘바람의 손자’ 이정후(25, 키움 히어로즈)가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와 6년 1억1300만 달러(약 1484억 원) 계약을 맺었다. 이는 KBO리그 선수의 메이저리그 계약 신기록을 경신하며 미국 현지도 놀라게 한 ‘슈퍼계약’이었다. 이정후는 한국 선수의 빅리그 포스팅(비공개 경쟁입찰) 역사를 새로 썼다. 연 평균 연봉은 1883만 달러(약 247억 원)로 기존 선수와 비교불가였다. 메이저리그 진출한 한국의 대표적인 스타인 류현진(36, 전 토론토 블루제이스)이 2013년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와 6년간 3600만 달러(연평균 약 77억 5800만 원, 연평균 600만 달러)를 슈퍼계약을 맺었다. 또한 ‘이정후 절친’인 김하성(28,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의 2021년 4년 2800만 달러(연평균 약 91억원, 연평균 700만 달러)에 비해 약 3배까지 껑충 뛴 것이다. 연평균 보장액은 김하성이 류현진보다 높다. 미국매체 CBS스포츠는 14일 “샌프란시스코와 이정후가 계약을 맺으며 큰 반향을 일으켰다. 이 계약은 이정후가 만 30세 생일 전에 FA로 나갈 수 있는 옵트아웃(구단과 선수 합의로 계약 파기) 조항을 포함하고 있다”라며 이정후의 계약을 조명했다. '바람의
인도네시아 정부가 해외에서 수입해오는 전기자동차(EV)에도 조건부 세제 혜택을 주기로 했다. 인도네시아에 서둘러 완성차 생산 공장을 짓는 등 현지 시장에서 공을 들인 현대차는 상대적으로 맥이 빠지는 상황에 처했다. 13일(현지시간) 안타라 통신 등 현지 미디어에 따르면 인도네시아는 전기차 공장에 투자한 기업, 전기차 투자를 늘릴 계획이거나 투자할 계획이 있는 기업은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내용의 규정을 발표했다. 대통령령을 개정해 2025년까지 인도네시아에 전기차 공장을 투자하기로 약속하면 해당 회사가 해외에서 생산한 전기차를 인도네시아로 들여올 때 관세와 사치세를 면제해준다. 지방세도 감면해주기로 했다. 또 인도네시아에서 생산되는 전기차의 사치세 감면 조건 강화도 3년 이후로 연기하기로 했다. 기존 시행령에서는 올해까지 인도네시아 현지화율이 40% 이상인 전기차에 사치세를 감면해 주고, 내년부터는 현지화율이 60% 이상인 경우에만 혜택을 주기로 돼 있었다. 하지만 시행령이 변경되면서 2026년까지 현행 40%를 유지하고, 2027년부터 60%로 감면 비율을 높이기로 했다. 이전 규정에서는 판매 국가에서 부품으로 배송되고 조립되는 중고 차량 수입에만 이러한 인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