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와 중국간의 자유무역협정(FTA)이 2020년 11월에 체결될 것으로 예상된다. 프놈펜 포스트(Phnom Penh Post)는 중국과 캄보디아의 무역 증진을 위한 자유무역협정이 11월에 체결될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양자회담(2019년 1월 20~23일)에 참석한 캄보디아 훈 센(Hun Sen) 총리와 중국 리커창(Li Keqiang) 총리는 2023년까지 양 국의 무역규모를 100억 달러(한화 약 11조 9300억 원)로 끌어올리기 위한 타당성 조사를 진행할 것을 합의했다. 베트남 플러스(Vietnamplus)에 따르면, 첫 번째 협상은 캄보디아 상무부 속 소페악(Sok Sopheak) 차관과 중국 상무부 렌 홍빈(Ren Hongbin) 차관보가 담당했다. 협상을 11월 전까지 모든 조정이 맞춰지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훈센 총리는 “FTA가 발효되기 전에 대중국 수출 촉진을 위해 캄보디아 기업들의 생산능력을 제품군을 늘려달라”고 격려했다. 캄보디아의 의류 제조업 협회 카잉 모니카(Kaing Monika) 사무차장은 "캄보디아는 FTA를 체결하는 중요한 시기에 있다. 향후 5~6년 내에 유엔의 최빈국 지위를 벗어날 것으로 예상되므로 캄
영남대학교의 '새마을학'이 캄보디아에 수출한다. 웨스턴대학교 프놈펜 캠퍼스와 캄퐁창 캠퍼스는 새마을 경제개발학과를 신설하고, 웨스턴 대학교-영남대학교의 복수학위 교육과정을 만든다. 서길수 영남대학교 총장은 지난 1월 캄보디아 웨턴 대학교를 방문해 새마을학 복수학위제 시행을 위한 합의각서를 체결했다. 웨스턴 대학은 캄보디아 전체 대학 순위 7위를 기록한 사립대학이다. 전체 재학생 5000여 명 규모로 호주, 미국, 태국, 싱가포르의 대학 등과 항공물류학 복수학위제 등을 시행 중이다. 합의 각서에 따라 웨스턴 대학은 상반기 중으로 웨스턴 대학에 새마을 경제개발학과를 신설한다. 프놈펜 캠퍼스에 40명의 신입생을, 캄퐁참 캠퍼스에 30명의 신입생을 선발한다. 2년간의 교육 과정 이후 영남대 새마을 국제개발학과로 편입해 한국에서 2년간 새마을학을 공부하게 된다. 졸업생들은 웨스턴 대학과 영남대학교에서 복수의 새마을학 학위를 수여받게 된다. 영남대학교는 2018년에 웨스턴대학과 국제학술교류협정을 맺을 당시 새마을학의 수출을 요청받았다. 2019년 4월에는 캄보디아 총리실 경제부총리 임 치헤이 리(Dr. YIM Chhay Ly)로부터도 새마을학 수출 요청을 받았다. 영남
"한-캄보디아 자연휴양림 모델 개발로 산림-관광 융합한 에코투어리즘 활성화하자." 산림청(청장 박종호)은 25일(현지 시각) 캄보디아 시엠립 주에 있는 아시아산림협력기구(AFoCO) 사업지와 한-메콩 산림협력센터 사업지를 방문했다. AFoCO와 캄보디아 협력 사업의 골자는 2016년부터 2025년까지 추진하고 있는 산림 유전자원 분야 육성 사업으로 산림복원을 위한 주요 수종의 차대검정림과 채종원을 조성, 관리하고, 기술연수 등 인적교류 추진으로 관련 분야를 육성하는 것이다. 차대검정림은 우량목으로 선발된 개체의 유전적 특성을 판정하기 위하여 각 개체의 종자로 양성한 실생묘군(實生苗群)으로 조성한 시험림이다. 채종원이란 처음부터 종자의 생산만을 목적으로 조성하는 채종용(採種用)의 수목원을 말한다. 또한, 한-캄보디아 자연휴양림 모델 개발은 한-메콩 산림협력 센터와 함께 2021년 추진 예정으로 산림과 관광을 융합한 에코투어리즘 활성화를 도모하고 지역주민의 소득 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메콩 산림협력 센터(KMFCC : Korea-Mekong Fores Cooperation Center)는 메콩강 유역 국가(CLMV : 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베
JB금융그룹의 손자회사인 프놈펜상업은행(PPCBank)이 캄보디아 진출 한국계 은행 중 가장 높은 당기순이익 207억원을 달성,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JB금융지주에 프놈펜상업은행의 2019년 당기순이익은 전년동기(147억 원) 대비 40.5% 증가한 207억 원으로 출범 이후 역대 최고의 성과를 달성했다. 최근 3년 사이 현지 상업은행 수가 10여개 가까이 증가하며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유일하게 순이익 200억 원을 돌파, 한국계 진출 은행 중 업계 1위 자리를 지켰다. 이와 함께, 2019년 총자산은 전년 대비 21.8% 증가한 1조722억원을 기록, 한국계 은행 최초로 자산 1조를 돌파하였다. 총대출은 6040억원에서 7493억원으로, 총수신은 7045억원에서 8105억 원으로 각각 24.1%, 15%씩 늘었다. 수익성도 꾸준히 증가하여 지난해 이자이익은 406억원으로 전년대비 31.4% 증가했다. JB금융 그룹은 프놈펜상업은행이 캄보디아에서 주목할 만한 성과를 내고 있는 원동력은 철저한 현지화 전략 및 최적화된 디지털 금융 서비스 제공에 있다고 밝혔다. 프놈펜상업은행은 다른 한국계 은행과 달리 운영자금 전액을 현지에서 조달하고 있다. 한국에서
유럽연합(EU)이 캄보디아에 제공해주던 EBA의 관세 특혜 중 40개 품목에 대해 중단하기로 12일 결정했다. 올해 8월12일부터 발효된다. 캄보디아 인권 노동 개선 촉구가 담긴 이 조치로 캄보디아 전체 수출액의 3분의 1이 EU 시장인 만큼 이는 캄보디아 경제에 큰 타격이 될 것으로 보인다. EC는 성명을 통해 "신흥산업 분야를 포함한 고부가가치의 의류 및 신발 제품들에 대한 무관세는 유지되는 반면, 일부 의류 및 신발, 여행용품과 사탕수수 등의 제품 수출에 1.70%~12%의 관세가 부과된다"고 발표했다. 이는 캄보디아산 제품의 연간 EU수출액 중 약 20% 또는 11억 달러(약 1조 3024억 원) 정도의 규모다. EC는 "캄보디아 정부의 노동과 토지부문에 대한 권리신장 노력은 인정하나, 조직적이고 심각한 인권 및 정치권 침해, 표현의 자유 및 집회의 자유에 대한 침해가 이번 결정의 이유"이라며 "캄보디아 정부의 문제 해결노력 여하에 따라 동 제재의 원상회복 가능성에 대해 검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캄보디아는 2014년 미국을 제치고 유럽을 최대 수출 시장으로 만들었다. 2016년 유럽연합은 캄보디아 전체 교역의 17.3%를 차지해 중국의 23.8%를
캄보디아 중앙은행(NBC)에 의하면, 2019년 캄보디아 건축자재 수입액이 전년 대비 50% 이상 증가한 15억 달러(한화 약 1조 8000억원)를 기록했다. 캄보디아 건설장비 수입액은 2018년 6억 달러에서 2019년에는 10억 달러, 철강 수입액은 2018년 3억 달러에서 2019년 5억 달러, 시멘트 수입액은 9천만 달러에서 1억 달러로 증가했다. 캄보디아 중앙은행은 건설자재 수입이 증가한 것에 대해서는 캄보디아 건설업 호황과 중국발 건설 투자 급증을 이유라고 분석했다. 2019년 캄보디아 건설업 성장률은 7.1%를 기록했고, 캄보디아 국토도시건설부(MLMUPC)는 2019년 캄보디아의 건설 프로젝트 4,446건으로 전년 대비 55%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건설 부문 투자액도 전년 대비 78% 증가한 93억 달러를 기록했다. 특히 중국 건설업체들은 캄보디아 시아누크빌(Sihanoukville) 지방에 공격적인 투자를 감행 중이다. 캄보디아 중앙은행 측은 2020년에는 캄보디아 건설업이 7%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기대 중이며, 건설자재 수입액도 약 24억 달러(한화 약 2조 85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사단법인 한아세안포럼 박상원 이사장이 5일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IAED 국제심포지엄에서 캄보디아 경제 발전 방안 관련 주제로 발표를 했다. 박 이사장이 발표한 주제는 ‘한국경제 발전 모델을 통한 캄보디아 경제 발전 방안(How to Develop Cambodia's Economy through Korean Economic Devel-opment Model)’이었다. 동남아를 비롯한 개발도상국들의 염원인 ‘경제 발전 Know –how’에 대한 인사이트한 발표에 청중들도 귀를 기울였다. 이날 패널리스트로는 세계적인 투자자인 짐 로저스, 톰 데빗트 워싱턴타임스 회장, 보이라 전 오바마 대통령 경제특보, 파하민 라잡 아사아 에어 창업자-하버드대-컬럼비아 석좌 교수, 전 자유한국당 비대위원장이자 노무현 정부 정책실장을 역임한 김병준 명예교수들이 발표를 했다. 심포지엄에 발표한 내용들은 워싱턴타임스사가 전부 녹화하고 내용을 정리해서 편집해서 한 권의 책으로 발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순천향대학교 중앙의료원과 굿네이버스 인터내셔널은 지난 1월 28일 순천향대학교부속서울병원 청원홀에서 ‘캄보디아 동북부 소외지역 모자보건 사업 착수회’를 개최했다. 한국국제협력단(KOICA) 사업으로 진행하는 이번 사업은 캄보디아 동북부 산악 지대의 의료소외지역인 ‘라타나끼리’와 ‘몬돌끼리’의 모자보건증진이 목표다. 주관사인 굿네이버스와 순천향대학교중앙의료원은 각 기관의 전문성을 살려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주요 내용은 두 지역 의료진을 대상으로 모성 교육, 신생아 관리 교육, BEmONC(기본 응급 산과 진료), CEmONC(종합 응급 산과 진료), 가족계획 교육, 마취간호사 교육, 조산사 교육, 감염관리 교육 등을 진행하며, 보건소 신축‧증축 시공 및 의료기자재 공급 자문, 현지 보건 프로그램 개발, 주민인식 개선 활동 수행 등이 포함된다. 서유성 순천향중앙의료원장은 “우리 순천향은 인간사랑 정신과 의료의 혁신으로 사회적 책임과 가치를 실현한다는 미션을 가지고 있다. 이번 사업을 통해 굿네이버스와 함께 ‘인간사랑’의 정신을 세계 곳곳에 펼치고자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