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군부가 다시 한번 중국의 세계전략인 ‘일대일로(一帶一路, 육상·해상 실크로드)’에 대해서 적극적이고 견고한 지지의사를 밝혔다. 아웅산 수찌의 NLD 행정부 역시도 중국과의 관계를 중시하기는 하지만 미국을 비롯한 서방세계와의 관계를 고려해 줄타기 외교를 하는 것과는 뚜렷한 차별성을 보이는 행보로 평가할 만하다. 7월 16일 미얀마 주재 중국대사관은 이날 미얀마의 행정수도 넷피도에서 열린 천하이(陳海) 중국대사와 민아웅흘라잉 총사령관과의 회담 사진을 공개하고 회담 내용을 일부 공개했다. 미얀마 군부는 중국의 야심찬 인프라 건설계획인 '일대일로'와 더불어 그 세부계획 중의 하나인 '중국-미얀마 경제회랑계획(CMEC)'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협력할 뜻임을 내비쳤다. 중국-미얀마 경제회랑계획은 2018년 두 나라 간에 체결된 협약이다. 중국의 윈난성에서 시작해 미얀마 북부의 최대도시 만달레이와 경제중심인 양곤을 거쳐 벵갈만의 짜욱퓨 특별경제지구(SEZ)에 이르는 1700km 구간의 송유관 및 도로 항만 등 인프라 건설계획을 뜻한다. 중국은 인도양 진출을 위해서 미얀마에 오랜 기간 공을 들이고 일대일로 참여를 독려해 왔다. 특히 올해 1월에는 시진핑 중국국가주석
한국의 성공사례를 벤치마킹하여 2016년부터 미얀마에서 추진되어 온 새마을금고의 우수사례가 미얀마 국영방송에 소개되어 시선을 끌고 있다. 새마을금고중앙회(회장 박차훈)는 지난 6일 미얀마 정부(정보통신부)가 운영하는 국영방송인 MRTV(Myanmar Radio and Television)에 미얀마의 ‘술레곤새마을금고 소득증대사업 우수사례’가 방송되었다고 밝혔다. 해당 방송에서는 미얀마 사가잉주에 위치한 술레곤마을 부녀회가 새마을금고에서 사업자금을 대출 받아 전통 수공예 자수사업으로 소득을 창출, 코로나19 위기를 극복해 나가는 모습이 소개됐다. 특히, 창출된 수익 중 50%를 다시 술레곤새마을금고에 출자금 형태로 납입함으로써 지속가능발전을 목표로 하는 새마을금고 금융포용모델이 미얀마에서도 그대로 실현되고 있는 모습이 눈길을 끌었다. 미얀마에는 지난해까지 3차에 걸친 ‘미얀마 새마을금고 현지연수’를 통해 미얀마 농촌마을 주민이 자발적으로 설립한 술레곤새마을금고를 비롯해 현재 총 31개 새마을금고가 설립, 약 3800명의 금융소외지역 주민들에게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새마을금고를 통해 형성된 금융수익을 활용해 마을주민들에게 마스크나 손소독제 배부와
미얀마에서 발생한 옥(玉) 광산 붕괴사고의 사망자가 최소 170명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미얀마타임즈 등 외신에 따르면 2일(현지시간) 미얀마 북부 카친주 흐파칸트의 한 옥 광산에서 산사태가 발생했다. 4일 외신에 따르면 북부 카친주의 흐파칸트 지역 옥 광산에서 폭우로 토사가 흘러내리면서 발생한 사고로 숨진 이는 최소 172명으로 늘어났다. 사망자 숫자는 흘러내린 토사에 묻혀있던 사체가 발견되면서 늘어나고 있다. 실종자를 포함해 사망자는 총 300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 사고는 미얀마 사상 최악의 참사 중 하나로 기록될 전망이다. 생존자들에 따르면 산사태는 폭우 직후에 일어났다. 약 30미터의 폐기물 토양이 물이 이전 구덩이를 채우는 호수 아래로 쓰러졌다. 현재 미얀마는 장마철로 많은 비로 진흙더미가 폐석을 덮친 것으로 보인다. 2015년 11월에도 이 지역에서 폐석 더미가 무너져 최소 116명이 숨졌다. 흐파칸트는 미얀마에서 가장 큰 도시인 양곤에서 북쪽으로 950km 떨어져 있다. 세계에서 가장 크고 가장 유리한 비취 광산 산업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한편 미얀마 정부 실권자인 아웅산 수치 국가고문은 전날 페이스북 라이브 방송을 통해 피해자들에 대해
포스코건설이 추진중인 `미얀마 에코그린시티 상하수도시설 설치 사업`이 우리 정부의 해외 환경프로젝트 지원사업으로 선정됐다. 최근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포스코건설을 `제1차 해외 환경프로젝트 본 타당성 조사 지원사업`에 사업자로 선정하고 조사에 필요한 6억5천만원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해외 환경프로젝트 본 타당성 조사 지원사업`은 환경부 산하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이 환경관련 기술을 보유한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해외 수주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사업 타당성 조사 비용을 전액 지원하는 사업이다. 포스코건설이 추진중인 미얀마 에코그린시티 상하수도시설 설치 사업은 20만 인구가 하루에 사용 가능한 4만톤의 정수장 1 개소와 하수처리장 2 개소를 설치하는 사업으로 총 사업비는 8,590만불이다. 포스코건설은 수요처 요구에 맞게 빗물이나 해수 등 다양한 수원을 활용할 수 있는 `스마트워터그리드(Smart Water Grid)기술`과 수자원 확보, 열섬현상 완화, 대기질 개선 등 빗물을 다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물 순환 개선형 빗물관리시스템(PID, Positive Impact Development)` 등의 기술을 높이 평가 받아 올해 첫 수혜자가 됐다. 포스코건설은 이
"또 옥광산 산사태 붕괴냐?” 2015년 116명의 목숨을 앗아간 데자뷰인가? 미얀마에서 옥(玉) 광산 붕괴가 발생해 최소한 113명이 사망했다. 미얀만타임즈 등 외신에 따르면 2일(현지시간) 미얀마 북부 카친주 흐파칸트의 한 옥 광산에서 산사태가 발생해 113명이 숨지고 54명이 다쳐 병원으로 옮겨졌다고 밝혔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시 당국이 지금까지 발견한 시신만 99구로, 실종자는 200여명에 달한다. 생존자들에 따르면 산사태는 폭우 직후에 일어났다. 현재 미얀마는 장마철로 많은 비로 진흙더미가 폐석을 덮친 것으로 보인다. 사망자들은 주로 프리랜서로 일하는 광부들이다. 이들은 옥 조각을 찾아 광산 인근에 쌓여 있는 폐석을 뒤지다 폐석 더미가 무너져 내려 목숨을 잃은 것으로 전해졌다. 2015년 11월에도 이 지역에서 폐석 더미가 무너져 최소 116명이 숨졌다. 흐파칸트는 미얀마에서 가장 큰 도시인 양곤에서 북쪽으로 950km 떨어져 있다. 세계에서 가장 크고 가장 유리한 비취 광산 산업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미얀마 대통령실 대변인 자이 헤이(Mr. Zaw Htay)는 가짜 뉴스를 배포한 미얀마 언론사 포워드미디어그룹(Forward Media Group, FMG)에 대해 법적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미얀마 현지 미디어 애드쇼파르에 따르면 “FMG가 자사가 발행하는 ‘뉴스아울렛(News Outlet)’을 통해 ‘자이 헤이가 미얀마 국가고문실에서 맡고 있는 직책에서 물러나게 되었다’는 가짜 뉴스를 보도했다”는 것. 이 같은 경고에 FMG는 페이스북 게시 기사를 삭제했지만, 미얀마 언론사 ‘미얀마 나우(Myanmar Now)’을 통해 아웅산 수치 국가고문과 집권여당 NLD(민주주의 민족동맹)에 대한 가짜뉴스 60여 개를 보도했다고 밝혔다. 또한 뉴스아울렛은 2020년 6월 23일자 기사에서 모니와 아웅 신(Mr. Monywa Aung Shin) NLD당 공보 위원회 사무장은 “자이 헤이가 NLD당 일부 당원이 퇴직 후 정착을 위한 네피도에 부지를 특별 분양가로 구매를 한다고 기자회견을 발표했지만 그를 믿지 않는다”고 인용 보도를 하였다. 하지만 모니와 아웅 신은 본인의 페이스북 페이지를 통해 “해당 언론사와 인터뷰를 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 자이 헤이는 모니
코로나19는 미얀마 경제를 뒤흔들었다. 특히 한인사회도 코로나19 사태를 막을 수 없었다. 미얀마의 경제 주축 중 하나가 봉제공장이다. 한인사회는 정부의 일방적인 휴업조치에 맞서 협의를 해 재가동했다. 미얀마-한국 정부는 달라 우정의 다리 사업과 한국 토지주택공사(LH)와 미얀마 건설부가 합작 사업을 진행 중이다. 아세안익스프레스는 봉제산업과 함께 미얀마 2대 프로젝트 등을 조망한다. 미얀마 특집은 미얀마 현지에서 미디어인 ‘애드 쇼파르’ 전창준 대표가 자문해주었다. <편집자주> ■ 코로나19가 덮친 미얀마 수출 전선, 가장 비중이 높은 ‘봉제업’ 직격탄 미얀마의 주력 산업은 봉제와 섬유산업이다. 제조업이 발달돼 있지 않아 제조업의 대부분은 봉제기업이다. 미얀마봉제협회(MGMA)에 따르면 봉제기업 수는 600개 이상이며, 45만 명을 고용하고 있다. 미얀마 경제의 주축인 봉제업은 미얀마 수출에서도 가장 많은 비중이다. 특히 미얀마한인봉제협회(KOGAM) 소속 한인 봉제공장들이 25%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봉제 제품 주요 수출국은 유럽, 일본, 한국, 중국 및 미국이다. 1990년대 대우와 세계물산이 미얀마에 진출한 이후 한국 관련 업체만
미얀마 정부는 외국인의 자국 여행제한조치를 당초 6월 30일에서 다음달 말(7월 31일)까지 연장한다고 29일 발표했다. 이는 지난 4월 초 COVID-19에 대한 선제적인 방역조처의 일환으로 시작된 이후 6번째로 연장된 조치다. 일부 완화된 내용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얀마 입국을 대기하는 외국인들의 불편은 당분간 지속될 것임을 의미한다. 현재 미얀마 국제공항을 통한 외국인들의 입국은 금지된 상황이다. UN 등 국제기구나 일부 정부허가 사업과 관련된 특별허가 외국인을 제외한 통상적인 비자 발행업무은 완전히 중단된 상태다. 이 조처는 당초 6월 말에는 끝났을 것으로 예상됐지만 사태가 진정되지 않자 7월 30일까지 또 한 번의 연장 조처가 이뤄진 것이다. 또한 해외에서 입국하는 미얀마 국민들 가운데서 확진자가 꾸준하게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의료인과 시설이 미비한 미얀마 정부로서는 경제적 부담에도 불구하고 어쩔 수 없이 여행제한조치를 연장해야할 수 밖에 없다는 시선도 존재한다. 미얀마타임즈의 보도에 따르면, 6월 말까지 지속된 미얀마 국내 제한조처 역시 특별한 상황변화가 없는한 당분간 계속된다. 1) 공공장소에서 마스크 착용 의무화 2) 양곤시 전역에서 밤 12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