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외국인 직접투자 1위국은 한국, 2위는 싱가포르” 베한타임즈 11월 24일자에 따르면 지난 35년 동안 베트남에 등록된 외국인 직접투자(FDI)는 크게 증가했다. 1988년 당시 불과 200만 달러(약 26억 1,200만 원)였던 베트남의 FDI는 현재 5240억 달러(약 684조 3440억 원)로 급증했다. 지난해 말을 기준으로 베트남에서 진행 중인 FDI 프로젝트는 3만 6000건이 넘는 것으로 집계됐다. 총 투자 금액은 4410억달러(약 575조 9460억 원)로 이 중 57%는 집행이 완료된 것으로 파악됐다. 35년이 지난 현재를 기준으로 한국, 싱가포르, 일본은 베트남 FDI에서 상위 3개 국가에 포함돼 있다. 미국은 베트남 FDI 규모에서 10위 권 안에도 진입하지 못하고 있다. ■ 1988년 첫 유치, 혼다 오토바이-인텔-포스코에 이어 삼성 최대 투자 1988년 베트남은 남부에 소재한 바리아(Ba Ria)-붕따우성(Vung Tau)에서 최초의 FDI 프로젝트를 유치하며 경제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이후 1991년부터 FDI 성장세는 급물살을 타기 시작했다. 대만의 신발 제조기업인 포우첸(PouChen), 펭타이(Feng Tay)를 비롯
지난해 약 5700만 명의 베트남인이 온라인 구매를 했다. 이는 베트남 인구의 절반 이상이다. 베트남 현지 미디어 VNEXPRESS 23일자에 따르면 라자다(Lazada) 베트남의 부대표인 당 아잉 중(Dang Anh Dung)은 지난 11월 21일 이커머스 포럼에서 구글과 테마스크 & 베인의 보고서를 인용했다. 그는 “지난해 약 5,700만 명의 베트남인이 온라인 구매를 했다. 이들 대부분은 하노이, 호치민, 다낭에서 온라인 구매를 했다. 베트남의 젊은 인구가 디지털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라자다는 “동남아시아의 아마존”으로 불리는 디지털 쇼핑 채널의 선두주자다. 그는 “라자다 쇼핑객의 약 43%가 1997년 이후 출생한 Z세대다. 이 세대는 매일 앱에 접속한다. 베트남의 젊은 인구층은 평균적으로 7가지 카테고리의 제품을 구매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젊은이들은 제품에 대해 더욱 까다로워지고 있다. 그들은 가치를 추구하며 품질이 낮은 제품을 받으면 브랜드를 바꿀 것”이라고 소비 성향을 짚었다. 베트남 전자상거래협회(VECOM)의 쩐 반 쫑(Tran Van Trong) 사무총장은 “쇼핑 기술 향상과 구매 가치 증가로 온라인 쇼핑
"카카오와 라인처럼 'B급감성'도 베트남 소비자 벽을 뚫지 못했다." 배민베트남이 오는 12월 8일자로 베트남시장 운영을 공식 중단한다. 테크인아시아(Tech in Asia)에 따르면 배달의민족 운영회사인 우아한형제들과 베트남 딜리버리히어로의 현지 합작법인인 음식배달앱 배민베트남(Baemin Vietnam)은 24일 자사 앱을 통해 현지시장에서 완전 철수하기로 발표했다. 배민베트남은 현지 음식배달시장이 가장 활발했던 시기인 2019년 5월 베트남 음식배달 플랫폼 비엣남엠엠(Vietnammm)을 인수하며 시장에 진출했다. 베트남에서 특유의 ‘B급감성’ 서체 마케팅을 통해 인지도를 단기에 끌어올리는 효과를 냈다. 길거리 음식 메뉴판에서 흔히 보이는 손글씨 이미지를 기반으로 서체를 만들었다. 하지만 100원, 200원 아끼는 재미로 앱을 이용하는 베트남 소비자를 상대로, 배민베트남은 ‘가장 싼 음식배달 서비스’라는 이미지를 심어주지 못했다. 치열한 경쟁에 따른 인한 수익성 악화를 극복하지 못한 것이 요인이다. 시장조사업체 모멘텀웍스(Momentum Works)에 따르면 지난해 배민베트남의 시장점유율 12%로 경쟁사인 그랩(45%), 쇼피푸드(41%)에 크게 뒤쳐져
KF(Korea Foundation, 한국국제교류재단, 이사장 김기환)가 운영하는 KF아세안문화원(부산 해운대구 소재)은 11월 23일 산림청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 협약은 2014년 12월에 개최된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후속 성과사업으로 외교부가 건립한 KF아세안문화원의 아세안 맞춤 교육 프로그램의 전국적 확대와 산림청 ‘국립아세안자연휴양림’과 연계한 한국 국민 대상 아세안에 대한 이해 제고 프로그램 활성화에 목적을 두고 있다. 주요 협약 내용은 ▲ 아세안 관련 맞춤형 문화 및 교육‧체험 프로그램 운영 ▲ 교육 등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시설 사용 협조 ▲ 기관 사업 및 운영 프로그램 홍보 등에 대한 상호협력 등으로, 동 협약은 KF아세안문화원 이인혁 원장과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 김명종 소장이 서명했다. 이인혁 KF아세안문화원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KF아세안문화원은 산림청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에서 운영하는 ‘국립아세안자연휴양림’(경기도 양주 소재)과의 협력 사업을 통해 더 많은 우리 국민들께 아세안 문화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고 국내 거주하는 아세안 국가 출신분들과도 함께 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나아가 KF아세안문화원 프로그램
필리핀은 한국에게 매우 고마운 나라다. 아세안(ASEAN, 동남아연합) 10개국 가운데 한국과 가장 먼저 수교한 나라다. 한국전쟁 시에는 라모스 전 대통령을 비롯한 젊은 병사 7420명이 참전해 고귀한 희생을 바쳤다. 한국은 아세안 내 필리핀의 4번째 교역 상대국이다. 한국 교민만 8만 5000명이다. 코로나19 이전 연 약 200만 명의 한국인이 필리핀을 방문해 외국인 관광객 수 중 1위에 올랐다. 모모랜드, 엑소, 방탄소년단, 블랙핑크, 뉴진스 등 55개의 K-POP 팬클럽에는 한류팬만 40만 명이다. 올해는 한-필리핀 FTA 서명, 2024년은 수교 75주년을 맞는다. 앞으로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하게 되면 또 한번 가까워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 10월 19일 필리핀의 하스 아보카도는 한국에 진출한 출시 행사를 했다. 첫 컨테이너에 선적한 이 과일은 공개되자마자 ‘완판’했다. 이전까지 한국에 수입되는 아보카도의 대부분은 미국-멕시코-칠레 등 아메리카 지역산이었다. 지리적으로 더 가까워 신선하고 맛이 났다. 아세안익스프레스는 이처럼 더 가까워지고 있는 한국-필리핀 관계를 조명하기 위해 마리아 테레사 디존-데 베가(H.E. Theresa Dizon-
“메타버스에서 해외 원조 현장 방문해요” 한국국제협력단(KOICA·코이카)은 11월 17일 한국의 ODA 사업 현장을 알리고 국민과 소통하기 위한 가상의 메타버스 공간 ‘코이카월드(KOICA World)’ 내 콘텐츠를 대폭 확대 개편했다. 또한 코이카 글로벌 서포터스 ‘위코(WeKO)’ 5기를 비롯한 내외국인 100여명을 초대해 콘텐츠 투어 및 교류 행사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코이카월드는 대국민 ODA 소통의 장으로 자리매김하고, 글로벌 크리에이터의 한국 상생노력을 생생히 전달하는 날갯짓을 펼쳤다. ■ 한층 더 쉽고 재미있게 코이카와 ODA 지식 정보 개편 눈길 공적개발원조(ODA)는 정부를 비롯한 공공기관이 개발도상국의 경제 발전과 사회 복지 증진을 목표로 제공하는 원조다. 위코(WeKO)는 코이카와 국제개발협력, ODA의 의미와 가치를 다양한 콘텐츠로 홍보하는 전 세계 27개국 내외국인으로 구성된 글로벌 크리에이터다. 이번 개편 소개 교류회는 최신 현장을 생생하게 구현한 온라인 가상 공간에 내외국인 100여명이 모여 개발도상국과 상생을 통해 더 나은 미래를 만들기 위한 한국 정부의 노력과 가치를 되새기는 시간이 마련됐다. 코이카월드는 글로벌 서포터스 위코
냉전 이후 아시아의 독재화와 군대는 어떻게 변화했을까?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와 정치외교학과 BK21 교육연구팀은 공동으로 11월 27일 11월 27일(오후 4~6시) 서강대 정하상관에서 동남아 석학강좌를 개최한다. Zoom ID는 847 4672 5139다. 이번 석학강좌에서는 아우렐 크루아상(Aurel Crossaint) 독일 하이델베르그 대학교 정치학 교수가 ‘냉전 이후 아시아의 독재화와 군대(Autocratization and the Military in Asia since the Cold War)’를 주제로 강연한다. 아우렐 크루아상(54) 교수는 독일 생으로 하이델베르그 대학의 경제 및 사회과학부 정치학 교수다.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정치 구조와 정치 과정 비교연구학자다. 대표 저서로는 The Dictator’s Endgames: Coups, Repressions and Military Loyalty Shifts in Anti-Incumbent Mass Protest (Oxford, forthcoming), Routes to Reform: Civil-Military Relations and Democracy in the Third Wave (공저,
“라오스가 경제 개방정책 속 한국과 더 가까워졌다.” 지난 22일 서울 은행연합회 국제회의실에서 열린 ‘2023세계아세안포럼’은 라오스의 아세안 연계성 강화를 조명하고 한국과 라오스 간 협력 증진 방안을 집중적으로 다뤄졌다. 이 자리에서 김홍구 외무부 라오스 특사(전 부산외국어대학교 총장)은 ‘한국-라오스 양국 관계 및 주요 현안’에 대한 ‘2023세계 아세안포럼’에서 주요 발제를 나섰다. 2022년 8월 기준 라오스 한국 동포는 약 1700명(추정), 코로나19 이전 2019년에는 한국인이 20만명이나 방문했다. 라오스의 7위 수입국(2019년 기준), 한국어를 제2외국어 도입한 ‘한류’를 좋아하는 라오스를 김 총장이 꼼꼼하게 짚어봤다. ■ 한-라오스간 교역액 1.2억달러...개혁개방 정책으로 한국 관심 고조 김홍구 총장은 “한국과 라오스는 1974년 6월 외교관계를 수립했으나 1975년 7월에 단교했다. 1995년 10월 재수교했다. 이후 우호협력 관계를 지속발전해왔다”고 소개했다. 1996년 주 라오스 한국대사관 개설, 2001년 주한 라오스대사관이 개설되었다. 최근 라오스가 경제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개혁 개방 정책을 추진함에 따라서 라오스의 한국의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