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28일 홍콩 금융관리국(금관리국)은 외국환기금의 재무제표를 포함한 2022년 연차보고서(이하 ‘연보’)를 발표했다. 2023년에 처음으로 홍콩 금융관리국은 ‘2022년 지속가능발전보고서’를 별도 발간했다. 이는 홍콩의 금융 시스템이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역량의 강화와 녹색금융 생태계 조성, 책임투자자 및 지속 가능발전기구로서 자리잡기 위한 금융관리국의 업무전략에 중점을 두고 대중들에게 이해시키고자 위함이다. ◆ 2022년 홍콩, 전략적 핵심 분야를 개척 중 연보(年報)에 따르면 홍콩은 국제 금융 중심지로서 경쟁력 확보를 위해 핀테크, 대륙과의 연결 기회, 녹색‧지속가능금융 등 전략적 핵심 분야에서 새로운 한계를 지속적으로 개척하는 중이다. 홍콩 금융관리국은 홍콩의 금융 플랫폼을 강화해 더 많은 기업을 홍콩으로 유치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 중이다. 홍콩금융관리국 위웨이원 총재는 “2022년은 어려운 한 해를 맞이하는 해로, 많은 도전에도 불구하고 홍콩의 통화 및 금융 안정을 보장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주요 전략 영역에서 여러 가지 유리한 조치를 추진하여 홍콩의 국제 금융 중심지로서의 지위를 더욱 공고히 할 것.”이라면서 “주변 환경이 여전히 전례
지난 4월 28일 중국 일간지 투데이 터우티아오(Today Toutiao)는 홍콩 금융관리국은 디지털 자산에 대해 신중하고 점진적은 자세로 금융 산업의 변화와 발전을 모색하는 중이라고 보도했다. 홍콩의 최대 가상은행인 ZA뱅크는 가상자산과 법정화폐의 환전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해 인가받은 거래소에 자산을 예치하면 홍콩달러나 달러 등으로 인출하는 결제은행의 역할을 수행 중이다. 동일한 비즈니스 모델은 홍콩의 가상자산 거래소인 해시카와 OSL이 운영 중에 있으며, 향후에는 중앙은행도 제공할 예정이다. 중국계 은행들도 홍콩지사를 통해 라이선스를 취득한 후 관련 서비스 제휴를 맺기 위한 행보를 보이고 있다. 중국 6대은행으로 통하는 교통은행 홍콩지점은 홍콩에서 이미 라이선스를 취득했거나 취득 예정중인 가상자산사업자를 대상으로 제휴를 맺고 예금계좌와 결제서비스, 대출서비스 등 은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알려졌다. 가상자산에 대한 규제가 아직 미비하고 법적‧제도적 위험성이 존재해 금융기관들이 신중한 입장을 취하거나 거부감이 큰 것은 사실이다. 미국은 실리콘밸리뱅크(SVB)의 뱅크런으로 인한 가상자산사업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꺼리고 있다. 반면 홍콩 은행들은
지난 4월 28일 블룸버그(Bloomberg)는 홍콩 금융관리국이 홍콩 은행들에게 가상자산에 대한 서비스 지원을 촉구했다고 보도했다. 홍콩 금융관리국 아서 위웬(Arthur Yuen) 부청장이 서명한 회람을 공개한 블룸버그는 ‘은행 계좌에 대한 정당한 필요성’을 가진 규제 대상 가상 자산 기업을 은행이 지원해야 한다면서 회람 내용에 대해 공개했다. 이 문서에서는 대출 기관 직원을 교육하고 디지털 자산 부문을 지원하기 위한 전담 팀을 구성할 것을 촉구하는 내용이 담겼 있다. 신산업이나 특정 국적을 외면하는 ‘일괄적인 위험 제거 접근 방식(wholesale de-resking approach)’을 피하라는 내용도 포함됐다. 블룸버그는 교통은행, 중국은행, 상하이 푸동 개발 은행의 홍콩 지사가 홍콩에서 가상자산 기업들에게 은행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거나 해당 분야에 대해 금융당국에 문의 중이라고 증권가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미중무역분쟁을 겪고 있는 미국은 가상자산 산업에 유동성 위험을 경고하며 규제를 강화 중이다. 미국 대표 가상자산 거래소인 코인베이스(Coinbase)는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명확한 가상자산 규제를 이유로 지난 4월 24일 소송을 제기
중국의 서비스업‧건설업 경기 선행지표 역할을 하는 비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3월에 들어서면서 12년만에 최고치로 치솟았다. 2022년 연말 코로나19 방역 조치 완화 이후에 중국 경기가 회복세에 접어들면서 2023년 중국의 경제성장률 목표인 5% 달성에도 청신호가 켜진 상황이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3월 비제조업 PMI가 58.2로 집계되면서 2월 56.3은 물론 시장전망치인 54.3을 크게 웃돈 상황이다. 2011년 5월 이후 12년 만의 최고치로 비제조업 PMI는 기준선인 50을 넘으면 경기 확장, 넘지 못하면 경기 위축을 의미한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서비스업 활동 지수는 56.9로 나타났다. 유통, 철도, 교통, 운송업, 항공업, 인터넷‧소프트웨어, 임대업 등 지수는 모두 60을 넘어서면서 중국의 서비스업 수요가 회복세를 나타냈다. 건설업 활동 지수는 65.6으로 2월보다 5.4p 급상승했다. 이는 중국 부동산 경기 부양을 위한 중국 정부의 지원 정책과 지방정부의 인프라 투자가 늘어난 것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중국의 3월 제조업 PMI는 51.9로 시장 전망치인 51.5를 웃돌았고 2월 PMI인 56.3에 비해서는 소폭 둔화됐지만, 3개월
서방국가들의 대 러시아 제재 이후 중국 위안화의 결제 이용률이 대폭 확대됐다. 지난 4월 12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의 무역금융 자료를 인용하면서 지난 2월 무역 시장에서 수입 결제 수단으로 쓰는 화폐 가운데 위안화(CNY)의 점유율은 4.5%로 집계됐다고 보도했다. 2022년 위안화 점유율은 2% 미만에 불과 했지만 1년 만에 사용률이 대폭 늘어난 것이다. 위안화 국제통화 거래 전체 결제 비중의 6%를 차지함으로써 유로화(EUR)의 뒤를 바짝 뒤쫓고 있다. 위안화 국제결제 이용률이 증가한 배경으로 러시아가 서방 제재로 그간 유럽과 미국에 수출하던 석유를 중국에 판매하면서 생긴 현상으로 풀이된다. 지난 3월 10일 러시아 중앙은행의 통계에 따르면 위안화 결제율이 4%수준에 머물렀으나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로 러시아의 수입 결제에서 위안화를 사용하는 비중이 2022년에 23%까지 상승했다.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촉발된 위안화 결제율 증가는 탈 달러(USD) 현상을 가속화 시키는 촉매제가 된 셈이다. 2023년 3월에는 사우디아라비아 국영은행과 첫 위안화 대출 협력을 체결했으며, 브라질과는 무역 거래에서도 달러가 아닌 서로의
지난 4월 9일 글로벌 전기차 기업 테슬라(Tesla)가 상하이에 에너지 저장용 슈퍼공장인 ‘메가팩’을 신설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계획에 따르면 2023년 3분기에 착공에 들어가 2024년 2분기에 가동할 계획이다. 상하이에서는 테슬라 메가팩의 계약식이 있었다. 메가팩은 초대형 상업용 에너지 저장 배터리를 생산하는 공정으로 초기에 연간 1만 대, 에너지 저장 규모는 40Ghw에 육박할 예정이다. 테슬라의 신규 에너지 저장 슈퍼팩토리는 기업의 에너지 통합 솔루션으로 자리잡아 글로벌 공급망을 최적화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것이 테슬라 측의 설명이다. 좡무디 상하이시정부 사무차장은 “이번에 계약한 테슬라 에너지 저장 슈퍼팩토리 프로젝트는 상하이의 새로운 에너지 저장 산업 발전과 녹색 저탄소 전환을 추진하는 데 중요한 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2019년 1월 테슬라 상하이 슈퍼팩토리를 착공해 ‘그 해 착공, 그 해 가동, 그 해 인도’라는 ‘테슬라 속도’를 만들었다. 타오린 테슬라 글로벌 부사장은 “상하이와 린강 신구의 양질의 비즈니스 환경 덕분에 테슬라 상하이 슈퍼팩토리는 95%가 넘는 산업사슬 현지화율을 달성했다.”며 “테슬라는 중국의 산업 파트너와 함
지난 4월 3일 타스통신에 따르면 후룬바이푸(胡润百富)가 발표한 ‘2022 후룬 브랜드 차트’에 따르면 구이저우 마오타이는 5년 연속 이 차트에서 ‘가장 가치 있는 중국 브랜드’가 됐다. 구이저우 마오타이는 300개 브랜드 중 1위이며 브랜드 가치는 1조 위안(원화 약 191조 원) 이상이다. 우량예는 2,500억 위안(원화 약 47조 원)으로 2위를 기록했으며 중화담배 2,300억 위안(원화 약 44조 611억 원)의 가치를 지닌 3위에 올랐다. 후룬 회장 겸 수석 리서치 책임자인 후룬은 “민영 브랜드에 대한 중국 소비자들의 신뢰도가 최근 몇 년간 눈에 띄게 높아졌다.”고 진단했다. 2023년 후룬 브랜드의 62%가 민간 브랜드였으며 2021년 61%, 10년 전인 2012년에는 39%였가 민간브랜드로 갈수록 민영 브랜드의 인지도가 상승하고 있다. 이 목록은 경기 하강과 전염병 예방 조치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소비자 브랜드, 특히 주류 브랜드가 여전히 강한 모멘텀을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지난 4월 7일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중국선박그룹(CSG)과 프랑스 CMA-CGM은 지난 6일 베이징에서 초대형 컨테이너선 2형 16척을 건조하는 수주 계약을 체결했다. 해당 계약 규모는 210억 위안(원화 약 3조 7,972억) 이상의 수주액으로 중국 조선업계에서 컨테이너선을 한꺼번에 계약하는 액수로는 최대 액수를 기록했다. 최근 몇 년 동안 메탄올은 대체 연료 중에선 해운 산업의 관심을 받는 대체 연료 솔루션이다. 이번 수주에는 15,000TEU 메탄올 트윈파워 대형 컨테이너선 12척과 23,000TEU 액화천연가스(LNG) 트윈파워 초대형 컨테이너선 4척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선박그룹(CSG)이 메탄올 연료탱크선을 대량 수주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15,000TEU 메탄올 이중연료 대형 컨테이너선은 중국선박그룹(CSG) 산하 강남조선그룹 유한책임공사와 다롄선박중공업그룹유한공사가 각각 6척 씩 건조해 각각 강남조선과 중국선박그룹 산하 제708연구소가 독자적으로 설계한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유형의 선박은 녹색 메탄올을 주요 연료로 사용하며 전체 항해에서 ‘순 제로 배출’이 가능하며 완전히 독립적인 지적 재산권을 가지고 있다. 이 배는 길이 3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