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늘어나는 다중채무자, ‘446만 명으로 역대 최고’

대출 잔액 기준 다중 채무 비중 31.9%

 

가계대출이 전반적으로 줄어들지만, 3곳 이상 금융기관에서 대출한 다중 채무의 비중은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

 

8월 15일 한국은행은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윤창현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가계부채 데이터베이스(DB)상 약 100만 명 패널의 신용정보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2022년 1분기 말 기준 가계대출자 중 22.4%가 다중 채무자로 나타났다.

 

2021년 말 22.1%보다 비중이 0.3%p 늘어난 것으로 집계가 시작된 2012년 이후 최고치를 경신한 것이다.

 

1분기 가계부채 DB 표본 데이터로 전체 가계대출 차주 수를 추정하는 작업은 끝나지 않았기 때문에 2021년 말 기준 전체 차주 수인 1,989만 4,000명에 이 비중 22.4%를 적용하면 약 445만 6,000명이 다중 채무자인 셈이다.

 

대출자(차주) 수가 아니라 대출 잔액 기준 다중 채무의 비중은 31.9%가 집계됐다.

 

금융권별 다중 채무자 비중을 보면 저축은행의 경우 2022년 1분기 말 대출잔액 기준으로 76.8%, 차주 수 기준으로 69.0%가 다중 채무 상태였다.

 

모두 2021년 연말 대출잔액 기준 75.9%보다 0.9%p 늘어났고, 차주수 기준 67.5%보다 1.5%p 비중이 늘어났다.

 

은행의 다중 채무자 비율은 1분기 말 대출잔액 기준 27.6%, 차주 기준 25.4%로 집계됐다.

 

1분기 사이 차주는 0.2%p 높아졌고 잔액은 0.3%p 낮아졌다.

 

1분기 기준 다중 채무자는 40대 비중이 32.6%로 가장 컸고 50대가 28.0%, 30대 이하 26.8%, 60대 이상이 12.6% 순이었다.

 

40대는 비중이 2021년 말보다 1.1%p 떨어졌고, 30대 이하는 0.6%p 증가했고 50대는 0.%2p 증가했다.

 

아울러 대출 잔액을 차주의 소득 수준에 따라 분해한 결과, 고소득자(소득 상위 30%)가 65.6%를 차지했고 중소득자(소득 30∼70%)와 저소득자(소득 하위 30%)의 비중은 각 25.0%, 9.4%였다.

 

2021년 말보다 고소득자 비중이 0.3%포인트(65.9→65.6%) 축소된 반면, 중소득자와 저소득자는 각 0.2%포인트(24.8→25.0%), 0.1%포인트(9.3→9.4%) 오히려 커졌다.

 

이처럼 저축은행 등 2금융권, 중‧저소득층, 30대 이하 젊은 층의 다중 채무 비중이 늘어나는 것은 금리 상승의 충격에 가장 약한 틈이 커진다는 측면에서 우려되는 부분이다.

 

한국은행은 일반적으로 다중 채무자 가운데 저소득(소득 하위 30%) 또는 저신용(신용점수 664점 이하) 상태인 대출자를 ‘취약 차주’로 분류하고 있는데 완화적 금융 여건이 금리 상승되는 정상화 과정에서 대내외 여건이 악화될 경우 취약차주의 상환능력이 떨어지고 대출을 크게 늘린 청년층과 자영업자 취약 차주를 중심으로 신용 위험이 커질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비은행권 등 금융기관은 대출 건전성 저하 가능성에 대비해 충당금 적립, 자본확충 노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포토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