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기획투자부 통계총국에 따르면, 2024년 10월 31일 기준 베트남에서 유치한 외국직접투자(FDI) 총액은 신규 등록・증자・출자금을 포함해 총 272억 6,000만 달러(원화 약 38조 1,503억 원)으로 2023년 1~10월 대비 1.9% 증가했다. 베트남의 신규 외자 프로젝트는 총 2,743개로 자본금은 152억 3,000만 달러(원화 약 21조 3,143억 원)다. 프로제그 수는 2023년 1~10월 대비 1.4% 증가했으나 자본금은 2.5% 감소했다. 가공제조업 부문은 97억 9,000만 달러(원화 약 13조 7,011억 원)으로 전체 신규 외국인 자본의 64.2%를 차지하면서 핵심 산업 부문임을 증명했다. 그 뒤를 부동산 사업 활동이 32억 4,000만 달러로 21.3%, 기타 업종이 22억 달러로 14.5%를 기록했다. 2024년 10월까지 베트남에 투자한 국가는 총 76개 국가이며, 최대 투자국은 싱가포르로 49억 8,000만 달러(원화 약 6조 9,695억 원)를 투자해 전체 투자액의 32.7%를 차지했다. 그 뒤를 한국이 20억 8,000만 달러(원화 약 2조 9,109억 원)로 13.7%, 중국이 20억 7,000만 달러(원화 약
재한유엔기념공원관리처(이하 관리처)는 11월 11일 오후 12시, 턴투워드부산 추모식에 이어 태국 참전용사 안장식을 진행한다. 이번에 안장되는 태국 참전용사는 故 롯 아싸나판(Rod ASANAPAN)으로 1922년 8월 14일에 태어나 2023년 6월 14일에 100세의 나이로 영면에 들었다. 그가 별세했을 때는 101번째 생일을 두 달 앞두고 있었다. 이 안장식에는 고인의 딸(쏨송 짜른퐁아난)과 손녀(찌라차야 짜른퐁아난), 강정애 대한민국 국가보훈부장관, 타니 쌩랏 주한태국대사, 그리고 방한한 참전용사와 유가족, 유엔평화봉사단 소속 학생 등 100여명이 참석한다. 타니 쌩랏 주한태국대사가 개회사를 맡는다. 강정애 대한민국 국가보훈부 장관, 데릭 맥컬리 유엔군사령부 부사령관이 추도사를 한다. 헌화는 유가족과 강 장관, 매컬리 부사령관, 잇 팁파야짠 태국 국방무관(대령)이 한다. 아싸나판 참전용사는 태국 장병들의 용기와 민첩성을 상징하는 ‘리틀 타이거’ 부대 소속으로 한국전쟁에 참전했다. 그는 1952년 11월 18일부터 1953년 10월 28일까지 자원하여 한국에서 복무했다. 한국전 중에 대한민국의 자유와 평화를 위해 헌신한 공로를 인정받아 태국 정부로부터
아트리브가 한국 미디어아트 기업 최초로 인도네시아에 이머시브 미디어아트 전시관 ‘발리 이머시브 룸(Bali immersive room)’을 오픈했다. 지난 10월 27일 한국과 인도네시아 최초의 컬래버 이머시브 미디어아트 전시관 ‘발리 이머시브 룸’ 오픈을 위한 행사를 인도네시아 발리 섬에서 열었다. 오픈 행사는 아트리브와 인도네시아 기업 아섹(Asech), 짐버런 하이자우(Jimbaran hijau) 등 이번 미디어아트 전시에 공동 투자한 3개 회사가 이머시브 아트홀에서 진행했다. 전시관 오픈을 축하하기 위해 인도네시아 공공 미술관장 미프타쿨(Miftakhul), 발리 주정부 문화부 국장 부 찬드라(Mrs. Bu Chandra), 짐버런 하이자우의 CEO 아궁(Agung), 인도네시아 ICCN협회 및 주요 인사들이 참석했다. 행사는 축사와 컨퍼런스를 비롯해 인도네시아 예술작가 퍼포먼스와 미디어아트 전시 관람 등의 순서로 이어졌다. 이날 전시관의 예매율은 100%를 기록하며 성공적인 출발을 알렸다. 하승연 아트리브 대표는 축사를 통해 “인도네시아 시민과 발리 관광객을 위한 한국의 미디어아트 기술을 선보인데다가 한국 기업 최초로 인도네시아에서 상징성을 가진 발
인도네시아서 화산이 폭발해 화산재가 5㎞ 치솟고, 용암이 최대 1㎞ 밖까지 흘러내렸다. 9명이 사망하고 63명이 부상했다. 현지 인타라통신에 따르면 지난 7일 동누사뜽가라주 플로레스섬 동부에 있는 르워또비 라끼라끼 화산(1,584m)이 이날 오전 다시 폭발했다. 인도네시아 화산지질재난예방센터(PVMBG)에 따르면 이날 오전에만 화산이 7회 분화해 분화구에서 5㎞ 높이까지 화산재를 내뿜었다. 분출로 인해 화산재뿐만 아니라 두꺼운 모래를 실은 뜨거운 구름도 방출되었다. 또 최대 1㎞ 밖까지 용암이 흘러내리기도 했다. 이 화산은 지난 3일 밤 분화해 인근 10개 마을 1만명이 주민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이 폭발로 9명이 숨지고 60여명이 다쳤으며 주택 2천여채가 파손됐다. 인도네시아 당국은 화산 경보를 가장 높은 수준인 4단계로 올리고 인근 4개 공항을 폐쇄했다. 또 화산 인근에 사는 주민 약 1만6000명을 영구 이주시키기로 결정했다. 이 화산은 지난해 12월23일 20년 만에 처음으로 폭발한 뒤 올해 초까지 계속 분화하면서 주민 2000여명이 대피한 바 있다. 2억 8000만명이 사는 인도네시아의 120개 활화산 중 하나다.
LG에너지솔루션(이하 ‘LG엔솔’)이 미국 전기차 회사 ‘리비안’에 차세대 배터리인 ‘46시리즈’(지름 46㎜) 원통형 배터리를 공급한다. 계약 규모만 최소 8조 원에서 최대 9조 원에 달하는 대형 계약이다. 지난 11월 8일 ‘LG에너지솔루션’은 2026년부터 5년간 미국 애리조나 공장에서 리비안에 67GWh(기가와트시) 규모의 배터리를 공급할 것이라고 밝혔다. 리비안 전기차 약 60~70만대 분량, 금액으로는 8~9조원 규모다. LG에너지솔루션이 전사적 역량을 투입하고 있는 46시리즈 원통형 배터리가 납품될 예정이다. 46시리즈는 기존 2170(지름 21㎜, 높이 70㎜) 원통형 배터리의 크기를 대폭 키워 지름을 46㎜까지 늘린 차세대 폼팩터다. 동일 무게당 에너지밀도가 20~30% 이상 높고 화재안전성도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46시리즈는 크게 높이가 80㎜인 ‘4680’, 95㎜인 ‘4695’로 나뉘는데 이번에 리비안에 공급되는 모델은 ‘4695’다. 전 세계 배터리사 중에 가장 선제적으로 46시리즈에 투자해온 LG엔솔이 먼저 치고 나가는 모양세다. LG에너지솔루션은 2024년 12월 처음으로 46시리즈를 양산해 테슬라에 납품할 예정으로, 차세대
지난 10월 ‘SK온’(SK On)이 1조 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한 데 이어 5,000억 원의 추가 자금 조달에 나선다. 지난 11월 7일 SK이노베이션은 자회사 SK온이 채무상환자금 등 약 5,000억 원을 조달하고자 제3자 배정 방식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신주 발행 수는 보통주 901만 5,667주이며 발행가액은 주당 55,459원이다. 제3자 배정 대상자는 엠에스에너지제일차 주식회사(540만9401주), 엠에스에너지제이차 주식회사(180만3133주), 엠에스에너지제삼차 주식회사(180만3133주) 등이다. SK이노베이션은 “재무구조 개선 등 경영상의 목적 달성을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SK온 관계자는 “SK온이 신주 발행을 통해 주가수익스와프(PRS) 방식으로 약 5000억원의 자금을 유치하는 것.”이라며 “SK이노베이션이 SK온의 미래 성장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해 (PRS 방식을) 실행한 것.”이라고 밝혔다. PRS는 다수 국내 기업이 자본 조달을 위해 활용 중인 금융 기법으로, 향후 주가가 오르면 차익을 수익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전기차 캐즘(Chasm・일시적 수요 정체)으로 배터리 업계가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전기차 전환이 ‘예정된
지난 11월 7일 부동산 관련 세금 솔루션을 제공하는 주식회사 뉴아이는 한국투자액셀러레이터로부터 시드 투자를 추가로 유치했다고 밝혔다. 투자금은 비공개다. ‘뉴아이’는 지난 7월 팁스(TIPS, 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지원) 운영사로부터 시드투자를 유치하고 국토교통부 부동산서비스 창업경진대회 대상을 차지하며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이후 중소기업벤처부의 TIPS 사업 선정됐고, 지난 10월 신규 출시한 ‘택스아이’ 서비스를 필두로 단기간에 추가 투자를 유치하며 기술성 및 성장성을 입증했다. 사용자가 조회해 즉시 양도소득세의 환급예상액을 확인할 수 있는 ‘택스아이’는 뉴아이가 자체 개발한 TAX AI 서비스를 기반으로 930만 가지 이상의 사용자 케이스를 구분한다. 그리고 각각의 세법 특례와 매칭한 알고리즘을 이용해 사용자의 과거 양도 시점에 따라 달라지는 과세유형의 판단방법 및 산출규정을 적용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최적 세액을 파악하여 과거 신고결과와 비교한 뒤 환급예상액 확인을 제공한다. 뉴아이는 자체 개발한 자산 관련 세금 솔루션 ‘TAX AI’를 통해 자산과 관련된 세금의 과세유형 자동판단을 기반으로 한 최적 세금 산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와 함께 양도
“제주서 동남아 지역으로 상상여행 해보세요.” 마리아 테레사 비 디존-데 베가 주한 필리핀 대사가 제주 서귀포시에서 열린 ‘한-아세안 올레 제막식’에서 의미 있는 축사를 했다. 특히 올해 한-아세안 관계에 뜻깊은 진전을 회고했다. 올해 초 한-아세안센터의 창립 15주년를 맞아 한-아세안센터에 모인 일, 한-아세안 대화관계 수립 35주년을 맞아 비엔티안에서 열린 제 25차 한-아세안 정상회의에서 양측 관계를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로 격상한 일들을 되새겼다. 개인적으로 제주도를 셀 수 없을 만큼 많이 방문했다는 마리아 대사는 “이 발전하는 파트너십에 세계 불가사의 중 하나인 제주도의 숨막히는 아름다움 속에서 또 하나의 이정표를 추가한다. 한-아세안 가족이 커졌다. ‘한-아세안 올레’다”라고 강조했다. 마리아 대사는 한-아세안 올레의 탄생 비화도 소개하면서 감사했다. 그는 “약 1년 전 에릭 테오 주한 싱가포르 대사가 이 프로젝트를 처음 제안했을 때 전폭적으로 지지해준 주한 아세안 위원회 동료들과 김 사무총장께서 이끄시는 한-아세안센터, 그리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발 빠르게 움직여준 제주특별자치도 관계자, 제주올레재단, 아세안재단의 협력과 지원에 다시 한 번 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