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어 오토마타(NieR Automata)의 본고장에 니어 프로토콜(NEAR)이 화이트 리스트 코인으로 입성했다. 일전에 이오스(EOS)도 화이트로 입성했지만, 니어 프로토콜의 일본 파트너는 스테이킹에 특화된 2년차 바스프 코인트레이드라는 점이 눈에 띈다. 9월 1일 내외경제TV에 따르면, 지난 8월 31일 일본 가상자산 거래소 코인트레이드(Coin Trade)는 니어 프로토콜(NEAR)을 거래 목록에 추가했다고 보도했다. 엔화(JPY)로 거래가 가능한 ‘NEAR/JPY’가 개설됐고, 스테이킹 상품 서비스에도 니어 프로토콜이 추가됐다. 일본 IT기업 ‘세레스’의 지원을 받고 있는 코인 트레이드는 스테이킹 상품에 특화된 거래소다. 폴리곤(MATIC), 팔레트 토큰(PLT), 폴카닷(DOT), 테조스(XTZ), 이오스트(IOST), 에이다(ADA), 헤데라(HBAR) 등이 현재 스테이킹 상품으로 제공되고 있다. 2023년 3월 코인트레이드는 1종 암호자산 거래소로 영업을 시작한 이후 헤데라를 첫 화이트 리스트 코인으로 발굴했으며, 2번째로 니어 프로토콜을 추가했다. 한편 코인트레이드는 지난 4월에 인프라 기업 파이어블록과 파트너십을 맺고 ㄴ보안 개선에 나선바 있다
지난 8월 31일 카카오뱅크와 대구신용보증재단(이하 ‘대구신보’)가 ‘대구시 상생보증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카카오뱅크의 상생보증 업무협약은 부산과 인천에 이어 3번째로, 소상공인을 위한 금융 지원을 위한 상생보증 업무협약이다. 이번 협약을 통해 카카오뱅크는 5억 원을 특별 출연하고 대구신보는 재원을 삼아 75억 원의 협약 보증을 지원한다. 카카오뱅크와 대구신보는 자영업자들에게 금융 지원을 확대하고 소상공인들의 자생력 강화 및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방침이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자금 수요가 증가하는 명절을 앞두고 금융 부담을 덜어드리고자 신용보증재단 특별 출연을 결정했다"며, "앞으로도 개인사업자에 대한 금융 지원을 꾸준히 이어감으로써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카카오뱅크는 9월 1일 대구시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특화 상품인 ‘대구시 상생보증 대출’을 출시한다. 지원 대상 역시 대구광역시 소재 개인사업자로 대표자 개인신용점수 595점 이상인 기업으로 대출 한도는 최대 1억 원이 될 예정이다. 대구시 상생보증 대출은 카카오뱅크 앱에서 비대면으로 신청이 가능하다. 소상공인은 대구신보 영업점을 방문해 보증서를 발급받은 후 카카오뱅크 앱을 통해
하잎랩(대표 이윤호)이 NFT 마켓 팔라와 MOU를 체결했다고 31일 밝혔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팔라의 NFT 관련 서비스 확장 및 활성화를 위한 협업 ▲하잎랩의 NFT 프로젝트 하잎보이의 원활한 추진을 위한 협력 및 지원 ▲그 외 양사 간 정보 및 자원 교류를 통한 사업 협력 등을 공동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팔라는 국내 NFT 거래소로서 클레이튼, 이더리움, 폴리곤 NFT에 대한 공식 컨트랙트 검증으로 편리한 거래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또 NFT 기획, 민팅, 2차 거래까지 함께하는 원스톱 런치패드를 통해 다수의 NFT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진행한 바 있다. 하잎랩은 패션, 음악, 예술, 공연 등 트렌디한 분야의 관심사를 공유하는 하이프보이(Hypeboy) NFT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회사로서, 23년도 초중순 약세장에도 불구하고 5,555개의 NFT를 성공적으로 민팅했다. 또한, 하잎랩은 4개의 클럽과 갤러리 카페, 소속 DJ, 힙합 레이블 등 오프라인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콘텐츠를 기획 및 진행 중이다. 이윤호 하잎랩 대표는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국내 1위 거래소 팔라에 하잎보이 NFT를 리스팅하게 되어 기쁘다.”라
지난 8월 29일 금융감독원(이하 ‘금감원’)은 협력업체와 공모해 105억원대 배임 사건을 저지른 롯데카드 직원들을 적발해 검찰에 고발했다고 밝혔다. 앞서 금감원은 롯데카드 대상 현장검사를 실시, 지난 14일 롯데카드사 직원 2명과 협력업체 대표를 검찰에 고발했다. 롯데카드사가 지난 7월 4일 혐의 내용을 금감원에 보고했고 이틀 후인 6일부터 현장검사가 시작됐다. 검사 결과 롯데카드 마케팅팀 팀장과 팀원 등 2명이 협력업체 대표와 공모해 해당 업체를 카드상품 프로모션 협력업체로 선정, 불분명한 계약내용으로 카드발급 회원 당 16,000원을 정액 선지급하는 프로모션을 체결한 것으로 드러났다. 프로모션에 따라 롯데카드사가 해당 협력 업체에 2020년 10월부터 2023년 5월까지 34회에 걸쳐 지급한 금액은 총 105억 원이었다. 이 중 66억 원이 페이퍼컴퍼니와 가족회사로 흘러가 부동산 개발 투자, 자동차‧상품권 구매 등에 사용됐다. 금감원은 해당 협력업체 선정과 계약체결 등 과정에서 계약서 세부조항 검토가 미흡했던 등 관련 부서의 내부통제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고 보고 있다. 특히 롯데카드가 협력업체와의 계약내용에 문제가 있다는 걸 사후 인지했음에도 계
“인도네시아 민족은 술은 안마셔도 흥이 많아요. 음악도 발라드 같은데 강렬해요.” 인도네시아 전문가 방정환 YTeams 파트너가 인도네시아 전통악기를 같이 연주하면서 한 말이다. 실제로 대나무로 만든 가벼운 악기를 두 손으로 흔들며 공동 연주를 하면서 행사장 300여명의 순식간에 일심동체가 되는 마법이 펼쳐졌다. 모두 즐겁게 앞 연단에서 이끄는 진행자 말에 빠져들었다. 8월 31일 서울 롯데호텔 크리스탈볼룸에서는 ‘한-인도네시아 수교 50주년’ 리셉션이 열렸다. 1973년 대사급 외교관계를 수립한 한국과 인도네시아가 올해 수교 50주년을 맞은 기념행사였다. 인도네시아는 아세안(ASEAN) 내 한국과 유일한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맺고 있을 정도로 각별한 나라다. 세계 인구대국 4위, 세계 3위 규모의 민주국가, 세계 최대 무슬림 국가인 인도네시아 음악은 어떨까. 행사는 간디 솔리스티얀토 수헤르만(Gandi Sulistiyanto Soeherman) 주한 인도네시아 대사의 개회사와 김기현 국민의 당 대표 축사와 한-인도네시아의 50년 소개, 귀빈소개-만찬으로 이어졌다. 드디어 가수와 인도네시아 전통공연이 선보였다. 연주된 인도네시아 전통음악은 잔잔한 가
한국과 인도네시아는 1973년 대사급 외교관계를 수립하며 올해 수교 50주년을 맞았다. 한국과 인도네시아는 지난 반세기 동안 정치-경제-문화 등 제반 분야에서 의미있는 협력 성과를 이뤄냈다. △한-인도네시아 전략적 동반자 관계 격상(2006년) △한-인도네시아 외교장관 공동위 설립(2006년) 등 양국관계 발전에 기여했다. 인도네시아는 세계 인구대국 4위, 세계 3위 규모의 민주국가, 세계 최대 무슬림 국가다. 아세안(ASEAN) 내 한국과 유일한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맺고 있다. 특히 인도네시아는 동남아국가 중 유일한 G20 회원국이자 올해는 아세안 의장국이다. 인도양과 태평양을 잇는 전략적 위치로 미-중 갈등 속 지정학적인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나라다. 8월 30일 롯데호텔 크리스탈볼룸에서는 ‘78주년 인도네시아 독립기념일’과 ‘한-인도네시아 수교 50주년’ 리셉션이 함께 열렸다. 간디 솔리스티얀토 수헤르만(Gandi Sulistiyanto Soeherman) 주한 인도네시아 대사가 각계 손님 300여 명을 영접했다. 연회장은 인도네시아 새 수도 동부 칼리만탄의 누산타라(Nusantara) 자연으로 꾸며 눈길을 끌었다. 행사는 축사와 한-인도네시
지난 8월 30일 신화망은 중국 국가개발은행(China Development Bank)가 아프리카 수출입은행(Afrexim Bank)과 4억 달러(원화 약 5,292억 원) 규모의 융자 협정을 체결했다고 보도했다. 이집트 카이로에 위치한 아프리카 수출입은행 본부에서 체결된 이번 협정은 아프리카 중소기업의 자금 조달을 지원하는 내용이 주요 골자로 아프리카 수출입은행이 4억 달러를 정기 대출하는 ‘개발중점협정’이다. 협정식에는 중국 국가개발은행 탄 지옹(Tan Jiong) 사장과 아프리카 수출입은행 베네딕트 오라마(benedict oramah) 총재가 참석했다. 대출기간은 7년으로 아프리카 수출입은행의 대출 조건을 충족하는 중소기업이 직접 대출을 신청하거나 수출입은행과 연계된 금융중개기관을 통해 간접 대출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베네딕트 오라마 총재는 “아프리카 중소기업들은 여전히 사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충분하고 합리적인 가격의 융자를 받기 어렵다.”며 “중국 국가개발은행의 이번 대출은 이들의 융자 수준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이어서 그는 “일자리 창출과 경제활동의 촉진, 아프리카-중국 간 무역 증대 등에 두 은행이 각자의 역할을 다하고 발
“작별 인사는 하지 않겠다. 다시 만날 때까지라고 하겠다.” 간디 솔리스티얀토(Gandi Sulistiyanto) 주한 인도네시아 대사는 8월 31일 롯데호텔에서 열린 ‘한-인도네시아 수교 50주년’ 리셉션에서 ‘마지막 고백’을 했다. 그는 “서울의 대사를 마치고 자카르타로 돌아갈 예정이다. 이번 외교 리셉션이 대사 임기 중 마지막”이라고 말했다. 지난 7월 17일 간디 솔리스티얀토 대사는 조코위(Joko Widodo, Jokowi) 대통령의 자문위원회(Wantimpres) 위원으로 임명된 바 있다. 이어 “비록 주한 인도네시아 대사직을 떠나 자카르타에서 새로운 역할을 맡게 되겠지만, 저는 한국에서의 멋진 추억을 항상 기억하겠다. 한국은 이제 저의 두 번째 고향이 되었다”고 고백했다. 그는 “작별 인사는 하지 않겠다. 우리는 어떻게든, 어딘가에서 다시 만날 것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다시 만날 때까지라고 하겠다”고 덧붙였다. 1960년 중부 자바 페칼롱간에서 태어난 술리스티얀토는 자문위원회 회원이 될 때까지 2021년 11월부터 주한 인도네시아 대사로 재직했다. 그는 공직에 임명하기 전에는 인도네시아 화교계 대표적인 인물인 시나르 마스(Sinar 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