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코로나’ 정책을 시행 중인 중국에서 코로나19 감염자가 폭증하는 가운데 화이자의 코로나19 복용 치료제 ‘팍스로비드(Paxlovid)’의 소매판매가 허용됐다. 중국의 헬스케어 플랫폼 ‘111.inc’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팍스로비드가 박스당 2,960위안(원화 약 56만 원)에 판매되고 있다. 로이터 통신은 중국에서 코로나19 감염의 급증에 따른 팍스로비드의 첫 소매 판매라고 보도했다. ‘111.inc’는 팍스로비드의 판매가 시작되고 30분만에 완판됐다고 밝혔다. 이는 중국에서 코로나19와 독감 약 수요가 급증하는 지표로 볼 수 있다. 지난 2월 팍스로비드의 사용을 승인한 중국 방역당국은 의사 처방이 있어야 팍스로비드를 처방받을 수 있어 복용과 유통을 엄격히 통제하고 있다. 몇몇 지방의 병원에서 팍스로비드를 고위험군 환자 치료에 사용하고 있다. 코로나19 양성 결과를 제출할 경우 해당 앱을 통해 팍스로비드를 구입할 수 있다. 그러나 팍스로비드가 몇 박스나 팔렸는지와 언제 판매가 재개되는지, 다른 소매업자도 팔고 있는지 등은 불확실한 상황이다. 중국에서 팍스로비드의 소매 판매 개시는 코로나19 백신 수요 감소 전망으로 투자자들의 우려에 직면한 화이자에게
2022년 중국 기업들의 기업공개(IPO) 금액이 사상 최대치를 경신할 예정이다. IPO 금액은 6,100억 위안(원화 약 111조 8,374억 원)으로 전 세계의 절반이 중국 기업의 IPO 금액이다. 중국 기업들이 중국 내 증권시장으로 복귀했고, 반도체 기업 등 중국 당국이 전략적으로 핵심 산업군을 육성하면서 생긴 결과다. 피마웨이 회계법인 자료에 따르면, 2022년 글로벌 IPO 자금조달액은 1800억 달러(원화 약 231조 1,200억 원)로 2021년 4,680억 달러(원화 약 600조 9,120억 원)에 비해 크게 줄었다. 인플레이션과 금리 인상으로 금융시장이 요동치면서 미국의 IPO가 급속히 줄어든 영향으로 보인다. 미국의 IPO 금액은 2021년 대비 90% 이상 감소했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의 IPO 자금조달은 2021년보다 5% 증가하면서 2년 연속 사상 최대치를 기록할 전망이다. 거래소별 융자액 순위는 상하이증권거래소가 세계 1위, 선전증권거래소가 2위, 뉴욕증권거래소와 나스닥은 5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중국의 2022년 IPO 기업수는 410개로 2021년보다 줄었지만 대형 IPO는 증가했다. 미국 증시에서 상장폐지된 최대 국유통신사업자인
지난 12월 21일 대만 중시신문망은 ‘중국남방항공유한공사(이하 ‘남방항공’)’ 신장지사가 신장 위구르(Xinjiang Uyghur)의 우루무치-타슈쿠르간 왕복노선에 정식 취항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중국 최서단의 공항이자 신장 지역 해발고도 2,438m 지역에 위치한 고원공항인 ‘홍차라푸 공항(Hóngqílāfǔ Airport)’에 남방항공이 정식 취항하게 됐다. 첫 항공편은 CZ5193/4로 출발해 오전 8시35분 우루무치를 출발해 10:55분 타슈쿠르간 홍치라프 공항에 도착한 뒤 14:00에 다시 출발해 16:20에 우루무치에 도착하는 일정이다. 신장에 취항하는 첫 고원(高原)공항인 남방항공은 지난 5월 19일 운항 과정 실사를 완료했다. 2일간의 시험비행을 통해 기존 비행절차, 최소운행기준, 운항보장, 공항활주로, 항법장비, 기상시설, 활주로, 표지판 등을 검증했다. 남방항공은 첫 운항 당일 에어버스 319 기종을 투입해 왕복 200석이 넘는 좌석을 제공해 승객 수요를 감당할 계획이다. 이 노선이 개통되면 타슈쿠르간 여행객은 우루무치를 거쳐 창사, 충칭, 시안, 후허하오터, 광저우 등으로 환승이 가능하다. 남방항공은 최근 카스 지역의 허브 노선 네트워크
세계 최대의 전자담배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중국이 더 강력한 규제 정책을 내놓을 예정이다. 국가담배전매국이 내놓은 새로운 고시에 따르면, 1인당 1번에 다른 장소에서 6개 이상의 담배 장비를 휴대할 수 없다고 고시했다. 자세히 살펴보면‘액상 무화물’로 불리는 전자담배 도구는 90개 이하, 일회용 전자담배를 포함한 담배 본체와 담배 도구의 조합 판매 제품 등 90개 이하, 담배 액상 등 무화물과 전자담배용 니코틴은 180㎖를 초과하면 안된다는 내용이 고시됐다. 중국 전자담배 산업은 젊은 층을 중심으로 확대되어 가고 있다. 2021년 시장 규모는 2020년 대비 36% 증가한 200억 위안(원화 약 3조 7,090억 원)에 육박하고 있다.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큰 전자담배 생산국이자 수출국이지만 중국 정부당구은 2022년 11월 1일부터 전자담배의 생산과 수입, 도매에도 세금을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2022년 10월부터 중국 연초국은 과일맛 전자담배 판매 금지, 미성년자에 대한 전자담배 광고 발송 금지 등 업계에 대한 강력한 규제 조치와 의무 기준을 시행하기로 결정했다. 본래는 2022년 5월부터 과일 맛 전자담배 판매를 금지하려다 업계 종사자들로부터 업계 타격
위안화의 환율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면서 달러 대비 7위안의 시대에 도달했다. 중국 인민은행은 2022년 9월 7일을 기준으로 은행간 외환시장에서 위안화 환율은 달러당 6.9160 위안으로 전 거래일보다 64bp 하락했다고 밝혔다. 역내 위안화 가치는 달러 당 6.97위안까지 ᄄᅠᆯ어졌고, 역외 위안화는 달러 당 6.99위안까지 떨어져 현재 추세라면 위안화가 달러당 7위안대를 돌파하는 ‘포7(破七) 현상’이 눈앞까지 성큼 다가오게 됐다. 위안화가 현재까지 오게 된 데에는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주효했다는 의견이 우세하다.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가 지속적인 자이언트 스텝(Giant Step)으로 금리를 인상하면서 데이터 상 2022년 들어 14.6% 절상했고 특별인출권(SDR) 바스켓의 다른 기축통화는 달러 대비 가치가 크게 떨어졌다. 1~8월 유로화는 12%, 파운드화는 14%, 엔화는 17%, 위안화는 8% 하락했다. 중국은행 왕유신(王有鑫) 연구원은 “미국 연방준비제도에 의한 금리인상 지속과 유로화 약세 등의 영향으로 외부 달러지수가 계속 상승하면서, 위안화 환율 조정에 압력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다른 비달러 통화에 비해 위안화 가치 하락의
아프리카 스마트폰 시장에서 중국 스마트폰 브랜드들이 약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프리카 국가들이 5G 네트워크 테스트를 진행하면서, 시민들도 4G 스마트폰을 5G 스마트폰으로 바꾸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아프리카의 5G 네트워크 인프라는 더디게 교체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차세대 인터넷 시대로 변화되고 도입되는 움직이는 꾸준하게 벌어지는 일이다. ‘인터내셔널데이터(International Data)’가 발표한 2분기 자료에 따르면 5G 스마트폰 제조사들은 스마트폰 시장에서 중국 브랜드가 선두를 달리고 있다. 테크노(Tecno), 인피닉스(Infinix), 아이텔(Itel), 브랜드를 생산하고 있는 스마트폰 제조사 텔레콤홀딩스(Telecom Holdings)가 2022년 2분기 삼성전자를 제치고 48%의 시장점유율을 아프리카에서 기록한 상황이다. 삼성전자의 출하량은 11.3% 감소한 25.8%를 차지했다. 점유율 3위인 샤오미도 중국 회사로 아프리카 휴대전화 시장에서 6.6%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가장 비싼 스마트폰인 애플은 폐쇄회로(CC)TV 때문에 이 시장에 계속 진출하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중국 IT기업 샤오미(Xiaomi)가 국영 자동차 기업인 베이징자동차그룹(BAIC)와 전기차 생산을 위한 협상에 들어갔다. 베이징자동차 그룹은 현대자동차와 합작사인 ‘베이징 현대(Beijing Hyundai)’는 베이징에 3개의 조립공장을 두고 있으며, 샤오미는 2024년까지 자체 전기차 양산을 위해 위탁생산과 공장에 출자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며, 또한 베이징 현대의 2공장을 인수하는 방안도 염두에 두고 있다. 전기차 생산에 나선 샤오미는 정부당국으로부터 전기차 사업 면허 승인을 받지 못한 상황이다. 전기차 생산 시장에 많은 기업들이 뛰어들어 공장 설립을 허가하는 것을 중국 정부가 석연치 않아 한다는 점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샤오미는 기존 제조업체와 손잡고 전기차 생산에 돌입하는 전기차 스타트업과 기존 자동차 회사의 파트너십을 추진하고 있다. 중국 전기차업체 니오(NIO)도 안후이성 정부 소유의 장화이자동차그룹(JAC)과 제휴했다. 이같은 합작 소식에 홍콩 증시에서 샤오미 주가는 전일 대비 3.15% 급등했다.
싱가포르 연합조보가 중국 기업들이 제조업 대국으로서 ‘메이드 인 차이나’라는 꼬리표가 세계의 공장 동남아에서 지조(智造, 스마트 제조)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해당 보도에 따르면 기존에는 단순 제조로만 이용되던 동남아시아 시장이 이제는 해외시장을 개척하기 위한 브랜딩이 이루어지고 있다. 인구가 많은 동남아시아 시장은 의류‧관광‧제품‧외식 등 다양한 중국 브랜드의 필수 진출지로 꼽히면서 서방 기업들과 경쟁하는 장소라고 언급하면서 선진 중인 샤오미(Xiami) 스마트폰을 예시로 들었다. 샤오미는 2021년 2분기에 삼성을 제치고 스마트폰 공급업체 리딩 기업이 됐으며 200명의 직원을 고용 중이며 싱가포르‧말레이시아‧태국‧베트남‧필리핀‧캄보디아‧라오스‧인도네시아에 사무소를 두고 있다. 디지털 시대에 Z세대와 같은 젊은 소비층을 겨냥해 샤오미의 스마트 제품이나 틱톡의 짧은 동영상, 텐센트의 온라인 게임 등 다양한 신세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에서 경쟁력을 확보해 나가고 있다. 이러한 전략은 기존 ‘메이드 인 차이나’가 가지고 있던, 단순 저가격 전략을 벗어나 Z세대 소비자들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게 한 요인이 됐다. 예를 들어 훠궈(샤브샤브) 체인점 ‘하이디라오’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