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캐피탈(VC)의 대형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2017년에 투자업계 최초로 한국투자파트너스가 벤처펀드 운용자산(AUM)이 1조 원을 돌파한데 이어 AUM 1조 원을 넘는 벤처캐피탈이 2021년 연말에는 10여 개에 육박할 전망이다. 2021년 9월 말 기준으로 AUM ‘1조 클럽’에 한국투자파트너스, KB인베스트먼트,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 소프트뱅크벤처스, KTB네트워크 등 5개 벤처캐피탈이 이름을 올렸다. 이는 사모투자펀드(PEF)를 제외하고 벤처펀드만을 합친 기준이다. 벤처캐피탈은 주로 벤처펀드와 사모투자펀드의 2가지 방식으로 자금을 운용하는데 벤처펀드는 초‧중기 단계 스타트업에 투자하고 사모투자펀드는 성장단계에 있는 대규모 자금을 공급하는데 쓰인다. 5개 벤처캐피탈이 ‘1조 클럽’에 가입한데 이어 LB인베스트먼트, SBI인베스트먼트, 인터베스트, IMM인베스트먼트, 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먼트도 AUM 1조원 달성을 초읽기에 들어갔다. 9월 말 기준으로 5개 벤처캐피탈이며, IMM 인베스트는 10월에 1조 원을 넘어섰기 때문에 실제는 6개 벤처캐피탈이 1조 클럽인 셈이다. IMM인베스트먼트는 9월과 10월에 걸쳐 3000억 원 규모의 벤처펀드를 결성했다. 9
경영참여형 사모펀드 운용사(PE)와 벤처캐피탈(VC)이 투자 과정에서 맞붙는 모습이 계속 나타나고 있다. 특히 유망 스타트업의 투자에선 PE와 VC가 구분 없이 투자를 집행하는 모습이다. 일반적으로 PE와 VC는 투자 집행단계와 규모에서 구분이 가능하다. 벤처 캐피탈(VC)은 가능성이 있는 스타트업에 투자해 기업의 초기 성장을 지원하는 것이 주된 투자 포트폴리오라면 사모펀드(PE)는 벤처캐피탈의 투자 이후 더 큰 규모로 자금을 투입해 기업의 추가 성장과 안정을 지원한다. 벤처캐피탈 투자 단계를 통과한 뒤 사모펀드의 투자를 받고 바이아웃(Buy-Out)이나 기업공개(IPO)로 넘어가는 게 일반적인 흐름이다. 하지만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혁신기업의 등장으로 경계선이 점차 흐려지고 있는 추세다. 스타트업들이 시리즈 A, B, C 등 벤처캐피탈의 투자를 받아 성장하는 것을 보며 투자를 하면 됐지만, 투자할 만한 기업의 성장 속도가 점차 가속화되면서 이전과 같은 방식으로는 투자의 적기를 놓치게 되면서 사모펀드가 투자 결정의 단계를 앞당기게 된 것이다. 카카오모빌리티가 2021년 2월 칼라일그룹으로부터 2억 달러(원화 약 2374억 원)를 유치했고 크래프톤 역시 기업공
위드코로나(With Corona) 시대에 행사‧전시회‧여행 등이 비대면으로 넘어오면서 관련 스타트업 역시 비대면으로 넘어오고 있다. 10월 22일 뉴패러다임인베스트먼트는 5호 펀드를 결성해 1번째 투자처로 예술특화 메타버스 스타트업인 믐(MEUM)을 선정하고 시드 투자를 단행했다고 밝혔다. 믐(MEUM)에서 창작자(Creator)는 자신만의 스튜디오를 만들고 그 안에 작품을 배치해 배경음악을 흐르게 하거나 전시를 진행할 수 있다. ‘므미’라는 이름의 아바타를 만들어 커뮤니케이션도 가능하다. 헤어 스타일, 액세서리, 옷, 피부 등은 개인의 개성에 맞게 선택이 가능해 전시 놀이터로 꾸며진 플랫폼으로 새로운 소비층은 MZ세대와의 접점을 확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믐 김휘재 대표는 “플랫폼 ‘믐’은 미술분야 시장과 메타버스 성장예측 시장, AR/VR/MR 콘텐츠 시장을 타킷으로 하고 있다. 예술인들이 겪는 비용적인 고충이나 저작권과 관련된 법적 문제 해결을 돕는데도 앞장서고 있다. 특히 작가가 온라인 데이터로 작품 이미지를 CCL라이선스 조건으로 판매할 수 있어 판매수익도 기대할 수 있다는게 장점”이라고 전했다. 믐은 국내 전문 미술작가의 80% 이상 점유와 미
글로벌 페이먼트 서비스 ‘트래블페이’을 운영 중인 핀테크 기업 ‘트래블월렛’이 ▲신한벤처투자 ▲신한캐피탈 등에서 30억원을 추가 투자를 받아 시리즈B 라운드를 188억원으로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지난 9월 트래블월렛은 시리즈B 라운드에서 ▲KDB산업은행 ▲한화투자증권 ▲키움인베스트먼트 ▲SK증권 ▲수앤파트너스 ▲서울대학교기술지주 등에서 155억 원을 투자받았다. 이번 추가 투자까지 포함해서 금융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대형 금융사들이 투자사로 참여했으며, 투자 후 트래블월렛의 글로벌 페이먼트 서비스와의 다양한 협업을 준비하고 있다. 지난 1월 트래블월렛(Travel Wallet)은 해외여행이나 해외 직구 시 환전 수수료 없이 사용 가능한 글로벌 지불결제 서비스 ‘트래블페이’(Travel Pay)를 출시했다. 트래블페이는 트래블월렛 앱을 통해 15개국 통화 중 원하는 외화를 환전하면, 해외이용수수료 및 환전수수료 없이 전 세계 8000만 곳의 Visa 온・오프라인 가맹점에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트래블월렛은 기존의 복잡한 국제정산 및 결제과정을 단순화하고, 자체적으로 최신 외환 트레이딩 시스템을 구축하면서, 기존의 국제거래에서 발생하던 비용을 대
“동남아시아가 단순 제조 기지를 넘어 중요한 글로벌 소비 시장으로 주목된다.” 킬사글로벌(KILSA Global)이 서울창업허브, 글로벌 가전기업 하이얼(HAIER)과 함께 서울시가 주최하는 글로벌 스타트업 대축제인 ‘Try Everything 2021’을 통해 글로벌 진출 역량을 가진 스타트업을 발굴한다. 또한 하이얼과 제품 상용화를 위한 P.O.C(글로벌진출지원, 투자유치 연계, 사무공간지원 등) 까지 연계 한다고 13일 밝혔다. 킬사글로벌은 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동남아시아 시장 진출 전문 서비스기업이다. 한국,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베트남, 태국, 말레이시아에 거점을 두고 혁신적인 창업과 기업을 세계에 알리기 위해 시장 진입 실행 및 비즈니스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서울시 창업지원기관인 서울창업허브의 글로벌 허브 파트너사이자, 하이얼의 공식 파트너로서 서울창업허브와 하이얼의 파트너십 체결을 추진했다. 글로벌 스타트업 행사인 ‘Try Everything 2021’의 메인 프로그램 중 하나인 호퍼 오픈 이노베이션(HOPER Open Innovation)을 함께 진행하며 하이얼과 함께 스마트홈과 가전 부문 글로벌 잠재력을 갖춘 스타트업들을 발굴할 예
당근마켓이 1800억 원 규모의 투자 유치에 성공하면서 기업가치가 3조 원으로 인정받았다. 지난 5일 지역 기반 중고거래앱 당근마켓은 2년 전 기업 가치 2000억 원에서 이번 투자 유치를 통해 기업 가치 3조 원 규모의 유니콘 기업이 됐다. 유니콘 기업은 기업 가치가 1조원 이상의 비상장 스타트업을 의미한다. 이번 시리즈D 투자에는 기존 투자사인 알토스벤처스, 굿워터캐피털, 스토롱벤처스, 소프트뱅크벤처스, 캡스톤파트너스, 카카오벤처스가 다시 참여했고, 신규 투자자로는 홍콩계 벤처캐피탈인 에스펙스매니지먼트가 참여했다. 당근마켓은 2021년 4월 기준 주간 이용자 수만 1000만 명을 넘기면서 지역 밀착형 커머스의 대표적인 서비스로 자리잡았다. 코로나19가 유행한 이후 월 이용자 수가 3배 가까이 늘어났고 2021년 2분기를 기점으로 전국 단위 마케팅에 나섰다. 이를 위한 실탄과 인력 확충을 위해 대규모 투자에 나섰고, 당초 1000억 원 규모의 투자 유치가 예상됐으나 중고거래 분야의 시장 확장성에 주목한 투자사들이 몰리면서 1800억 원의 투자가 이루어지게 됐다. 당근마켓은 서비스 범위를 세탁‧이사‧구인‧구직 등으로 확대하고 업체들과도 제휴에 나섰다. GS2
아랍에미리트연합(UAE)의 국책 투자펀드 무바달라(Mubadala)가 미국 바이오시뮬레이션 기업인 서타라(Certara)에 2억 5000만 달러(한화 약 2869억 원)을 투자했다. 나스닥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서타라는 시뮬레이션 바이오테크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기업이다. 백신이나 의약품을 만드는 사이클 기간을 대폭 줄이고 비용을 절감해 약물의 발견과 개발을 가속화하고 기술 지원 서비스 등 바이오 시뮬레이션을 사용하는 원천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60여 개국에 산재된 1600개 이상의 글로벌 아이오 제약회사와 학술기관들이 서타라의 고객사들이며 바이오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약품들은 FDA의 신약 승인에서 90% 이상 성공했다. 신약에 대해 충족되지 않은 인상적 요구를 해결하고 소요 비용 절감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혁신이 가능하게 되어 생명과학 포트폴리오를 확장하려는 무바달라의 장기전략을 위해 투자가 성사됐다. 8월 2일 마감 예정인 비공개 거래에서 961만 주 이상의 서타라 주식을 주주로부터 주당 26달러에 매입하는 협상을 무바달라와 투자회사 EQT 사이에서 체결됐다. 서타라 윌리엄 에피리 CEO는 “지속적인 가치 창출에 초점을 맞춘 생명과학 분야에
케냐의 수도 나이로비가 아프리카의 금융허브로 거듭날지 귀추가 주목된다. 지난 27일 영국과 케냐는 동아프리카에 국제 사회의 투자가 이루어지도록 향후 5년 안에 최소 20억 달러(한화 약 2조 3028억 원) 규모의 무역이 성사되는 것을 목표로 삼고 런던과 나이로비 증권거래소 간의 긴밀한 관계를 구축하고 주식 등록 절차를 간소화하기로 합의했다. 영국 정부는 케냐에 200억 케냐 실링(한화 약 2118억 2080만)을 투자한다고 발표했다. 케냐의 경제발전전략 ‘비전 2030(Vision 2030)은 2030년까지 연평균 10% 경제성장 및 중진국 진입을 위한 경제발전 전략이다.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안정적 식량공급’, ‘제조업 활성화’, ‘의료‧보건 향상’, ‘서민 주택보급’ 등 4가지 어젠다(Agenda)를 추진하고 있다. 한국 정부 역시 케냐의 정책 기조에 맞추어 경제 협력을 추진 중이다. 지난 7월 18일 산업통상자원부는 케냐 산업통상기업개발부와 무역 투자 확대와 산업협력 강화에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 박진규 차관은 “아프리카자유무역지대(AfCFTA)의 출범으로 케냐와의 소비재, 의료‧보건 등 다양한 협력이 강화될 것을 기대하고 케냐가 동아프리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