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가 미국의 상호관세를 낮추기 위해 미국산 원유와 액화석유가스(LPG) 수입을 지금보다 100억 달러(원화 약 14조 3,000억 원)를 늘리는 방안을 제안할 계획이다. 4월 16일 CNN인도네시아 등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에너지광물자원부 바흐릴 라하달리아 장관은 전날 기자들과 만나 미국산 LPG 수입 할당량을 늘리고 원유 수입도 확대해 지금보다 미국산 에너지 수입을 100억 달러 더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다른 미국산 제품 수입도 확대해 지금보다 180억∼190억 달러(원화 약 25조 7,000억∼27조 1,000억 원) 규모로 늘릴 예정이다. 인도네시아는 지난 2024년 미국을 상대로 144억 달러(원화 약 20조 6,000억 원)의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했다. 인도네시아의 대미 주요 수출 품목은 전선과 같은 기타 ▲전자기기 ▲팜유 ▲의류 ▲신발 ▲타이어 등이며 주요 수입 품목은 ▲대두 ▲LPG ▲원유 등이다. 이에 싱크탱크 에너지 시프트 연구소는 “이런 조치를 시행하려면 다른 국가들로부터의 에너지 수입을 줄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장조사기관 케플러에 따르면 인도네시아는 지난 2024년 일평균 217,000 배럴의 LPG를 수입했고 이 중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4~18일 5일간 베트남-말레이시아-캄보디아 국빈 방문을 앞두고 있다. 중국 중앙 텔레비전(CCTV) 산하의 국제 텔레비전 방송 CGTN은 “중국이 우호, 성실, 상호 이익, 포용의 원칙에 따라 어떻게 주변 외교를 추진하고 있으며, 이웃 국가와 미래를 공유하는 공동체를 구축하기 위해 어떻게 노력하고 있는지”에 대한 기사를 게재했다. 이번 순방은 시 주석의 올해 첫 해외 순방이다. 올해 들어 미국-중국의 물러설 수 없는 '관세전쟁'이 시작되었다. 중국은 이에 대처하기 위해 아세안 우방국들과의 결속 다지기로 들어갔다는 분석이 나왔다. ■ 시 주석의 올해 첫 해외 순방...미국-중국 관세전쟁 속 '우방챙기기' 중국 외교부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4~18일 베트남,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등 동남아시아 3개국을 국빈 방문한다"고 11일 발표했다. 이번 3개국 순방은 시 주석의 올해 첫 해외 순방이다. 린젠(Lin Jian)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1일 브리핑에서 “이웃 국가는 중국 외교의 최우선 순위이며, 중국과 동남아 국가들은 미래를 공유하는 좋은 이웃, 좋은 친구, 좋은 파트너”라고 말했다. 린 대변인은 일일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
“중국서 생산량 80%, 아이폰 2배 폭등 의식했나”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스마트폰, 컴퓨터, 하드 드라이브, 반도체 및 반도체 생산 장비 등에 대한 상호관세(Reciprocal Tariff) 부과 면제 조치를 발표했다고 전했다. 미국 관세국경보호국(CBP, Customs and Border Protection)은 11일 오후 10시 36분 ‘특정 물품의 상호관세 제외 안내’ 공고를 홈페이지에 게시하면서 이를 공식화했다. 이 내용에 따르면 스마트폰, 무선통신 기기, 노트북 컴퓨터, SSD, LCD 모니터, 메모리, 태양광 패널, 단결정 반도체 칩, 기타 반도체 장치, 반도체 부품, 직접회로(IC), 광전자 장치 등을 상호관세 부과 면제된다. 이같은 조치는 중국과 대만에 대한 관세 부과로 아이폰과 맥북 가격이 2배 이상 급등하는 것에 대한 미국 소비자들의 반발을 의식했다는 평이 나오고 있다. 현재 아이폰은 전체 생산량의 약 80%를 중국에서 조달하고 있다. 나머지 분량은 인도·베트남·브라질 등 여타 국가로 분산돼 있다. 중국에서 들여오는 품목도 면제 대상이어서 트럼프 정부의 중국에 대한 첫 관세 완화 의미가 담긴다. 삼성전자의 갤럭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올해 첫 해외 행보로 베트남을 찾는다. 11일 베트남 외교부는 시 주석이 오는 14~15일 베트남을 국빈 방문한다고 밝혔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2023년 12월 12일부터 이틀간 베트남을 방문한 바 있다. 2017년 이후 6년만의 국빈방문이었다. 시 주석이 베트남뿐만 아니라 말레이시아-캄보디아 등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3개국을 선택했다. 미-중 관세전쟁 속 세 나라 모두 미국 관세 직격탄 맞았다. 이 때문에 격전지로 떠오른 아세안 우방국들과의 결속 다지기라는 해석이 나온다. 베트남 방문은 지난해 8월 또 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의 중국 국빈 방문 이후 1년이 채 되지 않아 답방이 이뤄졌다. 말레이시아와 캄보디아를 각각 안와르 이브라힘 말레이시아 총리와 노로돔 시하모니 캄보디아 국왕의 초청으로 국빈방문할 예정이다. 시진핑의 베트남을 비롯한 아세안 3개국 방문은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중국 관세 145%라는 초강수와 무관하지 않다. 4월 10일(미국 동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대중 관세를 145%까지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트럼프는 대선 공약에서 보복관세 60%를 때린다고 예고했다. 그런데 취임 두달만에 14
김상식 베트남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이 5월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서 개최되는 아세안 올스타(AFF All-Stars Team)와 맨체스터유나이티드의 친선 경기 지휘봉을 잡는다 아세안축구연맹(AFF)는 10일(한국시간)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김상식 감독은 2025년 5월 28일 부킷 잘릴 국립경기장에서 열리는 메이뱅크 챌린지컵 국제 친선 경기에서 아세안 올스타팀의 지휘봉을 잡는다”라고 발표했다. AFF는 “단순한 축구 경기가 아니다. 스포츠를 통한 리더십, 자부심, 통합 등을 기념하는 행사다. 김 감독의 리더십은 정직함과 규율, 비전을 기반으로 한다. 2024 아시안컵에서 베트남을 무패 우승으로 이끌면서 역량과 신뢰를 보여줬다”고 설명했다. 맨유는 2024/2025 프리미어리그 시즌 종료 직후 아시아 투어에 나선다. 홍콩과 말레이시아에서 두 차례 경기를 갖는다. 먼저 5월 28일 쿠알라룸푸르의 부킷 자릴 국립경기장에서 아세안 올스타와 경기를 하고, 30일에는 홍콩에서 홍콩 대표팀과 맞붙는다. 키예프 사메스 AFF 회장 역시 "김상식 감독은 프로페셔널리즘의 상징이다. 그의 리더십은 선수들 뿐만 아니라 축구를 사랑하는 모든 세대의 선수와 팬들에게 깊은 영광을 줄
한글과컴퓨터(대표 변성준·김연수, 이하 한컴)는 베트남 하노이 국립경제대학교(이하 국립경제대학교)와 인공지능(AI) 기반 디지털 업무 혁신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베트남 국립경제대학교에서 열린 이번 협약식에는 진성식 한컴 최고수익책임자(CRO), 르 쭝 타잉(Le Trung Thanh) 베트남 하노이 국립경제대학교 총장을 비롯한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해 AI 설루션을 활용한 디지털 행정 업무 고도화 및 AI 인재 교육을 위한 긴밀한 협력 관계를 구축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한컴은 국립경제대학교 교직원을 대상으로 AI 기반 문서 작성 도구 ‘한컴어시스턴트’와 지능형 질의응답 설루션 ‘한컴피디아’를 시범 도입하고, 베트남 현지 상황에 맞게 고도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각종 문서 및 증명서의 디지털 전환을 위해 전자서명 설루션 ‘한컴싸인’과 ‘한컴 OCR’ 적용도 협의하고 있다. 양 기관은 8개월 간의 시범 운영 후, 국립경제대학교에 AI 설루션 정식 도입을 추진하고, 이를 기반으로 베트남 내 행정 기관 및 교육 분야로 설루션을 확대할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할 예정이다. 진성식 한컴 CRO는 “이번 협력은 베트남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주나라에서 청나라 전기(1840년 아편전쟁 이전)까지 2000년여를 다룬 천까이윙의 역작 ‘중국대외교류사’(원 제목은 중외교통사, 中外交通史)가 출간되었다. 중국 역대 왕조의 대외관계에 대한 통사다. 저자 천까이윙은 1937년 푸젠성 취아저우에서 태어났다. 중국과 외교의 역사 연구로 매우 저명한 학자로 잘 알려졌다. 함께 옮긴이는 중국과 베트남의 정치경제로 박사학위를 받은국립창원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인 정연식, 한국중국현대문학회장을 역임한 김종현 동아대학교 명예교수, 동아대학교 글로벌비즈니스학과 교수이자 아세안연구소장인 박장식 교수다. ■ 고대로부터 청대에 이르기까지 엄청난 긴 시간의 폭 ‘감탄’ 이 책은 대외교류 역사를 8개 시대로 나누었다. 특이한 것은 고대 중국 대외 교류사에서 항상 지리적으로 중요한 지위를 차지한 것은 홍콩이었다. 당 왕조 때부터 홍콩은 둔문 주변은 남중국해 대외 교통의 요지였다. 광주는 해외로 나갈 때 꼭 거쳐야 하는 곳이었다. 오늘날 홍콩은 ‘동방의 진주’로 칭송되고 세계에서 가장 자유스러운 항구 중 하나다. 동양과 서양이 공존하면서 국제 금융과 무역 등 모든 면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사마천 ‘사기’에 따르면 중국 대
베트남은 과연 한국 게임의 활로가 될 수 있을까? 한국의 내로라하는 게임회사인 엔씨소프트와 넥슨이 베트남 시장을 두드리고 있다. 엔씨소프트는 1일 베트남 게임기업 VNG게임즈(VNGGames)와 합작법인 NCV게임즈(NCV GAMES)를 설립했다고 발표했다. 엔씨소프트가 동남아에 합작법인을 세운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NCV게임즈는 동남아시아 시장을 위한 현지화에 집중했다. 영어, 베트남어, 태국어, 인도네시아어 등 총 5개 국어를 지원한다. 엔씨소프트는 이 법인을 통해 5월 20일 베트남과 태국-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싱가포르-필리핀등 동남아 6개국에서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리니지2M’을 출시한다. VNG게임즈는 베트남 국민메신저 잘로(Zalo)를 운영하는 IT기업 VNG(UPCoM 증권코드 VNZ)의 게임부문 자회사다. VNG게임즈는 베트남의 주요 게임 퍼블리셔중 하나로 동남아와 중국으로 사업 확장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있다. 이미 한국의 라인게임즈와 데브시스터즈 등과 협력한 바 있다. 넥슨은 자회사인 넥슨네트웍스를 통해 베트남 인력 채용에 나서고 있다. 앞서 2022년 넥슨데브비나(Nexon Dev Vina, NDVN)을 설립했다. 넥슨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