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중앙통계국(BPS)은 인도네시아가 5~9월 연속 5개월째 디플레이션을 겪고 있다고 발표했다.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의 여파로 7개월 연속 디플레이션을 겪었던 1999년 이후 최악의 위기라는 말도 나오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코로나19 대유행 기간에도 3개월 연속(2020년 7~9월) 디플레이션을 겪었다. 경제학자들은 5개월 연속 이어진 디플레이션이 구매력 약세나 수요 압박에 따른 것이라고 분석했지만 BPS는 최근 디플레이션 추세가 곡물 생산 비용 하락과 공급 측면 요인 때문이라고 보고 있다. 인도네시아 경제개혁센터(CORE)의 모하마드 파이살 전무이사는 “디플레이션이 경기 부진과 수요 부진으로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인도네시아의 경제성장률이 여전히 5%를 웃도는 상황에서 심상치 않고 우려스러운 대목이다. 인도네시아의 최근 상황이 코로나19 확산 이전보다 사람들의 소득이 더 약해진 상황에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구조조정된 사람들은 현장으로 복귀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나 문제가 된 부분은 중산층으로 분류된 계층이다. 중산층은 인도네시아 경제 성장의 주요 원동력이며, 특히 소비 기여도가 가장 높은 계층인데 가계 소비는 인도네시아 국내총생산(GDP)
무슬림 89%인 인도네시아에서 세계 최대 예수상이 제막되어 화제다. ‘구세주 예수상’(The Jesus Savior Statue)은 61m 높이로 9월 19일 북수마트라 토바 호수 옆 언덕에 세워졌다.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 세워진 39.6미터의 예수상보다 21미터 이상 더 크다. ‘구세주 예수상’은 예수님이 두 팔을 활짝 벌리고 세상을 바라보는 형상이다. 세계에서 가장 깊다고 알려진 토바 호수는 아름다운 자연경관으로 유명해 많은 관광객들이 즐겨 찾는 곳이다. 인도네시아 무슬림(이슬람 신자)은 2억 2000만여 명으로 인구 2억8150만 명(세계 4번째) 중 87%에 달한다. 세계에서 가장 많다. 개신교 신자는 7.5%, 가톨릭신자는 3.1%밖에 되지 않는다. 동남아 무슬림 인구 10명 중 9명 가까이가 살고 있는 인도네시아에 거주한다. 가톨릭신문에 따르면 제막식은 인도네시아 주교회의 의장 수비안토 분자민 주교가 주례했다. 가톨릭신자들과 인도네시아 지방자치단체 인사들이 참석했다. 분자민 주교는 제막식에서 “프란치스코 교황이 9월 6일 인도네시아 방문 기간 중 주인도네시아 교황대사관에서 ‘구세주 예수상’ 미니어처를 축복했고, 이 미니어처와 교황의 축복장을 ‘구
한-아세안센터(사무총장 김재신)는10월 2일(수) 인도네시아 서자바의 수도 반둥(Bandung)에서“디지털 콘텐츠를 활용한 관광지 스토리텔링: 영상을 활용한 효과적인 관광 홍보 우수사례 공유” 세미나를 개최한다. 본 행사는 인도네시아 관광창조경제부(Ministry of Tourism and Creative Economy, MoTCE)와 협력하여 진행되며, 한국과 인도네시아의 관광 콘텐츠 제작 전문가와 업계 종사자들이 교류하는 자리이다. 전문가 컨설팅을 통해 디지털 관광마케팅과 관광활성화 전략 방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며, 이를 바탕으로 양국 간 우수 사례 공유하고,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 협력 및 네트워킹의 장을 제공할 예정이다. 본 세미나는 영상 콘텐츠를 관광 홍보에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루며, 전문가 발표와 방송 제작 후보지 시찰 및 현지 촬영 관련 주요 정보 공유 등의 내용으로 진행한다. SBS의 장경수 부국장, HAJI Factory의 송진선 대표, EBS <세계테마기행>의 양혜정 팀장, 대진대학교의 한우정 영화영상학과 교수, 국제 영화제 수상자 이반 한도요(Ivan Handoyo) 감독과 부디 쿠르니아완(Budi Kurniawa
전 세계 인구 4위의 경제대국인 인도네시아가 2060년 넷제로 달성을 위해 전기차 사용을 장려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교통부 부디 카리야 수마디 장관은 국민들이 녹색교통수단인 전기차(EV)를 더 많이 이용해 녹색교통수단 국가발전 전략을 추진하는데 도움을 줄 것을 당부했다. 전기자동차가 다른 디젤 기관의 차량에 비해 비용이 높게 들기 때문에 인도네시아 정부는 전기자동차를 구입할 시 보조금을 지급하는 정책을 시행 중에 있다. 2030년까지 전기차 200만 대, 전기이륜차 1,300만 대를 보유한다는 목표를 세운 인도네시아는 20204년 5월까지 전기차 14만 4,500만 대가 있다는 통계를 밝힌 상황이다. 또한 2060년까지 넷제로(Netzero)를 달성하는 국가전략을 세웠다. 인도네시아 부디 카리아 수마디 장관은 “우리 모두에게, 특히 미래 세대에 이익이 될 것이 분명하다.”면서 “하지만 쉬운 일이 아니라는 점을 알아야 한다. 전기 오토바이와 자동차는 여전히 가격이 비싸지만 사람들이 전기차를 사용하는 습관을 빨리 길렀으면 좋겠다.”라며 국민들의 전기차 이용에 동참해줄 것을 당부했다.
“교황을 직접 뵈었다. 제 인생에 큰 축복이었다.” 간디 술리스티얀토 전 주한인도네시아 대사가 인도네시아를 방문한 교황을 만난 소식을 아세안익스프레스에게 전해왔다. 그는 “프란치스코 교황(88)의 방문이 저에게 축복과 은총을 가져줄 것으로 정말 상상할 수 없었다. 교황님을 만나자마자 말문이 막혔다.”고 말했다. 아시아-오세아니아 4국 순방을 하고 있는 교황은 지난 7일 자카르타의 글로라 붕 카르노(GBK) 경기장에서 대규모 야외 미사를 집전했다. 인도네시아 당국이 당초 예상한 6만 명보다 많은 사람들이 몰려들었다. 일부는 경기장 밖에서 스크린을 통해 미사에 참여했다. 이날 미사에 참여한 신도는 약 10만 명으로 알려졌다. 인도네시아는 세계 최대 무슬림(이슬람교 신자) 국가다. 인구 2억 8000만명 가운데 90%다. 헌법에서 종교 자유를 보장한다. 가톨릭 신자는 인구의 3%다. 신자는 860만명에 달한다. 필리핀-중국에서 아시아에서 세 번째다. 교황은 조코위 대통령을 만난 이후 이슬람교 고위 지도자를 만났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정치인과 종교 지도자 등 300여명을 대상으로 한 연설에서 다양성 속의 조화를 강조하며 “종교를 앞세운 폭력, 극단주의에 맞서자”라고
조코 위도도(Joko Widodo, 63, 이하 조코위) 대통령 차남 카에상의 지방선거 출마가 무산되었다. 27일 자카르타 포스트 등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는 주지사나 부주지사 후보가 되려면 후보자 등록 시점에 최소 연령이 30세가 되도록 하는 기존 규칙을 유지하기로 했다. 이로 인해 선거법을 바꿔 지방선거에 출마하려던 조코위 대통령 차남의 계획이 결국 무산됐다. 카에상 팡아럽(Kaesang Pangarep, 94년생, 29)은 올해 말 30세가 되기 때문에 현행 선거법으로는 출마할 수 없다. 지난 5월 인도네시아 대법원은 선거법에서 말하는 연령은 후보자가 당선된 후 취임할 때 연령을 기준으로 한다며 올해 선거로 뽑히는 새 주지사는 내년에 취임하는 만큼 카에상도 출마할 수 있다고 해석했다. 인도네시아 선거법을 관할하는 헌법재판소는 지난 20일 대법원 해석을 뒤집었다. 후보 등록일 기준 30세가 돼야 출마가 가능하다고 판단했다. 이번에는 국회는 선거법 개정 총대를 멨다. 조코위 대통령을 지지하는 다수 정당은 대법원 해석대로 선거법상 연령 기준일을 취임일로 바꾸려고 시도했다. 이에 야당을 비롯해 대학생, 시민단체들은 지난 주말까지 대규모 시위
신들의 섬, 천국의 섬, 사랑의 섬 발리(BALI)는 동양의 분위기와 서양의 분위기가 섞여있는 바다가 인상적이다.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큰 힌두교 문화적 영향을 받고 있는 곳이다. 발리 현지인들의 일상생활 속에 힌두교적인 부분이 많이 물들어 있다. 인도네시아는 동남아시아의 적도를 따라 1만 7000개 이상의 섬이 뻗어 있는 군도 국가다. 발리는 번화한 자바섬과 롬복의 매혹적인 아름다움 사이에 자리잡은 인도네시아의 가장 빼어난 관광지다. 이슬람국가인 인도네시아에서 힌두교의 토착 신앙화가 시선을 끄는 곳이다. 자연, 종교, 음식 등 측면에서 독창적인 매력을 뽐내는 곳이다. 웅장한 경치와 활기찬 문화로 가득한 발리는 ‘신의 섬’이라는 이름을 얻으며 신들이 거주를 결정하는 지구의 낙원을 닮았다고 불린다. 발리 여행을 위한 소소한 팁. 발리 입국 전에 ‘인도네시아 도착비자’, ‘발리 관광세’, ‘발리 전자세관신고’ 이 3가지는 미리 챙겨야 한다. 발리여행에 떠나기 위해서는 당연히 외국이므로 여권은 챙겨야 한다. 비자는 온라인으로 받아도 되고, 도착해서 공항에서도 받을 수 있다. 관광이 목적인 경우 30일 무비자 입국이 가능하다. 전자 비자를 받은 사람들은 여권만 스캔하
조코 위도도(Joko Widodo) 인도네시아 대통령은 최근 ‘제252024호’를 발행해 새로운 수도 ‘누산타라’(Nusantara) 개발에 외국인 투자자를 유치하기 위한 태스크포스(TF)를 설치하기로 했다. 인도네시아 외교부는 바릴 라하달리아 투자장관 겸 투자조정국장이 이 태스크포스 팀장으로 임명됐다고 밝혔다.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이 발행한 제25/2024호는 특별 작업반의 9가지 과제를 명확히 규정하고 있다. 법안에는 새로운 수도 누산타라의 ▲관리 기관 ▲관련 부처/단체 및 파트너 간의 조정 ▲새로운 수도의 토지 수용 ▲개발 계획 및 공간 계획 및 투자 활동 토지 개발 및 활용 조정 ▲환경 관리에 협력하고 새로운 수도에 대한 투자 활동을 승인 ▲새로운 수도에 대한 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국내외 홍보 활동, 이해 관계자 간의 시너지 촉진 ▲새로운 수도에 대한 금융 센터 개발 ▲새로운 수도에 투자하는 투자자의 사업 허가 신청에 유리한 조건 조성 사업 프로세스 최적화 및 토지 사용권 회수 및 투자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바흐릴 라하다리아 투자장관 겸 투자조정국 의장은 “인도네시아가 누산타라 투자에 관한 수백 건의 양해각서와 투자협력 의향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