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주석 외교부 영사안전국장은 9월 30일(현지 시간) 오전 필리핀 마닐라에서 안 할란도온 루이스(Anne Jalando-on Louis) 필리핀 외교부 영사 담당 차관보와 제6차 한-필리핀 영사협의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는 필리핀 내 우리 국민 보호, 우리 국민들의 필리핀 출입국 및 체류 편익 증진 등 양국간 영사 현안 전반에 대해 폭넓게 논의했다. 한-필리핀 영사협의회 개최는 제5차2023년 9월 서울, 제4차는 2017년 12월 마닐라. 윤 국장은 “1949년 수교 이래 76년간 정치, 경제, 문화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발전을 이루어온 양국간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바탕으로, 영사 분야에서도 양국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내기 위해 앞으로도 긴밀히 협력해 나가자”고 말했다. 이어 “지난해에 필리핀을 방문한 외국인 중 우리 국민이 약 157만명으로 가장 많고, 우리나라를 방문한 아세안 회원국 국민 중 필리핀인의 수가 약 52만명으로 역시 가장 많은 등 양국간 인적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며 “필리핀 내 우리 국민들의 안전한 체류와 출입국 및 체류 편익 증진을 위한 필리핀 측의 각별한 관심과 협조를 당부”했다. 또한 윤 국장은 “앙헬레스, 말
“한-아세안 정상회의 및 APEC 정상회의 성공 위해 긴밀히 소통하자” 박윤주 외교부 제1차관은 9월 24일 오전 외교부 청사에서 부임 예방차 방문한 체쳅 헤라완(Cecep Herawan) 신임 주한인도네시아대사를 접견하고 한-인도네시아 관계 전반에 관하여 의견을 교환하였다. 박 차관은 지난 6월 정상 간 첫 통화 등 고위급에서의 대통령 특사 인도네시아 파견(8.14, 프라보워 수비안토 대통령 예방), 수기오노 외교장관 실무방한(8.21-22, 한-인도네시아 외교장관회담, 국무총리 예방) 등 전략적 소통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평가했다. 이어서 “서로에게 중요한 협력 동반자인 양국이 정치, 경제, 안보, 국제무대 등 제반 분야에서 교류협력을 더욱 확대해 나갈 수 있기”를 기대했다. 양측은 “10월 말 한-아세안 정상회의 및 APEC 정상회의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서도 긴밀히 소통하자”고 하였다. 헤라완 대사는 “이번이 두 번째 한국 근무로서 한국에 대해 각별한 애정을 갖고 있다”고 하고, “한-인도네시아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한층 도약해 가자는 양국 정상의 확고한 의지에 부응할 수 있도록 주한인도네시아대사로서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하였다. 헤라
“추석 연휴, 비행기 타지 않고 떠나는 동남아 미식여행 다녀오세요.” 10월 1일부터 5일간 목포가 아세안 미식수도로 변신한다. 한-아세안센터(사무총장 김재신)는 오는 10월 1일(수)부터 5일(일)까지 전라남도 목포문화예술회관에서 열리는 ‘2025 남도국제미식산업박람회’에서 ‘아세안 파빌리온’을 운영한다. 전시 주제는 ‘동남아의 향신료를 만나다: 10개국이 함께하는 미식 여정’으로, 아세안 10개국의 대표 음식과 향신료를 통해 그 속에 담긴 역사·문화적 이야기를 경험할 특별한 기회로 구성했다. 이번 파빌리온에서는 라오스의 볶음 쌀국수 ‘쿠아 미(Khua Mee)’, 말레이시아의 코코넛 밥 ‘나시 르막(Nasi Lemak)’, 미얀마의 국수 ‘모힝가(Mohinga)’, 싱가포르의 ‘카야 토스트(Kaya Toast)’, 베트남의 ‘넴 꾸온(Nem Cuon)’ 등 아세안 대사관이 선정한 현지에서 즐기는 대표 음식을 직접 맛볼 수 있다. 또한 레몬그라스, 샬롯, 판단 잎, 코코넛 등 수 세기에 걸쳐 아세안 음식 문화를 형성해온 향신료들을 체험 할 수 있는 특별 존이 마련돼, 향신료와 함께 오랜 기간 이어진 교역과 문화 교류, 생활 의례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필리핀이 봉봉 마르코스 대통령이 취임한 이후 가장 큰 위기에 처했다. 2025년 9월 21일 수도 마닐라를 비롯한 전국 20개 이상 도시에서 시위 인파가 몰려들었다. "우리는 일해서 도둑질 대가를 치른다"는 피켓이 등장했다. 시위는 참여 인원이 10만 명을 넘어섰다. 대통령궁 앞에서는 불길이 치솟았고, 시위자들은 타이어를 태웠다. 소이병을 투척했으며, 방범 경찰은 물대포와 최루 가스를 동원했다. 2013년 이후 가장 큰 규모의 국민저항이었다. 곡효운 광운대 교수는 페이스북을 통해 “그 격렬한 장면은 마치 역사가 1970년대 마르코스 전 대통령이 계엄을 선포했던 순간으로 돌아간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켰다”고 표현했다. 왜 필리핀의 국민들은 분노했을까? 표면적으로는 대통령 사촌인 하원의장 마틴 로무알데스가 주도한 약 5000억 필리핀페소(약 12조3000억원)의 예산이 투입, 3년간 진행된 홍수방지 사업에서 최대 2조 8,800억 원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한 때문이다. 공교롭게도 전국 시위를 하기로 한 9월 21일은 두테르테 전 대통령이 호소한 '전국 항의의 날'이자, 1972년 마르코스 전 대통령이 전국 계엄을 선포한 기념일이었다. 곡효운 교수는 이번 시위의 배경
베트남은 올해 20호 태풍 부알로이(Bualoi)의 상륙을 앞두고 25만 명 이상의 주민들을 해안 지역에서 대피시킨다. 현지 미디어 베트남뉴스에 따르면 ‘베트남 당국은 28일, 태풍 부알로이의 상륙을 앞두고 25만 명 이상의 주민들을 해안 지역에서 대피시킨다. 부알로이 태풍은 베트남의 철강 생산 중심 벨트를 강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베트남 국립수력기상예보센터는 태풍인 부알로이는 현재 해상에서 시속 130km의 바람을 동반하고 있다고 전하며, 28일 오후 7시(한국시간 오후 9시)에 상륙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발표했다. 베트남 중부 최대 도시 다낭은 21만 명 이상을 대피시킬 계획이다. 해안 지역 인근에 거주하는 후에 주민 3만2000명 이상도 안전한 지역으로 이동할 예정이다. 주요 철강 생산 중심지인 하띤에선 1만5000명 이상의 주민들이 임시 대피소로 개조된 학교와 의료 센터로 대피할 예정이다. 9월 28일부터 30일까지 북중부 지방과 북부 지역에 걸쳐 총 200-350mm의 폭우가 예상된다. 일부 지역에서는 500mm 이상의 폭우가 내릴 것으로 예상된다. 주요 강들이 상승하고 있어 심각한 홍수와 광범위한 혼란의 위험이 커지고 있다.
태국 사뭇 사콘(SAMUT SAKHON)에서 합법적으로 일하는 미얀마 출신 이주 노동자들은 앞으로 다른 국가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없다. 미얀마 현지 미디어 애드쇼파르는 “9월 25일자로 미얀마 정부가 발급하는 일자리 전용여권(PJ, Passports for Jobsi)을 이용하는 이주 노동자들이 최근 사뭇 사콘에 위치한 미얀마 정부 사무소에서 신원증명서(CI, Certificate of Identification)를 통해 PJ를 신청할 경우 태국전용여권이라는 스탬프가 찍혀 발급된다”고 전했다. 이전까지는 PJ 소지자는 태국 외 다른 국가로 이동이 가능했다. 하지만 앞으로 사뭇 사콘 CI사무소에서 발급되는 모든 PJ에 해당 스탬프가 들어간다고 현지 에이전트들이 전했다. 사뭇 사콘은 태국에서 가장 큰 소금밭으로 유명하다. 태국에서 미얀마 노동자 커뮤니티가 가장 큰 지역 중 하나다. CI는 미얀마 군부 정권이 발급하는 공식 신원증명서로 불법 이주자의 신분을 미얀마 시민으로 확인해주며 태국 내 합법 체류와 취업을 가능하게 준다. 이번 이주 정책 변경의 배경은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았다. 최근 미얀마 군부가 시민의 해외 이동을 지속적으로 제한하는 조치의 일환으로 해석
“인도네시아에서 HEMS 전기오토바이 시대 연다.” 인도네시아의 BLM(PT Baterai Listrik Motorindo, 회장 박재한)와 한국의 지스타 모빌리티(GSTA MOBILITY, 회장 김종필)가 9월 28일 자카르타 인근 자바베카 산업단지에서 전기 오토바이 현지 생산 및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eMOA’는 박재한 인도네시아 한인회장이 운영하는 전기오토바이 브랜드다. 인도네시아 한인기업이 현지에서 공식 런칭한 최초의 전기오토바이 생산-조립 공장 브랜드다. 2024년 9월 5일 찌까랑에서 공식 출범했다. ■ “한국의 HEMS 첨단 기술력, 긴 충전시간-배터리 안전성 확보” 이번 협약은 한국의 기술력 있는 지스타모빌리티와 인도네시아 한인회장이 운영하는 전기오토바이 제조사 ‘eMOA’이 손을 잡았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핵심은 한국의 첨단 배터리 관리 기술인 HEMS(Hybrid Energy Management System)을 인도네시아 전기 오토바이에 적용하는 것이다. HEMS는 리튬이온 배터리에 슈퍼캐패시터(Super Capacitor)를 결합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이다. 급가속이나 언덕 주행처럼 순간적으로 많
베트남 권력서열 1인자인 또 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이 10월 북한을 방문할 예정이라고 로이터통신이 베트남 관리들을 인용해 밝혔다. 럼 서기장은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 방문 일정과 논의 주제 등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방북 준비는 아직 진행 중이며, 양측 모두 공식 발표하지 않은 상태다. 베트남 지도자가 북한을 찾는 것은 2007년 농 득 마인 당시 서기장이 사흘간 방북한 이후 처음이다. 2019년 김 총비서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위해 하노이를 방문했으나 당시 베트남 정상과의 회담은 이뤄지지 않았다. 럼 서기장은 8월 10~13일 나흘간 국빈 자격으로 한국을 방문하기도 했다.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한국을 찾은 첫 외국 정상 방문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