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아세안센터, ‘2025 아세안 위크’ 11월 11일 팡파르

11월 11~16일, 서울-제주-일산 개최, 한-아세안 미디어 포럼 등 주목

 

“서울-제주-일산서 한국과 아세안, 문화-경제-미디어 간 교류장 열렸다.”

 

한-아세안센터(사무총장 김재신)는 오는 11월 11일부터 16일까지 서울과 제주, 일산에서 ‘2025 아세안 위크(ASEAN Week 2025)’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최근 말레이시아에서 개최된 한-아세안 정상회의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한-아세안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 발전을 위한 비전을 제시한 데 이어, 이러한 협력 비전을 민간 차원에서 이어가는 포괄적인 교류의 장으로 기획되었다.

 

2019년 처음 개막한 아세안 위크는 매년 개최되어 아세안과 한국을 잇는 대표적인 교류의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올해 아세안 위크는 △한-아세안 올레 10개국 벤치 조성 기념식 및 현장 시찰 △아세안 언론인 초청 프로그램 및 한-아세안 미디어 포럼 △2025 아세안 무역전시회 등의 주요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이를 통해 한-아세안센터는 문화·경제·미디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질 교류를 확대하고, 한국과 아세안의 국민과 함께하는 협력을 추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 제주 올레에 세워진 아세안 10개 회원국 상징 벤치

 

아세안 위크는 11월 11일 제주 파르나스 호텔에서 열리는 한-아세안 올레 10개국 벤치 조성 기념식으로 시작된다.

 

이번 행사는 한-아세안센터가 제주특별자치도, 사단법인 제주올레와 협력하여, 지난해 한-아세안 대화관계 수립 35주년을 기념해 제주 올레 8코스를 ‘한-아세안 올레’로 명명한 것을 확장하여, 아세안 여행객의 제주 방문을 활성화하고 두 지역 간 문화·관광 교류를 촉진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올해에는 한-아세안 올레에 아세안 10개국을 상징하는 디자인의 벤치 10개를 설치해 한국과 아세안의 상호 우정을 기념한다. 기념식은 주한 아세안 대사단, 제주특별자치도 정무부지사, 제주올레재단 대표, 아세안 10개국 주요 언론인 등 약 10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 한국과 아세안 언론인이 함께하는 미디어 포럼

 

한-아세안센터는 11월 11일부터 15일까지 ‘아세안 언론인 초청 프로그램’도 진행한다. 동 프로그램은 한-아세안센터의 주요 사업과 양 지역의 친밀한 관계를 아세안 지역 언론에 널리 알리는 동시에 양 지역 언론인 간 네트워크를 강화하기 위해 준비되었다.

 

센터는 주한 아세안 대사관 및 아시아뉴스네트워크(ANN)에서 추천한 아세안 10개 회원국 언론인 약 20여명을 초청하여, ‘2025 아세안 위크’의 주요 프로그램을 보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참가 언론인들은 서울·제주·일산 일정을 소화하며 아세안 위크 행사 현장 취재, 한국 정부 관계자 및 주한 아세안 회원국 대사 인터뷰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11월 12일에는 한국언론진흥재단과 함께 ‘한-아세안 미디어 포럼’을 개최한다.

 

이번 포럼에서는 ‘한-아세안 포괄적 전략 파트너십의 미래’와 ‘한-아세안 문화 교류의 미래: K-컬쳐를 매개로’를 주제로 아세안과 한국의 기자들이 한데 모여 한-아세안 관계의 발전 방향을 논의할 예정이다.

 

■ 아세안의 맛과 한국 시장이 만나는 아세안 무역전시회

 

11월 13일부터 16일까지 일산 킨텍스 제2전시장 6홀에서는 ‘2025 아세안 무역전시회’가 개최된다. 이번 무역전시회에는 아세안 10개국의 총 80개 식음료 기업이 참가해 현지의 대표 식품·음료 제품을 선보이고, 한국 바이어들과 비즈니스 상담을 진행한다.

 

전시장은 △식음료 부스 전시존 △아세안 국가 홍보관 △B2B 비즈니스 미팅존 △아세안 마켓존으로 구성된다. 각국 부스에서는 카야잼, 커피, 쿠키, 초콜릿, 말린 과일 등 아세안을 상징하는 다양한 식음료 제품을 소개하며, 비즈니스 미팅존에서는 국내 바이어와 아세안 기업 간의 1:1 상담이 진행될 예정이다.

 

김재신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은 “이번 ‘2025 아세안 위크’는 문화, 경제, 미디어와 같은 다양한 분야를 주제로 하여 한국과 아세안의 주요 인사와 언론인들이 함께하는 자리로 마련되었다”고 설명하고, “올해 아세안 위크를 계기로 한국과 아세안이 포괄적 전략동반자 관계에 부합하는 실질 협력을 확대하고 민간 차원의 교류를 활성화하여 양 지역 간 신뢰와 연대를 보다 공고히 해 나가길 바란다”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포토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