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앙코르와트의 나라 '빨간 바나나'를 아시나요?" 외교부가 페이스북을 통해 '메콩강의 기적을 꿈꾸는' 캄보디아를 소개했다. 25~27일 부산에서 개최되는 한-아세안(ASEAN, 동남아시아국가연합) 대화관계 수립 30주년을 기념하는 '2019 한-아세안특별정상회의'를 앞두고 카드뉴스를 기획했다. 세계문화유산 ‘앙코르와트’의 나라 캄보디아는 지난 10년간 연 7% 경제성장률을 지속하며 발전을 이어가고 있는 유망한 생산기지이자 한·아세안, 한·메콩을 이어줄 파트너로 손꼽히고 있다. 한국과 캄보디아는 1997년 재수교 후 비약적으로 발전 중에 있다. 두 나라 간 교역은 재수교 당시보다 현재 20배 가까이 증가하였으며 200개가 넘는 한국 기업이 캄보디아에 진출해 있다. 한-캄보디아 다문화가정만도 9000쌍으로 훈센 총리는 '사돈국가'라고 칭했다 . 35세 이하 인구가 전체 60%를 차지한 역동적인 국가 캄보디아는 한국과 전통적인 봉제,농업 분야뿐 아니라 금융, IT, 환경 등 새로운 분야의 경제 협력을 강화 중에 있다. 올해 3월 캄보디아를 국빈 방문한 문재인 대통령은 “캄보디아는 한국의 2대 개발협력 파트너이자 신남방정책의 중요한 협력 파트너다”라고 말한 바 있다
캄보디아 정부는 프랑스로 망명했던 야당 지도자 삼 랑시(Sam Rainsy)의 “귀국을 좌절시켰다”고 선언했다. 이 때문에 9일 캄보디아와 인접한 말레이시아에 도착한 삼 랑시 전 캄보디아구국당(CNRP) 대표의 귀국 계획이 완전히 무산된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현지 언론과 외신에 따르면 캄보디아 정부는 13일(현지 시각) 성명에서 “반역자 삼 랑시에 의한 쿠데타 기도를 완벽하게 좌절시켰다. 공공질서와 안보가 확고하게 지켜지고 있다”고 밝혔다. 캄보디아 정부는 그동안 삼 랑시가 캄보디아로 오는 항공편을 막고 이웃 국가들에 입국 불허를 요청했다. 태국은 7일 삼 랑시가 자국으로 들어오는 비행기에 탑승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삼 랑시는 말레이시아로 행선지를 바꿨다. 그동안 캄보디아에서는 삼 랑시가 11월 9일 캄보디아 독립기념일에 귀국을 예고해 긴장이 높아졌다. 특히 11월 10일 캄보디아 최대축제 물축제 본옴툭이 프놈펜 메콩강에서 시작되어 더욱 주목을 받았다. 인터넷상에서는 9일을 상징하고 삼 랑시의 귀국을 지지하는 표시로 ‘9개의 손가락’ 캠페인이 일어나기도 했다. 훈센 정부는 이 캠페인에 대해 법적인 처벌하겠다는 공표를 했다. 삼
캄보디아의 제1야당 CNRP(캄보디아구국당) 삼 랑시(Sam Rainsy) 전 대표가 11월 9일 캄보디아 독립기념일에 맞추어 귀국할 예정이라고 선언해 정국이 소용돌이칠 것으로 보인다. CNRP는 지난해 11월 대법원의 명령으로 강제 해산당했다. 랑시 전 대표는 현재 프랑스에서 망명 중이다. 주 캄보디아 한국대사관은 “실제 이러한 상황이 생길 경우 캄보디아 국내 정세가 혼란스러워질 우려가 있습니다”고 안전유의를 공지했다. 특히 물축제(11.10-11.12) 연휴 기간에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장소에 출입을 가급적 자제해 달라고 부탁했다. 또한 시위 발생시 최대한 신속하게 현장에서 벗어나라고 당부했다. 아래는 주 캄보디아 한국대사관의 한국민 안전 유의 전문 프랑스에서 망명중인 캄보디아 야권인사 '삼 랑시'가 11.9(토) 캄보디아 독립기념일에 맞추어 귀국할 예정이라고 선언하였습니다. 실제 이러한 상황이 생길 경우 캄보디아 국내 정세가 혼란스러워질 우려가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 국민들께서는 물축제(11.10-11.12) 연휴기간에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장소에 출입을 가급적 자제해 주시고 시위 발생시 최대한 신속하게 현장에서 벗어나주시기 바랍니
JB금융그룹(회장 김기홍) 손자회사인 프놈펜상업은행(PPCBank)이 캄보디아 현지 마케팅을 강화했다. 프놈펜상업은행은 캄보디아 시엠레아프 지역에서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옥외광고를 선보였다고 24일 밝혔다. 옥외광고 캠페인 하단에 ‘어서오십시오’와 ‘전북은행’ 등이 한글로 표기돼 소비자들의 눈길을 끌었다. 또한 캄보디아 태권도 선수단의 한국 전지훈련도 지원한다. 은행은 캄보디아 출신 프로당구선수 프롱 피아비를 명예 홍보대사로 선정, 홍보효과를 톡톡히 누리기도 했다. JB금융그룹은 2016년 8월 프놈펜상업은행을 전북은행의 자회사로 인수했다. 전체 직원의 98%가 캄보디아 현지인이며 영업점 19곳을 운영 중이다. 프놈펜상업은행은 현지화에 성공, 매년 두자리 수 성장세를 기록 중이다. 올해 상반기 이자이익은 19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44억 원)보다 32.7% 늘어났다. 상반기 당기순이익은 인수 이후 처음으로 100억원을 돌파했다.
“박카스 한류, 들어봤나요?” 아세안(ASEAN) 국가로 베트남과 태국-라오스와 접경을 맞대고 있는 나라 캄보디아에는 ‘박카스 한류’가 뜨겁다. 그것도 진출 10여년 만에 에너지 드렁크 시장의 부동의 1위로 우뚝 섰다. ‘박카스’는 캄보디아 전국 어디 가나 볼 수 있고, 가장 사랑받은 국민음료다. 한류스타 홍보 없이 한 해 2억 캔이 팔린다. 박재석 동아ST 해외팀장은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 베트남-아세안 글로벌 비즈니스 최고위 특강에서 “한국에서는 박카스를 한 해 1인당 3병을 마신다. 캄보디아서는 13캔까지 즐긴다. 거의 ‘마니아’ 수준”이라고 말했다. 그렇다면 박카스가 캄보디아 시장 점유율 1위에 오른 비결을 무엇일까. ■ 박카스, 강력한 ‘브랜드 파워’ 에너지드링크 시장 1위 우뚝 캄보디아 에너지 드링크 시장의 빅3는 한국의 박카스와 태국의 카라바와 레드불이다. 2009년 박카스가 캄보디아에 첫 발을 들여놓을 때는 레드불이 1위였다. 박카스는 3년 되는 해부터 시장점유율이 치고올라가 이제 독보적인 1위다. 박재석 팀장은 “박카스는 에너지음료 최초로 TV 광고를 했다. 옥외 광고도 최초로 했다. 이로 인해 블루마켓을 선점하는 효과를 발휘했다
“메콩강 벨트 경제권의 중심지 캄보디아를 주목하라.” (사)한아세안포럼과 캄보디아 교류협회가 ‘한국과 캄보디아 양국간의 경제협력 방안’이란 주제로 2019년 국제심포지움을 연다. 장소는 6월 3일 오전 9시부터 오후 7시까지 국회도서관대강당이다. 중국의 팽창주의와 미국의 아메리카 우선주의가 팽배하면서 미중 무역전쟁이 지구촌을 뒤흔들고 있다. 이 같은 국제 정치 속에서 한국 경제상황은 저성장으로 돌아섰다. 세계경제의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현실 속에서 한국 경제가 취해야 할 전략과 전술은 무엇일까. 심포지움은 더불어민주당 동북아특별위원회가 주최한다. 아세안(ASEAN) 국가에 진출하고자 하는 많은 중소기업들에게 구체적인 도움이 되는 방법을 모색한다. 그리고 앞으로 30년간의 먹거리를 창출할 수 있는 계기를 찾아본다. 해외 귀빈 참석자로는 캄보디아 총리실 경제부총리 임 차이 리(Dr. YIM Chhay Ly), 훈 매니( H.E. Hun Many,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사절단 단장), 부온 사락모니(Mr. BUON Sarakmony) 캄보디아 상무부 차관, 쏙 첸다 소피아(Mr. Sok Chenda Sophea) 캄보디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