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25일 현대모비스는 2025년 1분기 연결 기준 실적을 공시했다. 매출액은 14조 7,520억 원으로 2024년 1분기 매출액 13조 8,692억 원보다 6.4%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7,767억 원으로 2024년 1분기 영업이익 5,427억 원 대비 43.1% 증가했다. 당기순이익은 1조 317억 원으로 19.6% 늘었다. 현대모비스의 2025년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역대 1분기 기준 최대다. 사업 부문별로 매출을 보면 모듈과 핵심부품에서 11조 4,743억 원, AS 사업 부문에서 3조 2,778억 원의 매출을 각각 기록했다. 모듈과 핵심부품 매출은 전장 중심 고부가가치 핵심 부품 확대 적용 등의 영향으로 지난 2024년 1분기보다 4.9% 증가했다. AS 매출도 글로벌 수요 강세 지속과 우호적 환율 등의 영향으로 2024년 같은 기간보다 11.8% 늘었다. 영업이익 증가세에 힘입어 이익률은 5.3%를 기록해 지난 2024년 1분기(3.9%)보다 개선됐다. 현대모비스는 2025년 1분기 글로벌 완성차 고객사를 대상으로 20억 8,000만 달러(원화 약 2조 9,800억 원) 규모의 핵심 부품 수주 실적을 올렸다. 2025년 전체 해외 수주
지난 4월 25일 기아자동차(KIA)가 ‘그린라이트 프로젝트’(Green Light Project)를 통해 아프리카 코트디부아르에 지역 청년들을 위한 정보기술(IT) 교육센터를 열었다고 밝혔다. 그린라이트 프로젝트는 지원이 필요한 지역 사회에 경제, 교육, 보건, 환경 등 성장과 자립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과 인프라를 제공하는 기아의 대표적인 글로벌 사회공헌 활동이다. 지난 4월 23일 기아는 코트디부아르 벤제르빌 시에서 ▲무싸 댜라수바 여성가족아동부 장관 비서실장 ▲브로바 비 다니엘 벤제르빌 부시장 ▲쟈 응고라 파트리스 베띠에 시장 대리인 ▲전수진 주 코트디부아르 대한민국 대사관 영사 ▲이은주 기아 지속가능경영팀장 ▲박광우 기아대책 컨트리 디렉터 등이 참석한 가운데 IT 교육센터 개소식을 진행했다. 코트디부아르는 청년 실업 문제가 심각한 나라로, 특히 IT 교육 환경 및 인프라가 열악해 기본적인 컴퓨터 활용조차 못하는 청년층이 많다. 기아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코트디부아르 벤제르빌 오르뺄리나 국립학교 내 IT 교육센터를 구축했다. 기아는 코트디부아르 청년층을 대상으로 2027년 6월까지 IT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다. 교육 프로그램은 기본교
현대자동차그룹이 인도네시아 수소 생태계 조성을 위한 다자간 협력을 본격화한다. 4월 15일 현대차그룹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글로벌 수소 생태계 서밋 2025’에서 인도네시아 정부 및 국영 에너지기업 페르타미나 홀딩스와 함께 ‘인도네시아 W2H 수소 생태계 조성 프로젝트’의 실행계획을 발표했다. 인도네시아 수소협회(IIFHE)가 주최한 이번 행사에는 인도네시아 에너지광물자원부 바흐릴 라하달리아 장관 등을 비롯한 인도네시아 정부 인사들이 대거 참가했고 국가 차원의 수소 로드맵이 공개됐다. 현대차그룹은 지난 2024년 열린 세계 최대 IT・전자 전시회 ‘CES 2024’에서 인도네시아 서부 자바주에 유기성 폐기물을 수소로 전환하는 ‘자원순환형 수소 솔루션’(W2H)을 도입하겠다고 밝혔었다. W2H는 음식물 쓰레기, 하수 슬러지, 가축 분뇨 등 유기성 폐기물에서 발생한 메탄을 정제해 바이오가스를 만든 후 수소로 변환하는 방식이다. 현대차그룹은 충주시 음식물 바이오센터의 수소 생산 실증 사업, 청주시 공공하수처리장의 청정 수소 생산 시설 구축 사업 등에서 이러한 W2H 모델을 전개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인도네시아 서부 자바주 반둥시 인근 사리묵티 매립지에
현대엔지니어링이 해외 사업에서 1조 2,000억 원 규모의 영업적자를 기록하며 신용등급 전망을 ‘부정적’으로 하향 조정됐다. 지난 4월 7일 NICE(나이스)신용평가는 본평가를 통해 현대엔지니어링의 기업신용등급(ICR)을 ‘AA-’로 유지하고 등급 전망을 ‘부정적’(Negative)으로 조정했다. 지난 1월 22일 현대엔지니어링이 하향 검토 등급 감시 대상에 포함된지 72일 만이다. 기존 하향 검토 등급 감시 대상에서는 제외됐다. 현대엔지니어링은 해외 플랜트 사업장에서 대규모 손실이 발생해 재무안정성이 저하됐고 현금창출 능력이 낮아 차입 부담 확대가 우려된다는 게 신용평가업계의 분석이다. 지난 2024년 연간 실적에서 인도네시아와 사우디아라비아 등의 플랜트 사업 손실 영향으로 영업적자가 1조 2,000억 원에 달했다. 이에 부채비율은 2023년 말 108.0%에서 지난 2024년 241.3%로 상승했고 같은 기간 총차입금도 357억 원에서 5,610억 원으로 급증했다. NICE신용평가는 현대엔지니어링이 그룹사로서 계열 공사 물량을 바탕으로 우수한 사업 안정성을 보유하고 있지만 국내 사업 환경 저하의 영향을 받는다고 평가했다. 현대엔지니어링은 국내 부동산 경기
현대자동차 미국법인이 향후 두 달간 모든 차종의 가격을 인상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미국의 수입차 25% 관세로 인한 소비자들의 불안을 덜어주기 위함이다. 지난 4월 4일 현대차 미국법인은 보도자료를 통해 “역동적인 시장 상황과 관세가 자동차 산업에 미칠 수 있는 잠재적인 영향에 대응해 ‘고객 보증’ 프로그램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해당 보증 프로그램에 따르면 현대차 미국법인은 4월 4일부터 6월 2일까지 두 달간 현재 판매 중인 모든 모델의 권장 소매가(MSRP)를 올리지 않을 예정이다. 현대자동차는 “이 독특한 이니셔티브는 미국 소비자를 지원하고 저렴한 가격을 보호하려는 현대차의 오랜 헌신을 강화한다.”며 “고객은 시장 상황과 관계없이 MSRP가 인상되지 않을 것이란 안도감을 누리고 재정적 안정과 교통수단에 대해 올바른 선택을 할 시간을 얻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는 지난 4월 3일부터 모든 수입 자동차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하하면서 해외에서 생산해 미국에서 판매 중인 모든 차량의 가격 인상이 불가피해졌다. 현대차 호세 무뇨스 사장은 “우리는 소비자들이 가격 상승 가능성에 대해 불확실성을 느끼는 것을 알고 있으며 앞
HD현대일렉트릭(이하 ‘HD현대일렉’)이 국내 최대 용량의 위상조정변압기(PST) 제작에 성공했다. 미국 시장 공략을 위해 고부가가치 특수변압기로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장한 것이다. 지난 4월 2일 HD현대일렉트릭은“653MVA (메가볼트암페어)급 위상조정변압기(사진)의 최종 승인시험을 마쳤다”고 발표했다. HD현대일렉트릭의 제품은 오는 2025년 8월 미국 인베너지가 건설 중인 뉴욕 풍력발전단지에 공급될 예정이다. 인베너지는 미국 최대 재생에너지 발전 기업이다. 위상조정변압기는 전류의 방향과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특수변압기로 통상 300MVA급 이상을 초대형으로 분류한다. 653MVA급은 국내에서 생산되는 위상조정변압기 가운데 최대 규모다. 미국과 유럽에 태양광, 풍력으로 운영되는 대규모 전력발전단지가 많아지면서 초대형 특수변압기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베리파이드마켓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특수변압기 시장 규모는 지난 2024년 25억 달러(원화 약 3조 6,670억 원)에서 2033년 48억 달러(원화 약 7조 406억 원)로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HD현대일렉트릭은 일반 변압기로 벌어들이는 돈을 연구개발(R&D)에 재투자해 고부가가
지난 4월 3일 현대자동차가 경기도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2025 서울모빌리티쇼’에서 차세대 수소전기차(FCEV) ‘디 올 뉴 넥쏘’를 글로벌 최초로 공개했다. 현대차가 공개한 ‘디 올 뉴 넥쏘’(The All-News NEXO)는 수소전기차 넥쏘가 2018년 3월 출시된 지 7년 만에 나온 완전변경 모델이다. 수소전기차 콘셉트카 ‘이니시움’을 기반으로 현대차의 새 디자인 언어 ‘아트 오브 스틸’이 반영됐다. 전면 주간주행등과 후면 콤비램프에 현대차그룹 수소 브랜드 ‘HTWO’ 심볼이 형상화됐고 측면에서는 직선의 라인과 아치 구조를 반영했다. 실내는 부드러운 느낌의 패딩 패턴과 함께 운전자 중심의 파노라믹 커브드 디스플레이, 크래시패드 측면에 일체형으로 탑재된 디지털 사이드 미러(DSM)가 적용됐다. 디 올 뉴 넥쏘는 기존 모델보다 뒤쪽 오버행(차량 끝에서 바퀴 중심까지 거리)이 80㎜ 확장되면서 트렁크 공간도 넓어지면서 트렁크에는 최대 4개의 골프 백을 수납할 수 있다. 또 브랜드 최초로 ‘오디오 바이 뱅앤올룹슨 프리미엄 사운드’가 적용됐다. 폐차 재활용 플라스틱을 비롯한 소재를 내외장재로 사용해 환경친화적인 디자인을 극대화했다. 동력 성능은 인버터 2개
현대자동차(이하 ‘현대차’) 지난 2025년 2월 인도네시아에서 판매 실적이 주춤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지 친환경차 시장이 전기차에서 하이브리드차로 역전환되는 과정에서 ▲싼타페 ▲투싼 하이브리드를 투입해 반전을 꾀했으나, 수요 확보 시기를 놓치면서 월간 판매량은 2,000대 수준에 그쳤다. 지난 3월 13일 인도네시아자동차공업협회(GAIKINDO)에 따르면 현대차는 지난 2월 인도네시아에서 2,226대를 판매했다. 이는 2024년 2월 2,428대 대비 8.31% 감소한 수치이며, 시장 점유율은 3.07%에 그쳤다. 지난 2025년 2월 인도네시아 전체 자동차 판매 규모는 2024년 2월 판매량인 70,772대 대비 2.2% 증가한 72,295대로 집계됐다. 현지 판매 라인업 중에서는 소형 다목적차량(MPV) 모델 ‘스타게이저’와 현지 전략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크레타’가 그나마 잘 팔렸다. 현대차는 올해 현지 맞춤형 전략을 토대로 현지 수요를 최대로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 또한, 신차 출시에도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지난 2월 자카르타에서 열린 ‘2025 인도네시아 국제 모터쇼’에서 출시한 ‘베뉴’를 시작으로 최소 7개 신규 모델을 내놓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