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 17일 AP통신은 브라질이 2023년 상반기에 기록적인 농산품 수출액을 달성했다고 보도했다. 브라질 정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3년 상반기 농산물 수출액은 828억 400만 달러(원화 약 110조 1,293억 원)로 2022년 상반기 대비 4.5% 증가한 수치로 사상 최대치를 갱신했다. 구체적으로는 육류를 비롯한 기타 제품의 수출은 감소했지만 대두, 설탕 및 곡물 등의 수출이 크게 증가했다. 2022년 상반기 대비해 전체적인 물량은 8% 증가했고 가격은 3.2% 하락한 것이 수출이 증가한 주요 원인으로 브라질 정부는 설명했다. 매출 증가로 인해 브라질 전체 수출액에서 농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2년 상반기는 48.3%였으나 2023년 상반기에는 50%로 1.7%p 증가했다. 브라질은 쇠고기, 닭고기와 같은 목축업 수출국이자 대두, 커피, 설탕(사탕수수), 오렌지 등 농산물 수출국이다. 농산물 중 가장 많이 수출된 제품은 대두(Soybean)로 수출액은 2022년 상반기 대비 8% 증가한 408억 500만 달러(원화 약 54조 2,706억 원)로 전체 농산물 수출액의 절반에 달한다. 한편, 주요 농산물 수출국을 살펴보면 최대 수출국은 중국
지난 7월 1일 ㈜제타플랜인베스트와 ㈜이크레더블과 기술혁신 기업의 성장지원 및 기술사업화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양사는 협약을 통해 상호 유기적인 업무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각 사의 인프라를 활용, 제휴 파트너십을 강화하여 성공적인 사업을 추진하는 데 상호 협력할 방침이다. 제타플랜인베스트는 우수 기술의 활용 및 기술사업화를 촉진하고 기업 경쟁력 강화에 이크레더블의 기술평가 사업을 연계하여 기업의 성장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게 된다. 제타플랜인베스트는 기업의 경영전략 및 투자IR, M&A, IPO, 사업화전략, 기술거래,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팅 등을 제공하는 기술거래기관‧기술사업화전문회사다. 또한 회사 내 투자역량 강화를 위해 개인투자조합을 설립하는 등 다방면에서 역량 확보에 나서고 있다. 이크레더블은 기업을 위한 신용평가 및 TCB 기술평가와 투융자를 위한 기술가치평가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코스닥 상장 신용평가 전문기업이다. 이크레더블과 제타플랜인베스트는 기술특례상장을 추진중인 기업을 위한 ‘기술평가 및 투자와 M&A를 위한 기술가치평가’ 등에 대해 상호협력을 통해 기술 중심의 스타트업과 중소벤처기업 지원‧육성 활성화를 추진해 나갈 계
비엣젯(Vietjet)은 베트남 최대 항공사다. 소위 저가항공사(LCC)로 국내선과 국제선을 합쳐 100여개의 항로서 여객기를 운항 중이다. 현재 90대의 항공기를 소유하고 있고 약 1억 명 이상의 승객을 수송한 명실상부 베트남을 상징하는 대표 항공사다. 이 회사가 12일부터 베트남 관광홍보 임무를 수행하는 비엣젯 항공기 A330이 비행을 시작했다. 베트남 관광청과의 후원 계약의 일환이다. 눈에 띄는 것은 “헬로 베트남(Hello Vietnam)”이라는 슬로건과 빨간색과 노란색, 베트남 국기의 색상으로 장식되어 있다는 것이다. 특히 “헬로 베트남”은 ‘내 조국을 사랑한다’라는 슬로건 등이 담긴 ‘헬로 베트남’ 노래로 비엣젯 이착륙노래로 이 항공기를 이용하는 승객들에게 매우 익숙한 멜로디다. 이 노래를 부른 가수는 벨기에 국적의 1987년생 베트남계 가수 팜꾸인아인(Phạm Quỳnh Anh)다. 자신의 조국인 베트남을 그리워하는 애절한 마음을 담아 부른 노래가 '헬로 베트남'이다. 그는 2000년, 벨기에에서 진행되는 한 오디션프로에서 1등을 하면서 가수 경력을 쌓았다. 2002년 프랑스에서 레코드 계약을 해 2006년 프랑스어로 부른 노래 ‘봉주르 베트남(
베트남 관광홍보 임무를 수행하는 비엣젯 항공기 A330이 비행을 시작했다. 비엣젯 항공이 베트남 관광청과의 후원 계약의 일환으로, 새로운 광동체 항공기인 A330을 도입하였다고 12일 밝혔다. 이 항공기는 베트남 관광 홍보라는 임무를 수행하는 비엣젯의 최신 항공기다. VN-A814로 등록된 A330은 7월 12일 첫 비행을 시작했다. 이전에도 비엣젯은 베트남 관광청과 호찌민시 관광청의 상징이 새겨진 A320 및 A321 항공기를 보유하고 있었다. 새롭게 도입된 A330은 베트남 관광의 상징인 “베트남- 시대를 초월한 매력”을 특징으로 한다. 베트남의 풍부한 문화와 관광을 전 세계 관광객들에게 홍보하는 상징 역할을 수행한다. 국내선과 국제선을 모두 비행할 예정인 이 항공기는 비엣젯 항공이 이전에 운항한 A320과 A321 이후로 베트남의 관광 진흥을 위해 도입된 최신 항공기이다. A330은 “안녕 베트남”이라는 슬로건과 빨간색과 노란색, 베트남 국기의 색상으로 장식되어 있다. A330이 베트남 관광의 상징이자 베트남 관광 진흥의 포부라는 뜻이다. 현재 비엣젯 항공은 총 7대의 A330을 운영 중이며, 2023년 내에 A330 광동체 항공기 9대를 포함한 총 8
인터넷 방송인 미스터리박스가 이벤트 대회를 개최한다. 트위치(Twitch) 스티리머(Steamer) 겸 유투버(Youtuber) 미스터리박스가 시청자 참여 이벤트를 연다. 이번이 5회째를 맞이하는 미스터리박스의 미버거 대회는 코나미(KONAMI)의 유희왕:마스터 듀얼(Yugioh: Master Duel)에서 개최된다. 시청자들을 룰렛으로 선별해 미스터리박스와 듀얼을 한 뒤 미스터리박스에게 승리하면 싸이버거 세트를, 패배하면 바나나우유를 선물받게 된다. 듀얼 시간은 랭크 게임의 보통(300초)이 아닌 짧음(150초)로 설정된다. 생방송에서 전체 시청자와 트위치 구독자를 번갈아 추첨해 대전자를 선별한다. 대회 룰도 있다. 금지 테마는 ▲티아라멘츠 ▲이시즈 ▲라뷰린스 ▲비스테드 ▲스프라이트 ▲루닉 이다. 또한 스트리머를 직접적으로 저격하는 행위 역시 금지된다. 예를 들면, 마인드 크래시를 통해 손패를 저격하는 행위 등을 의미한다.
“세계에서 가장 많이 방문하는 도시 20곳은?” 일반 여행객, 여행 블로거 또는 여행 업계 종사자라면 세계에서 가장 많이 방문한 도시를 꼭 알아둬야 할 정보가 공개되었다. 트래블니스(travelness) 6월 23일자에 따르면 마스터카드의 연구를 통해 20개의 ‘가장 인기 있는 여행지’와 ‘유명 도시’ 글로벌 여행지 도시 지수를 발표했다. 이 조사에 따르면 방콕이 약 2200만 명의 외국인 방문객이 방문해 세계에서 가장 많은 도시로 선정되었다. 평균 4.7박을 머무르고 매일 평균 173달러(약 21만 8153원)를 지출하는 등 방문객의 패턴도 밝혀졌다. 방콕에 이어 2위는 파리, 3위는 런던이었고, 아세안 국가에서는 싱가포르가 5위, 말레이시아의 쿠알라룸프르가 6위, 태국의 푸켓과 파타야가 14~15위, 인도네시아 유명한 관광지 발리는 총 826만 명의 해외 방문객을 기록하며 19위를 차지했다. 도쿄는 1293만명으로 9위, 서울은 1125만명으로 11위, 오사카는 1014만명으로 12위에 랭크되었다. ■ 방콕, 지도가 없어도 항상 새로운 것을 발견할 수 있는 도시 1위 태국의 수도 방콕은 ‘지도가 없어도 항상 새로운 것을 발견할 수 있는 즐거운 도시’로 대
베트남-한국기업가투자협회(VKBIA)가 아랍에미리트(UAE) 벤처기업과 손을 잡고 한국, 베트남에서의 투자 기회를 모색한다. 14일 VOV 뉴스 등 현지 매체들에 따르면 이날 서울에서 VKBIA와 UAE 벤처기업인 원 월드 임팩트 캐피털(OWI) 간 포괄적 전략적 협력 파트너십 체결식이 열렸다. UAE 벤처와 투자 기회 첫 단추를 꿴 셈이다. 쩐 하이 린 VKBIA 회장은 “1992년 양국 수교 이후 30년이 넘는 세월 동안 한국과 베트남 간 협력은 많은 분야에서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다. 2022년 12월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되면서 양국 관계 발전의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고 전했다. 이어 “윤석열 대통령이 격상된 두 나라 관계에 따라 보다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고자 2023년 6월 22~24일 베트남을 국빈방문하여 양국 정부는 각종 협력 프로그램에 서명하고 이행하기로 합의했다”고 덧붙였다. 린 회장은 “최근 몇 년간 UAE와 베트남은 우호 친선과 협력을 통해 정치-외교, 경제-무역, 투자, 관광, 에너지 등 많은 분야에서 강력한 발전을 이루었다. UAE는 현재 중동-북아프리카 지역 내 베트남 최대 교역국이다”라고 말했다. 지난 4
“아세안은 내정 불간섭 원칙, 미얀마 의견 반영 없었다.” 미얀마 군사정권이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외교장관들의 공동성명에 강한 반발하며 맹비난했다. 지난 13일(현지시간) 아세안 외교장관들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제56차 아세안 외교장관회의를 열어 미얀마 내 폭력 중단과 대화 개시 등 5개 항 합의 이행을 요구하고 폭력행위를 강력히 규탄하는 공동 성명을 발표한 바 있다. 미얀마 매체 이라와디 18일자에 따르면 미얀마 외교부는 성명을 통해 “아세안 외교장관 공동성명은 ‘평화로운 수단’을 통해 민주주의를 회복하려는 군정의 노력을 언급하지 않았다”며 맹비난했다. 아세안의 내정 불간섭 원칙을 거론하며 공동성명 초안 작업에 회원국으로서 성실하게 참여했음에도 최종 성명에서는 미얀마의 의견이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군정 수장인 민 아웅 흘라잉 총사령관은 "올 1월부터 7월 11일까지 총 489건의 폭발로 782명의 군인이 사망했다"며 "국가 전반에 걸쳐 안정과 법치를 회복하기 위해 해야 할 일이 많이 남아있다”며 국가비상사태 연장을 시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