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카드와 KB국민카드에 이어 현대카드도 대환대출 경쟁에 뛰어들었다. 지난 7월 6일 현대카드는 ‘온라인 대환대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출 비교 플랫폼 ‘핀다’에 입점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8개 전업 카드사 가운데 신한카드(카카오페이・토스・핀다), KB국민카드(카카오페이・네이버페이), 현대카드가 비대면 대환대출 서비스에 진출했다. 지난 5월부터 비대면 대환대출 서비스가 시작됐지만, 카드사는 지금까지 입점에 소극적이었는데 은행권에 비해 금리가 높아 경쟁력이 떨어질 것이란 판단 때문이다. 하지만 소비자 선택권을 확대해야 한다는 금융당국의 방침에 따라 카드사도 입점에 나설 수밖에 없었다는 분석이다. 타 카드사 중에는 롯데카드가 이르면 2023년 3분기 중 카카오페이 대환대출 서비스에 입점할 것 전망된다.
지난 7월 6일 SaaS 전문 빌링 결제 솔루션을 운영하는 핀테크 스타트업 ‘스텝페이’(Step Pay)가 프리시리즈A2 라운드 투자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는 ▲KB인베스트먼트 ▲메디치인베스트먼트 ▲프라이머사제 파트너스가 참여했다. ‘스텝페이’는 지난 2022년 10월 프리 시리즈 A 투자 유치에 이어, 1년도 되지 않아 추가 투자를 유치하며 혹한기에도 서비스의 가치와 가능성을 인정 받았다. 이로써 스텝페이는 프리시리즈A 라운드를 48억 원에 마감하고 총 누적 투자금 51억을 달성했다. 스텝페이는 SaaS(Software-as-a-Service)에 특화된 구독 결제 전문 솔루션이다. 스텝페이의 가장 큰 특징은 국내 최초로 ‘사용량 기반 요금제’를 지원해 ▲건당 과금 ▲이용자당 과금 등 다양한 방식을 손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결제뿐만 아니라 ▲요금제 ▲상품관리 ▲고객 관리 기능을 한 번에 제공하기에 SaaS 결제 개발 비용을 1/10 수준으로 대폭 줄여준다. 소프트웨어(SW)에 필수적이나 구현하기에 까다로운 부분을 해소하는 걸 목표로 한다. 특정한 몇몇 서비스 뿐만 아니라 재화, 용역, 서비스 등 분야를 가리지 않고 다양한 서비스가
미국의 사모펀드인 ‘777 파트너스’가 이스타항공 지분 인수를 추진한다. 지난 6월 30일 더 구루(The Guru)는 777 파트너스의 항공 자산 관리 부문은 이스타항공 지분 10%를 인수하기 위한 협상을 진행 중이며, 이는 아시아 여행 산업의 부흥기를 활용하기 위함이라고 단독보도했다. AIP캐피탈은 이스타항공이 보잉 737 MAX 8을 5대 임대할 예정이며 7월 중순에 계약이 체결될 것이라고 밝혔다. 코로나19 엔데믹 선언 이후 이스타항공을 비롯한 아시아 항공사들은 여행 수요가 회복되면서 항공기와 신입 직원 구하기에 분주하다. 777 파트너스를 비롯한 글로벌 투자자들도 아시아 항공사를 신규 투자처로 낙점하고 대상을 찾고 있다. 이스타항공은 지난 2021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심각한 경영난을 겪었다. 당시 직원 1,300여명 중 400명만 남기는 대규모 구조조정을 진행했으며, 항공기도 3대만 남기고 나머지를 모두 반납했다. 이후 충청도 기반 중견 건설업체인 성정이 이스타항공을 인수하며 여행 사업 시너지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기도 했지만 사업 실적이 여전히 부진하자 이스타항공은 불과 1년 7개월 만에 다시 매물로 나왔다. 2023년 1월 사모펀드 VIG파트
정환승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는 언어학자다. 태국어과 교수로 한국-태국 정상회담에서 통역을 맡을 정도로 안팎으로 실력을 인정받았다. 하지만 그의 관심은 언어에 머물지 않는다. 대표적인 것이 2019년에 펴낸 ‘황톳길 위에서 미소를 만나다’다. 쑤코타이, 아유타야, 톤부리, 그리고 랏따나꼬신(방콕)왕조의 유적지를 돌아본 여행기다. 태국의 문화유산답사기인 셈이다. 태국을 단순히 언어를 넘어서 사회와 문화 그리고 역사에 폭넓게 들여다보는 그가 이번에는 ‘담장너머의 태국, 치앙마이-치앙라이 오디세이’를 5년간 공을 들여 출간했다. 정년 퇴임이 다가오면서 새로운 ‘태국의 문화유산답사기’ 집필을 계획했고 해낸 것이다. 태국의 북부지방에 존재했던 란나를 찾아갔다. 2018년 자료수집 시작부터 1차, 2차답사 등 처음부터 끝까지 아내와 여행하고 탐방했다. 이 책이 더욱 특별한 것은 지난 6월 치른 정년퇴임식을 앞두고 출간되었다는 것이다. “태국어과에 입학한 1983년부터 정년퇴임하는 2023년까지 태국어와 태국문화에 홀린 듯이 살아왔다”는 정환승 교수. 졸업했거나 수업받고 있는 제자들과 그를 아꼈던 지인들이 한마음 한뜻으로 그의 퇴임식을 준비하고 치러주었다. "한태관계발전에
지난 7월 3일 엔씨소프트가 연합뉴스, 드림에이스와 함께 ‘차량용 AI 뉴스 솔루션’ 개발을 위한 포괄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차량용 AI 뉴스 솔루션’은 운행 중인 차량에서 인공지능(AI)이 운전자에게 개인화된 뉴스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다. 운전자가 운전에 집중하면서도 관심있는 뉴스만 요약해 들을 수 있어 새로운 모빌리티 서비스로 주목받고 있다. 엔씨소프트는 자체 개발 중인 거대언어모델(LLM)을 차량용 AI 솔루션에 적용할 계획이다. AI 큐레이션 기술을 통해 운전자의 관심사를 기반으로 뉴스를 선별하고, 거대 모델이 구어체로 요약한 뒤 음성합성 기술을 통해 뉴스를 전달하는 방식이다. 언론에서 뉴스를 작성하면 AI가 즉시 가공해 운전자에게 전달한다는 부분에서 사람이 직접 차량용 뉴스를 제작하던 기존 솔루션들과 차별점을 뒀다. ‘차량용 AI 뉴스 솔루션’ 개발은 국가기간뉴스통신사 연합뉴스, 모빌리티 솔루션 기업 드림에이스와 함께 진행한다. 연합뉴스는 주요 뉴스와 속보 기사 작성을, 드림에이스는 인포테인먼트 디바이스와 소프트웨어 플랫폼 제어를 담당한다. 이연수 엔씨소프트 NLP 센터장은 “이번 협업은 AI 기술이 콘텐츠, 플랫
지난 7월 3일 ‘코리아스타트업포럼’은 ‘컴업스타즈 2023’ 참가 스타트업 150개사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컴업스타즈는 컴업이 매년 선보이는 혁신성과 성장 가능성이 높은 유망 스타트업이다. 올해는 아카데미리그 30개사 로켓리그20개사를 선발했다. ‘컴업 100’이라는 이름의 루키리그에는 100개사를 선발한다. 앞서 진행된 모집에는 전 세계 53개국에서 960개 기업이 지원해 접전을 펼쳤다. 선발 대상인 루키‧아카데미리그 130개사는 6월 한 달간 전문 평가위원의 서류 및 인터뷰 평가, 자문위원회의 검토를 거친 결과 총 21개국의 스타트업이 최종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국내외 벤처캐피털(VC) 및 엑셀러레이터(AC), 창업지원기관, 대기업, 유니콘 스타트업 등 111명의 다양한 생태계 관계자들이 평가위원으로 참여했다. 루키리그는 누적 투자유치액 10억원 미만의 국내외 다양한 초기 스타트업을 선발했다. 국내에서는 그린에너지를 활용한 이동형 배터리 솔루션의 ‘모비’, AI 기반 커머스 이미지 생성 및 최적화 솔루션의 ‘드랩’ 등 70개사가 뽑혔다. 해외에서는 슬로바키아의 AI 기반 개발자 매칭 플랫폼 ‘노르딕스아이오(Nordics.io)’ 등 30개사가 우수한
베트남 스타트업을 지원하는 베트남 미래 펀드가 출범했다. 베트남 미래 펀드(Vietnam Future Fund)는 베트남 스타트업들의 가능성을 제고하고 글로벌 경쟁력 향상을 위해 설립됐다. 슬로건은 ‘더 멀리, 더 길게’이며, 전통적인 금융투자펀드의 역할을 넘어 글로벌 성장을 견인하는 역할을 하겠다는 입장이다. 베트남 미래 펀드는 베트남 스타트업의 잠재적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재정과 자원, 자문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보여 베트남 시장 진출의 판도를 확대할 방침이다. 베트남 미래 펀드의 설립자이자 Coin 98 공동 설립자인 Le Thanh은 “우리는 자신의 자원을 찾고 있는 베트남의 모든 분야의 비즈니스뿐만 아니라 스타트업과 비즈니스 모델 및 전 세계 시장이 연결될 수 있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베트남 미래펀드는 자금 지원 외에도 국내외 기업들이 세계로 뻗어나가기 위한 여정을 시작하도록 영감을 주고 싶다고 밝혔다.
모바일 시장 데이터 분석 기업인 센서타워(Sensor Tower)는 ‘2023년 1분기 스토어 인텔리전스 데이터 다이제스트’라는 리포트를 공개했다. 구글 플레이(Google Play)와 앱 스토어(App Store)를 합산한 2023년 1분기 전 세계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다운로드 횟수는 2022년 1분기 대비 2.6% 감소한 350억 횟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글 플레이는 269억 회, 앱 스토어는 81억 횟수를 기록하며 구글 플레이가 3배 많은 다운로드 횟수를 기록했다. 숏츠 플랫폼 틱톡(TikTok)은 전 세계 다운로드 수 1위를 기록했으며, 틱톡을 서비스하는 바이트댄스(ByteDance)는 2022년 4월부터 틱톡과 캡컷(Capcut)의 2개 앱을 전 세계 다운로드 순위 5위 안에 등록하는데 성공했다. 캡컷은 2022년 4분기 대비 66% 상승한 1억 4,000만 다운로드 횟수를 기록했고 2023년 1분기에는 신규 설치 횟수 1억 3,000만 건 이상을 기록했다. 모바일 게임에서는 서브웨이 서퍼(Subway Surfers)가 6,000만 건을 넘겨 1위를 기록했다. 2022년 2분기부터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는 서브웨이 서퍼는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