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시장 데이터 분석 기업인 센서타워(Sensor Tower)는 ‘2023년 1분기 스토어 인텔리전스 데이터 다이제스트’라는 리포트를 공개했다. 구글 플레이(Google Play)와 앱 스토어(App Store)를 합산한 2023년 1분기 전 세계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다운로드 횟수는 2022년 1분기 대비 2.6% 감소한 350억 횟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글 플레이는 269억 회, 앱 스토어는 81억 횟수를 기록하며 구글 플레이가 3배 많은 다운로드 횟수를 기록했다. 숏츠 플랫폼 틱톡(TikTok)은 전 세계 다운로드 수 1위를 기록했으며, 틱톡을 서비스하는 바이트댄스(ByteDance)는 2022년 4월부터 틱톡과 캡컷(Capcut)의 2개 앱을 전 세계 다운로드 순위 5위 안에 등록하는데 성공했다. 캡컷은 2022년 4분기 대비 66% 상승한 1억 4,000만 다운로드 횟수를 기록했고 2023년 1분기에는 신규 설치 횟수 1억 3,000만 건 이상을 기록했다. 모바일 게임에서는 서브웨이 서퍼(Subway Surfers)가 6,000만 건을 넘겨 1위를 기록했다. 2022년 2분기부터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는 서브웨이 서퍼는 2
지난 7월 3일 SK에코플랜트가 재생에너지 전력중개사업에 본격 진출한다고 밝혔다. SK에코플랜트는 제주도 내 91개 재생에너지 발전소와 협약을 맺고, 50메가와트(㎿) 규모 재생에너지 발전 자원의 전력거래 대행(전력중개) 사업에 나선다. 전력중개사업은 재생에너지와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20MW 이하의 개별 발전설비를 모아 하나의 자원으로 구성해 중개사업자가 전력시장에서 거래하는 사업이다.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는 소규모 발전사업자가 전국에 산재해 개별 관리가 쉽지 않다. 업계 추산 현재 가동 중인 태양광 발전소만 10만개소에 이른다. 기상과 시간‧계절에 따라 전력 생산량이 달라지는 특성에 따라 전력망 안정을 위한 불가피한 출력 제한 등도 발생했다. 전력중개사업은 이러한 재생에너지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꼽힌다. 소규모 재생에너지 발전소를 플랫폼 기반으로 연결해 하나의 발전소처럼 운영하는 가상발전소(VPP)를 기반으로 흩어져 있는 재생에너지 자원을 모으고 예측‧제어‧관리를 실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SK에코플랜트는 전력중개사업 진출을 준비해 왔다. 2022년 전략적 투자로 에너지플랫폼 사업 기반을 마련한 데 이어 2023년 3분기에는 재생에
지난 7월 3일 당근마켓은 ‘당근페이’에 ‘사기 의심 계좌 알림’ 기능을 도입한다고 밝혔다. 사기 의심 계좌 알림 기능은 이용자가 사기 의심 계좌로 송금을 시도할 때 ‘사기 의심 계좌입니다. 송금을 취소할까요?’라는 경고 문구와 표출되는 기능이다. 당근페이 자체 ‘이상금융거래탐지시스템(FDS)’에서 확인된 위험 계좌로 송금을 시도할 경우 ‘위험 계좌로 확인되어 송금할 수 없어요’라는 안내와 함께 송금이 제한된다. 이번 사기 의심 계좌 알림 기능은 당근페이 이용자들이 보다 안전한 환경에서 계좌 송금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도입했다. 월간 이용자 수 1,800만 명에 육박하는 당근마켓의 축적된 방대한 데이터와 기술력에 한층 고도화된 당근페이 시스템이 더해졌다. 당근페이 오강훈 머니 서비스팀장은 “사기 의심 계좌 알림 기능 도입으로, 당근페이에서 계좌 송금 시 이용자가 직접 거래 상대의 사기 이력을 일일이 조회하지 않아도 사기 의심 계좌를 인지할 수 있도록 알려줌으로써, 이용자 피해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서 “당근페이는 3400만 이웃을 연결하는 국내 최대의 지역 커뮤니티 당근마켓의 이용자층을 기반으로 경쟁력을 높여가며
인도네시아가 지난해 1인당 GNI(국민총소득)이 4580달러(약 595만 3084원)로 늘어나 ‘중상위소득국가’로 컴백했다. ‘인사이드 비나’ 4일자에 따르면 세계은행(WB)은 지난달 30일 이같은 내용의 국가별 GNI 현황과 새로운 소득별 국가분류 기준을 발표했다. 인도네시아는 2020년 코로나19로 1인당 GNI가 4140달러로 줄어 중하위소득국가로 분류됐다. 하지만 코로나19 이후 강력한 회복세를 기록해 지난해 중상위소득국가로 복귀했다. 지난해 인도네시아의 실질 GDP성장률은 5.3%로 9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조코 위도도(Joko Widodo) 인도네시아 대통령은 3일 내각 회의에서 “세계은행이 2020년 중하위소득국가로 분류했던 인도네시아를 중상위소득국가로 재분류했다”며 “이는 코로나19 이후 인도네시아의 강력한 회복세를 반영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인도네시아 통계청(BPS)에 따르면 2022년 인도네시아의 국내총생산(GDP)이 1경 9,588조 4,000억 루피아(원화 약 1,627조 8,000억 원)를 기록했다. 이는 2022년보다 5.31% 늘어난 수치다. 인도네시아의 2022년 GDP 증가율은 2013년 GDP 증가율인 5.56% 이후
일본 자동차 90%, 도전자 ‘현대’ 전기차가 어떤 승부수를 띄울까? 2023년 4월까지 태국에서 생산된 자동차 판매순위에서 도요타 하이럭스가 6만 4,228대(-7.2%)가 판매되어 1위를 수성했다. 포커스2무브(focus2move)가 6월 30일자에 따르면 지역별 베스트셀링카 순위을 보면 도요타 하이럭스에 이어 이스즈 디맥스가 5만 9,664대(-8.0%)의 누적 판매량으로 그 뒤를 바짝 쫓고 있다. 미쓰비시 엑스팬더가 3만 4,797대(+13.3%) 판매되며 3위였다. 도요타 아반자가 2만 5,875대(+23.4%), 혼다 시티가 2만 4,832대(-24.4%)가 신규 등록되어 4위와 5위였다. 6위는 2만 4,236대가 판매된 포드 레인저(+24.0%), 도요타 포투너(5계단 상승)가 2만 3,586대(-12.6%) 7위, 혼다 HR-V(13계단 상승)가 2만 2,755대(+99.8%)로 8위였다. 순위표의 마지막을 장식한 도요타 야리스 아티브는 올해 2만 1,289대 판매(+153.2%)로 22계단 상승한 9위, 혼다 브리오는 2만 713대 누적 판매(-2.2%)로 4계단 하락한 10위를 기록했다. 이처럼 태국 자동차 시장은 1위를 비롯해 3위와 4
중국 제조업체 우링(Wuling)이 베트남에서 가장 저렴한 전기 자동차 모델을 출시했다. VN익스프레스-사이공타임즈 등 베트남 현지 미디어에 따르면 새로 출시된 미니 전기 자동차 모델은 지난달 29일 2억 3,900만 VND(1만 139달러, 약 1324만 1534원)에서 시작하는 가격으로 출시되었다. 베트남 북부 흥옌성에서 조립되는 우링 훙광 미니 EV(Wuling Hongguang Mini EV)는 베트남에서 가장 작은 전기 자동차 중 하나다. 도시 교통을 위해 설계된 4인승은 사용자가 구매하는 배터리에 따라 충전당 120~170km를 주행할 수 있다. 배터리를 완전히 충전하는 데 6.5~9시간이 걸린다. 자동차의 최대 설계 속도는 시속 100km이다. 저렴한 차량에는 운전자가 차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7인치 화면이 하나 있다. 딜러들은 이번 9월부터 자동차를 받을 예정이다. 우링모터스는 2002년 11월 18일에 설립된 GM의 중국 자회사다. SAIC(상하이자동차그룹)-GM(제너럴모터스)-우링(Wuling) 모터스라는 조인트벤처 형태로 운영되는 중이다.
지난 6월 24일 계명대학교 글로벌창업대학원(원장 김영규) 18기 원우회에서 학기 종강을 맞아 ‘한나네보호소 유기견 보호소’에 봉사활동 및 기부활동을 펼쳤다. 이번 봉사활동은 유기동물 보호소의 열약한 환경과 운영의 어려움을 공감하는 취지와 유기견들이 새 입양처로 건강하게 갈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해 진행됐다. 또한 대형선풍기 4대 및 2리터 생수 900병 등 총 100만 원 상당의 물품을 기부했다. 이번 봉사활동은 글로벌창업대학원 벤처창업학과에 재학 중인 홍서운 원우회장이 대학원 수업 중 수강하면서 체득한 ESG경영 중 사회(Social) 부문을 실천하기 위해 기획한 것으로 알려졌다. 창업을 준비하고 기업이 성장하면서 받은 도움과 혜택을 사회에도 나누어주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사업가가 되기 위한 첫 발걸음으로 사회봉사활동을 기획한 것이라는 의미다. 홍서운 원우회장은 “이번 봉사활동을 계기로 대학원에서 공부하며 성장하고 성공한 창업가가 되어 앞으로 사회공헌에 앞장서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 하게 되었음을 소망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어서 “계명대학교 글로벌창업대학원 원우회는 단기성에 그치지않고 지속성에 다다르는 봉사활동을 하겠다.”고 말했다. 201
람다256과 나이스피앤아이는 토큰증권(STO) 관련 사업추진 및 업무 협업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토큰증권 도입을 위한 기술협력 등을 추진할 예정이며 국내 증권사에서 추진하는 STO사업 수주를 위해 협력할 예정이다. 람다256은 자체 솔루션인 루니버스를 기반으로 국내 토큰증권 시장에서 비즈니스 사례를 만들고 있다. 한화투자증권과 토큰증권 플랫폼 개발 협력 및 신한투자증권의 토큰증권 PoC를 진행하였고, 현재 유진투자증권 토큰증권 발행 플랫폼 구축 프로젝트를 수행 중에 있다. 나이스피앤아이는 NICE그룹 계열사로 국내외 모든 금융‧비금융자산에 대한 가치평가와 리스크 분석 및 이와 관련된 컨설팅과 SI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700개 이상의 국내외 금융기관과 일반기업을 대상으로 비시장성지분증권에 대한 공정가치 평가를 수행하고 있으며, 기업금융, 인프라, 실물자산 등 다양한 대체투자자산 유형에 대한 평가도 수행하고 있다. 나이스피앤아이는 증권형 토큰(STO)의 발행구조와 현금흐름을 분석하고, 기초자산 유형별 STO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다양한 평가 시뮬레이터를 제공하고, 주기적으로 가치평가에 영향을 주는 주요 기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