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특별기고] 주여, 어디로...“쿠오바디스, 캄보디아!”

온라인 사기 영향, “캄보디아 전역이 마치 범죄 도시” ‘과잉 경계’ 씁쓸

“주여, 어디로 가시나이까?”(Quo vadis. 요한복음 16:5) 최근 ‘쿠오바디스, 대한민국’이라는 칼럼을 읽었다. 내용은 자세히 기억나지 않지만, 불확실한 국제 환경 속에서 대한민국의 현재와 미래를 걱정하는 논지였을 것이다. 그러나 이 질문은 비단 우리나라만의 것이 아니다. 트럼프의 미국에도, 그리고 지금의 캄보디아에도 해당된다. ‘쿠오바디스, 캄보디아’라는 제목을 붙인 이유가 있다. 11월 13일 프놈펜에서 열리는 한-아세안 협력 포럼 참석을 위해 김해공항에서 탑승권을 받는데, 항공사 직원의 눈빛이 심상치 않았다. 그는 “얼마 전에도 한 여성이 프놈펜에 간다고 해서 왜 가시냐고 물었더니 남편이 그곳에서 사업을 한다더라”며, '그런 게 아니면 가지않는 게 좋다'는 뉘앙스다. 캄보디아가 높은 여행경보 지역으로 분류되어 있기 때문일게다. 인천공항 환승구역에서도 무장 경찰이 목적지를 재차 확인했다. 과잉의 시대라지만, 이런 ‘과잉 경계’는 씁쓸했다. 캄보디아 전역이 마치 범죄 도시라도 된 듯한 인상이다. 나 역시 여러 차례 공무로 캄보디아를 방문했지만, 이번처럼 경계심이 높았던 적은 없었다. 최근 우리 국민이 온라인 사기에 연루되어 집단 송환되는 사건이 잇


투자

더보기

두유노클럽K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