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12일 ‘리오랩’은 ‘스타트업 네스트(Start-Up NEST)’ 13기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리오랩은 ‘서비스 제너레이터’라는 비즈니스 방향성 슬로건과 새로운 서비스의 생성 및 성장과정에 관여하는 미션을 내걸고 국내 스타트업 및 대기업 사내벤처팀들의 초기 서비스 개발 및 신사업 검증을 도와주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다. 신용보증기금(이하 ‘신보’)에서 진행하는 스타트업 네스트는 평균 경쟁률 6.3대 1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하고 있는 성장 지원 프로그램이다. 민간 액셀러레이터와 함께 액셀러레이팅부터 금융지원, 성장지원까지 단계적 지원을 제공하는 신용보증기금의 스타트업 육성 플랫폼이다. 신보는 선발 기업에게 보증‧투자 등 금융지원과 해외진출‧창업공간 지원 등 비금융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제공한다. 리오랩은 설립 이후 약 1년 반만에 100사가 넘는 SEED~SERIES A 스타트업 및 대기업 사내벤처팀들을 대상으로 MVP개발 및 검증 프로젝트들을 수행했으며, 현재까지 교보생명, LG전자, KT, LS산전, 신한은행, SK마이써니, 교보생명, MBC등 다수의 국내 대기업들과도 협업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지난 4월 17일 미간다통신은 한국철도공사(Korail)가 170억 원 규모의 필리핀 도시철도 운영유지보수(O&M) 자문 계약을 수주했다고 보도했다. 이번 사업은 개통을 앞둔 필리핀 마닐라 메트로 7호선(이하 MRT-7)의 케손(Quezon)시티와 블라칸(Bulacan) 지역을 연결하는 23㎞ 구간, 14개역 운영유지보수 전반에 대해 자문하는 사업으로 계약 기간은 45개월이다. 코레일은 지난 3월 사업권자인 산 미구엘(San Miguel)로부터‘필리핀 MRT-7 운영유지보수 자문사업’수주통지서를 받고 이번 4월부터 사업에 착수했다. 시스템 검증‧시험(SI), 종합 시운전(T&C), 신뢰성 검증 및 관리(RAM), 정보기술 등을 포함한 운영유지보수 분야에 17명의 전문가를 투입해 자문을 진행한다. 코레일은 지난 2016년부터 MRT-7 사업의 설계를 포함한 기술자문 등을 장기적으로 진행해왔으며, 개통을 앞둔 MRT-7의 운영유지보수에 대한 자문사업도 수행하게 됐다. 이와 함께 코레일은 MRT-7 신규 기관사‧관제사에 대한 인력 양성 사업도 함께 수주해 오는 5월부터 약 1년간 교육을 시행할 예정이다. 모두 12명의 철도 전문가로 구성된 교수진이
태국 출신 ‘블랙핑크’(지수-제니-로제-리사) 리사는 역시 ‘SNS 퀸’이다. 톱스타뉴스에 따르면 지난 19일 리사의 개인 해시태그 ‘#lisa’는 글로벌 쇼트폼 비디오 플랫폼 틱톡에서 1001억뷰를 넘어섰다. 주목을 할 것은 리사는 틱톡에서 개인 계정이 없다는 것. 그럼에도 불구하고 ‘#lisa’이라는 해시태그 하나만으로 전세계 여성 아티스트 최초이자 유일한 1000억을 넘어서는 막강한 파워를 보였다. ‘lisa’ 관련 최다 조회수를 기록한 ‘LALISA’는 197억뷰, ‘lisablackpink’은 120억뷰, ‘lisamanoban’은 31억뷰. 톱4 해시 태그의 총 조회수는 약 1349억뷰에 달한다. 이밖에도 리사의 코첼라 관련 해시태그 ‘LISACHELLA’는 7280만뷰를 넘어서기도 했다. 리사는 태국 출신으로 동남아에서 누구나 닮고 싶은 아이돌의 하나다. 동남아 출신 걸그룹 멤버로는 최근 핫한 그룹 뉴진스에 멤버 중 베트남 출신 ‘팜응옥한(Pham Ngoc han, 본명)’(아래 하니)이 있다. 한국 대형 기획사에서 데뷔한 최초의 베트남 출신 멤버다. 한편 빅뱅 멤버로 솔로로 활동 중인 가수 태양이 블랙핑크 리사와 협업한 곡을 발표한다. 18일
지난 4월 18일 신한은행은 ‘ESG 상생(相生) 프로젝트’를 새롭게 추진하면서 모든 이해관계자에게 금융의 선한 영향력을 전하는 일류 은행이 되겠다고 밝혔다. 신한은행은 2021년부터 사회공헌사업 동행(同行) 프로젝트를 통해 결식 아동, 독거노인, 자살 유족, 한부모 가정, 1인 가구 등 취약계층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자립을 돕기 위해 힘써왔다. ESG 상생(相生) 프로젝트는 이와 같은 기존 동행(同行) 프로젝트를 계승해 사회적 트렌드와 신한은행의 ESG 경영전략에 맞춰 새롭게 수립됐다. 이 프로젝트는 사회(Social)뿐만 아니라 환경(Environment), 지배구조(Governance) 등 ESG 모든 분야를 포괄하고, 지원 대상 역시 취약‧소외계층을 넘어 모든 이해관계자로 커버리지를 확대했다. 특히, ESG 각 분야를 포괄해 사업을 추진하는 상생 지원과 ESG 실천 캠페인, 봉사활동, 기부 등 임직원과 함께 하는 상생 챌린지 등을 통해 전사적인 사회적 가치 창출 역량을 높일 방침이다. 또한 사회의 지속성에 기여하고 미래를 위해 투자하는 중장기적 관점에서의 사회공헌사업들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먼저 사회(Social) 측면의 선한 영향력 확산을
1,000억 원대 분식회계 의혹을 받고 있는 대우산업개발이 ‘분식회계는 사실이 아니다,’라고 다시 한 번 분명히 했다. 다음은 대우산업개발 입장 전문이다. 대우산업개발, 분식회계 의혹 수사에 대한 입장문 대우산업개발은 도급순위 70위권의 중견건설회사로 주거브랜드 ‘이안(iaan)’을 시장에 안착시키며 전국에 걸쳐 다양한 건설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최근 1년 여 이상 지속된 분식회계 의혹 관련 수사와 공수처, 서울중앙지검 등의 잇따른 압수수색으로 대우산업개발 임직원 400여 명은 정상적인 업무 진행에 막중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2022년 1월 시민단체에서 한 모 전 대표 재임 당시 분식회계, 배임, 횡령 등의 혐의 고발로 전방위적 수사가 진행됐으나, 이상영 회장에 대해 분식회계 혐의가 없다고 판단하고 불송치한 바 있습니다. 올해 2월에는 회사 경영진에 대해 횡령, 배임 등의 혐의로 구속영장을 신청하였으나 법원에서 영장을 기각함에 따라 검찰에 불구속 송치했습니다. 여러 차례 수사 과정에서 “분식회계는 사실이 아님”을 밝혀왔습니다. 그러나 최근 검찰에서 완전히 동일한 사안에 대해 전면적인 압수수색을 진행함에 따라 회사는 심각한 위기에 직면했습니다. 불안정한
대구 지역 새마을금고들이 연 5%대 정기예금 특판을 내놓는 등 공격적으로 자금 조달에 나서고 있다. 시중은행 정기예금 금리가 연 3% 후반대, 저축은행이 연 4% 중반대라는 점에 비춰보면 높은 수준의 금리다. 대구 지역 금고들이 높은 금리를 앞세워 자금 수혈에 나선 건 최근 이 지역 미분양 물량이 급증하면서 부동산 침체와 연관이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금융 상품 비교 서비스를 제공하는 ‘마이뱅크 누리집’에서 전 금융권 정기예금 금리를 비교한 결과, 지난 4월 11일 기준 연 5% 이상 금리 상품을 판매하는 금융사 51곳이 모두 새마을금고였고 이 중 42곳(82%)이 대구 지역 금고였다. 가장 높은 금리를 내건 곳은 대성금고・남구희망금고・대구원대금고 등 6개 금고로 이들 금고는 연 5.3% 정기예금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대구 지역은 금리가 연 5%를 넘기는 상품을 2개 이상 판매하는 금고도 13곳이나 있었다. 대구 동구에 있는 아양새마을금고는 연 5.1% 금리 상품 4개와 연 5% 금리 상품 1개 등 모두 5개의 상품을 판매 중이다. 대구 지역 금고들이 일제히 고금리 예금 특판을 통해 자금 조달에 나선 건 미분양 부동산 물량의 증가와 관계 있다. 국토교통부에
한-아세안센터(사무총장 김해용)는 4월 20일 라오스 루앙프라방에서 ‘한-아세안 관광역량개발 워크숍’을 ‘코로나19 이후 한국 아웃바운드 관광 시장의 동향 및 전망’이라는 주제로 연다. 한-아세안센터와 라오스 정보문화관광부(Ministry of Information, Culture and Tourism)가 공동으로 개최하는 동 워크숍은 코로나19 이후 4년만에 라오스 현지에서 열리게 된다. 한-아세안센터는 2009년부터 아세안 관광 관계자들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한국 관광객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한-아세안 관광역량개발 워크숍’을 개최해왔다. 이번 한-아세안 관광역량개발 워크숍은 ▲코로나19 이후 위축된 라오스 관광산업의 회복을 위한 지속가능한 관광 콘텐츠 개발 방안에 대해 살펴보고, ▲한국 관광객 맞춤형 관광 서비스 및 디지털 마케팅 전략에 대한 라오스 관광 관계자들의 이해 제고를 목적으로 마련된다. 한국관광공사, 한양대학교 관광학부, 관광 스타트업 ONDA 관계자가 연사로 참여한다. ▲한국인의 여행 동향, ▲지속가능한 관광 개발, ▲디지털 관광 마케팅 전략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라오스 관광산업에 적용할 수 있는 한국의 디지털 관광 마케팅 성
우주항공기업 스페이스X(SpaceX)가 스타십(Starship)의 첫 시험 비행의 카운트다운(Countdown)에 돌입했다. 스타십 로켓은 스페이스가 현재까지 제작한 로켓 중 가장 강력한 분사력을 가지고 있어 우주비행사를 달과 화성은 물론이고 그 너머까지 보내는 걸 목적으로 설계됐다. 현재 스타십은 텍사스 주 보카치카의 스페이스X 우주기지 ‘스타베이스’(Starbase)에서 연료를 주입받고 있으며, 오는 4월 24일 월요일 그리니치 표준시 기준 13:20에 발사될 예정이다. 월요일에 발사가 지연될 경우 주중 후반에 발사하는 예비 발사 일정도 준비되어 있다. 스페이스X 일론 머스크 창업자는 “이 비행은 매우 위험하다. 매우 복잡하고 거대한 로켓의 첫 발사기 때문이다.”라면서 “로켓이 실패할 수 있는 방법은 수백만 가지이며, 매우 신중하게 접근해 우려될 사항이 있다면 발사를 연기할 수 있다.”고 SNS를 통해 밝혔다. 또한 우주선 발사에 대해서 일론 머스크 CEO는 “기대치를 낮추고 싶다.”면서 “이번 발사가 성공적으로 궤도에 도달할 가능성은 낮다.”고 입장을 밝혔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는 2025년 연말 우주비행사를 달로 보내기 위한 우주선으로 스타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