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레이시아 안와르 새정부 정책과 경제현황은?”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아세안센터(Korea University ASEAN Center, KUAC)는 2023년 4월 24일 월요일 오후4시부터 5시 30분까지 ‘아세안 콜로키움’을 개최한다. 아세안센터가 주최하는 아세안 전문가 콜로키움은 아세안 최고의 전문가와 함께 아세안 국가가 당면한 중요한 현안을 심도 깊게 논의하는 장이다. 이번 콜로키움에서는 아세안 경제와 기업 전문가인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원 아세안센터 고영경 교수가 ‘말레이시아 경제현황과 전망: 안와르 새정부의 정책방향과 전환의 기회’에 관해 논의할 예정이다. 강연자를 맡은 고영경 교수는 『미래의 성장 시장 아세안』『아세안 슈퍼앱 전쟁』『7UPs in ASIA: 인도와 아세안 6개국 기업사례와 성장전략』등 굵직한 아세안 경제관련 책을 낸 저자이기도 하다. 행사는 온라인(ZOOM)과 오프라인(고려대 국제관 115호)에서 동시에 개최된다. 주제: 말레이시아 경제현황과 전망: 안와르 새정부의 정책방향과 전환의 기회 발표: 고영경 교수(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원 아세안센터) 일시: 2023년4월 24일(월) 16:00-17:30 장소: 고려대학교 국제관115
“<미래의 성장 시장 아세안> <아세안 슈퍼앱 전쟁>에 이어 <7UPs in Asia>다” 요즘 핫한 ‘삼프로TV’에서 ‘고영경 박사의 말랑말랑 기업사’를 통해 세계 기업의 역사를 전달하고 있고 있는 고영경 박사가 따끈따끈한 책을 펴냈다. 말레이시아 유니타 인터내셔널 대학의 교수를 역임한 명실상부 동남아, 아세안(ASEAN) 전문가로 주요 일간지와 경제지와 유튜브 등에 종횡무진 활약하는 저자의 세번째 역작이다. ■ 세 번째 책 <7UPs in Asia> 인도와 아세안 6개국 기업사례와 성장전략 아세안 시장을 분석하는 세 번째 책인 <7UPs in Asia>는 앞서 2권과 다르게 인도가 추가되었다. 부제도 인도와 아세안 6개국 기업사례와 성장전략이다. 고 박사는 “사람들에게 보다 흥미롭게 지역 경제를 알릴 수 있는 방법은 기업이 아닐까라는 생각에서 기업 사례를 정리했다. 7개 국가의 20개가 넘는 기업들을 다루는 것이 쉽지 않았다”며 이번에도 현장에서 핫 이슈가 되고 있는 기업분석과 전략에 현미경을 들이댔다. 그는 “사실 아세안이 주목받고 있다고 하지만 한국에서는 사람들이 관심을 두는 대상이 아니다. 우리의
지난 4월 17일 크래프톤이 네이버제트와 메타버스 플랫폼 사업 추진을 위한 타법인 주식 및 출자증권 취득을 공시했다. 합작회사 총 투자금액은 480억 원으로 크래프톤의 취득 예정금액은 408억 원, 네이버제트의 취득 예정금액은 72억 원이다. 취득 후 합작회사의 지분은 크래프톤이 85%, 네이버제트가 15%를 보유하게 된다. 양사는 지난해부터 웹 3.0에 기반한 메타버스 프로젝트 ‘미글루(Migaloo)’를 추진해왔으며, 연내 메타버스 출시를 목표로 본격적인 개발과 서비스를 위해 이번 합작회사를 설립하기로 했다. 합작회사는 북미에 설립되며 사명은 설립 시점에 공개될 예정이다. ‘미글루’는 메타버스 공간에서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다양한 저작물을 창작하면, 이용자들이 해당 저작물을 구매하고 소유하는 방식의 C2E(Create-to-Earn) 시스템을 채택해 저작물 거래는 NFT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이루어진다. 메타버스에서 일어나는 모든 거래를 블록체인에 기록하고, 이를 기반으로 정산을 받을 수 있는 방식을 적용해 거래와 정산의 투명성을 높였다. 합작회사에서 크래프톤은 프로그램 개발을 비롯해 크리에이터의 창작을 위한 샌드박스 툴과 블록체인 시스템 등의 개발을 담당
서방국가들의 대 러시아 제재 이후 중국 위안화의 결제 이용률이 대폭 확대됐다. 지난 4월 12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의 무역금융 자료를 인용하면서 지난 2월 무역 시장에서 수입 결제 수단으로 쓰는 화폐 가운데 위안화(CNY)의 점유율은 4.5%로 집계됐다고 보도했다. 2022년 위안화 점유율은 2% 미만에 불과 했지만 1년 만에 사용률이 대폭 늘어난 것이다. 위안화 국제통화 거래 전체 결제 비중의 6%를 차지함으로써 유로화(EUR)의 뒤를 바짝 뒤쫓고 있다. 위안화 국제결제 이용률이 증가한 배경으로 러시아가 서방 제재로 그간 유럽과 미국에 수출하던 석유를 중국에 판매하면서 생긴 현상으로 풀이된다. 지난 3월 10일 러시아 중앙은행의 통계에 따르면 위안화 결제율이 4%수준에 머물렀으나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로 러시아의 수입 결제에서 위안화를 사용하는 비중이 2022년에 23%까지 상승했다.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촉발된 위안화 결제율 증가는 탈 달러(USD) 현상을 가속화 시키는 촉매제가 된 셈이다. 2023년 3월에는 사우디아라비아 국영은행과 첫 위안화 대출 협력을 체결했으며, 브라질과는 무역 거래에서도 달러가 아닌 서로의
인도네시아의 신 수도 ‘누산타라’(Nusantara)에 중국이 합류한다. 지난 4월 10일 인도네시아 해양투자총괄부 루후트 빈사르 판자이탄 부장은 인도-중국 간 협력 진행 상황을 설명하는 기자회견에서 “인도네시아는 중국의 지원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선전 전문가팀의 지원을 받아 신수도 건설을 설계하고 관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해양투자총괄부는 신도시 프로젝트가 많은 중국 회사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이하 ‘발개위’)에 어떤 중국 기업이 신수도 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지 추천하라고 촉구했다. 루후트 대사는 “발개위가 적격 회사를 신수도 건설팀에 추천해주면 좋겠다..”고 발개위에 제안했다. 지난 2019년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은 수도를 자카르타에서 보르네오 동칼리만탄 주로 이전한다고 발표하고 지난 2022년에 행정수도 이전법을 제정하고 수도명을 ‘누산타라’라고 명명했다. 26만 헥타르에 가까운 신수도 누산타라는 340억 달러(원화 약 44조 4,380억 원)의 건설비가 들 것으로 예상됐다. 이 중 20%는 국가 예산에서, 나머지 80%는 민관합영과 민간기업 및 개인 투자로 조달된다.
교보증권은 오는 22일 ‘해외선물 기초부터 매매까지’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미국 시카고 선물중개회사(RJO'Brien) 윤태진 이사가 1부 ‘해외선물의 기술적 분석’, 2부 ‘해외선물 시황’ 주제로 진행한다. 강연 후 투자자들과 자유로운 질의응답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선착순 5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이번 세미나는 해외선물거래에 관심 있는 투자자는 누구나 무료로 참석할 수 있다. 참가신청 및 자세한 내용은 교보증권 홈페이지 이벤트를 참조하거나 국제선물부 해외선물 데스크로 문의하면 된다.
현대자동차-기아가 인도네시아에서 현지 판매량 7위로 올라섰다. 일본차가 94% 점유율을 기록한 인도네시아에서 현대자동차는 전기차 '아이오닉5' 돌풍으로 1분기에만 1만대가 팔렸다. 13일 인도네시아자동차공업협회(GAIKINDO)와 현대차에 따르면 현대차와 기아는 올해 1분기 인도네시아에서 신차를 1만431대를 판매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전년 동기(6085대) 대비 두 배 가까운 판매량이다. 판매량 순위로는 일본 이스즈를 제치고 7위로 올라섰다. 현대차는 아이오닉5의 인기를 감안해 현지 생산량을 최대 세 배로 늘리기로 했다. 현재 아이오닉5 출고를 기다리는 소비자는 4000명에 이른다. 지난해 11월초 방한한 푸안 마하라니 인도네시아 하원의장도 “저도 아이오닉5 주문했는데 기다리는 기간이 너무 길다. 빨리 타고 싶은데”라고 말한 바 있다. 현대는 인도네시아에는 지난해 3월 수도 자카르타에서 동쪽으로 약 40km에 위치한 브카시 델타마스 공단에 77만7000㎡ 부지의 전기차 생산공장을 완공한 바 있다. 연 15만 대 생산 능력을 갖춘 이 공장에서 지난해 8만2400대를 생산했다. 막무르(Makmur) HMID 최고운영책임자(COO)는 “최대 연 25만 대까지
베트남 수도 하노이에 최초로 전기택시가 등장했다. 베한타임즈에 따르면 4월 14일부터 하노이 시민들은 GSM(Green, Smart, Mobility) 주식회사의 전기택시 서비스를 최초로 사용하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SM 싼(Xanh) 택시는 빈패스트(VinFast) 전기자동차로 하노이에서 운영된다. 2023년 전국 최소 5개 성 및 도시에게 SM 그린(Green) 택시를 보급하는 계획의 첫걸음이다. 하노이 교통국 관계자는 “자가용을 제한하기 위해 대중교통 개발을 우선시해야 한다”며 운행에 투입될 많은 수의 전기택시가 도시 교통에 영향을 미칠지 여부에 대하여 언급했다. 하노이는 2014년부터 휘발유 택시에 대한 새로 허가를 중단했다. 택시 1만 9000대 이상과 9인승 이하 약 5만 대의 계약 차량으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하노이 교통부의 통계에 따르면 택시의 수, 특히 전기 택시 및 기타 유형의 친환경적한 대중 교통이 계획에 여전히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노이 교통협회의 전 회장인 부이다잉리엔(Bùi Danh Liên)은 많은 전기 택시가 운영됨에 따라 택시 서비스 제공업체는 택시 수를 늘리지 않고 교통 체증을 제한하도록 계획을 준수해야 한다